DOI QR코드

DOI QR Code

Business relocation grant policies and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relocations to non-Seoul metropolitan areas

기업의 지방 이전 보조금 지원 제도와 관련한 수도권 제조업체의 비수도권 이동 확률 변화 분석

  • 이유진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BK21플러스 지역계량분석 전문인력사업팀) ;
  • 김의준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7.07.28
  • Accepted : 2017.09.07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Among several policies for industrial decentralization introduced since the 1960s, business relocation grant policies put a heavy financial burden o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in the likelihood of manufacturing establishments' relocation to the non-SMA associate with the change in business relocation grant policies. Using the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data from 1996 to 2014, manufacturing firms' relocation decision model in nested logit structure was estimated. The data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movements from the SMA to the non-SMA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grant policies. However, estimation results of firms' relocation decision model indicated that the likelihood of firms relocating from the SMA to the non-SMA de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grant policies. In particular, firms' likelihood to move into the rural regions is even lower in the period of the grant extension. This suggests that increasing rate of relocations toward the rural regions may have been driven by the growing advantage of rural locations, such as low land rent and improvement in market accessibility, rather than the grants per se. This implies that the alleviation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of the rural regions and the creation of business friendly environment such as easy access to premises at reasonable prices and strengthened linkage with the SMA, rather than simple provision of business relocation grants, needed to attract businesses in the rural regions.

2004년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의거해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 보조금 지원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이에 따라 소요되는 중앙 및 지방정부의 재정 지출 규모가 크다. 본 연구는 수도권 기업의 지방 이전 보조금 제도의 도입, 확장 및 감축과 관련해 수도권 제조업체가 비수도권으로 이전할 확률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제도의 실효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1996년부터 2014년도까지의 광업 제조업조사자료를 활용, 중첩 로짓 분석 방식으로 제조업의 입지 이전 및 재 입지 선택모형을 추정해 보조금 제도와 관련해 구분한 시기 별 제조업체가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동할 확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자료에서 식별된 이전 업체의 소재지 변화를 살펴보면 보조금 제도의 도입 이후, 도입 이전에 비해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제조업체의 비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제조업체의 입지 이전 및 재 입지 선택모형을 추정해 기타 제반 요인의 영향을 통제한 결과, 보조금 제도가 도입된 2004년 이후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의 이전 확률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의 확장 및 감축에 따른 시기 별로 살펴보면 제도 도입 초기에는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의 이전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제도 확장기에는 그 확률이 제도 도입 이전보다 감소했으며 지원대상의 조정 및 지원 범위 감소를 겪은 2011년 이후, 비수도권으로의 이전 확률이 한층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비수도권 이전 보조금 제도의 도입 이후 관측된 비수도권으로의 이동 경향 증가가 상당 부분 토지이용비용, 집적의 경제 및 시장 접근성 등의 요인에 의해 설명되며, 보조금 지원 자체에 기인한 효과라고 보기 어려움을 의미한다. 아울러 경제활동의 비수도권 입지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는것 보다 비수도권 지역의 물리적, 환경적 제약을 완화하고, 토지 등의 생산요소 비용 절감, 수도권과의 연계 강화 등을 통해 제조업체의 경영 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군수.조경엽.이석기.이제연.좌승희, 2007, 수도권 기업입지규제 개혁에 관한 연구,경기: 경기연구원. pp.1-6.
  2. 박정일, 2015, 고용접근성에 기반한 산업단지 교외화 지수개발 및 적용, 국토계획, 50(6), pp.159-172.
  3. 박정일.서연미, 2016. 패널자료 구축을 통한 대도시권 지식기반산업의 창업.폐업 및 이전 특성 분석, 국토계획, 51(1), pp.93-112.
  4. 박헌수.정수연.권대한, 2004, 수도권 규제효과에 관한 연구: 수도권 규제가 기업의 생산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경기: 경기개발연구원, 2004-02.
  5. 이한일.이번송, 2002, 수도권내 이전제조업체의 입지결정 요인분석, 국토계획, 37(7), pp.103-116.
  6. 전경구, 2015, 대도시권 산업단지 조성이 기업입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50(2), pp.33-48.
  7. 정윤선, 2015, 기업의 지역간 이동분석 및 정책적 과제, 세종: 산업연구원.
  8. 조광래, 2010, 수도권 기업이전 지원정책의 효율성과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39-160.
  9. 조광래.구교준, 2015,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효율성 분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323-1338.
  10. 조혜영.김광국.이경아, 2014, 지역투자 촉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산업단지공단.
  11. 홍성호, 2012, 충북 이전 수도권 기업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충북 FOCUS, 56, pp.1-28.
  12. 홍진기, 2012,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제도의 추진현황과 정책과제, KIET 산업경제 통권, 168, pp.52-60.
  13. Arauzo-Carod, J. M., Manjon-Antolin, M., and Martinez, O, 2015, The relocation of R&D establishments in France: an empirical analysis, Investigaciones Regionales-Journal of Regional Research, 33, pp.97-119.
  14. Beaudry, C. and Schiffauerova, A., 2009, Who's right, Marshall or Jacobs? The localization versus urbanization debate, Research Policy, 38(2), pp. 318-337. https://doi.org/10.1016/j.respol.2008.11.010
  15. Brouwer, A. E., Mariotti, I., and Van Ommeren, J. N., 2004, The firm relocation decisi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38(2), pp.335-347. https://doi.org/10.1007/s00168-004-0198-5
  16. De Bok, M., and Sanders, F., 2005, Firm relocation and accessibility of locations empirical results from the Netherland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02, pp.35-43.
  17. Duranton, G. and Puga, D., 2001, Nursery cities: urban diversity, process innovation, and the life cycle of products, American Economic Review, pp.454-1477.
  18. Holl, A., 2004, Start-ups and relocations: manufacturing plant location in Portugal, Papers in Regional Science, 83(4), pp.649-668. https://doi.org/10.1111/j.1435-5597.2004.tb01932.x
  19. Knoben, J. and Oerlemans, L. A. G., 2008, Ties that spatially bind? a relational account of the causes of spatial firm mobility, Regional Studies, 42(3), pp.385-400. https://doi.org/10.1080/00343400701291609
  20. Kronenberg, K., 2013, Firm relocations in the Netherlands: Why do firms move, and where do they go?, Papers in Regional Science, 92(4), pp.691-713. https://doi.org/10.1111/j.1435-5957.2012.00443.x
  21. Lee, Y., 2008, Geographic redistribution of US manufacturing and the role of state development policy, Journal of Urban Economics, 64(2), pp.436-450. https://doi.org/10.1016/j.jue.2008.04.001
  22. Leone, R. A. and Struyk, R., 1976, The incubator hypothesis: evidence from five SMSAs, Urban Studies, 13(3), pp.325-331. https://doi.org/10.1080/00420987620080611
  23. Lloyd, P. E., and Dicken, P., 1977, Location in space: a theoretical approach to economic geography, London; New York: Harper & Row.
  24. Manjon-Antolin, M. C. and J.-M. Arauzo-Carod, 2011, Locations and relocations: determinants, modelling, and in terrelations,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47(1), pp.131-146. https://doi.org/10.1007/s00168-009-0360-1
  25. Van Dijk, J., and Pellenbarg, P. H., 2000. Firm relocation decisions in The Netherlands: An ordered logit approach, Papers in Regional Science, 79(2), pp.191-219. https://doi.org/10.1007/s101100050043
  26. van Wissen, L., 2000, A micro-simulation model of firms: applications of concepts of the demography of the firm, Papers in Regional Science, 79(2), pp.111-134. https://doi.org/10.1007/s101100050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