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Accidents related Multiple Sclerosis and Its Implications

다발성 경화증의 업무상 재해 인정과 그 시사점 : 대법원 2017. 8. 29. 선고 2015두3867 판결을 중심으로

  • 전병주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7.09.13
  • Accepted : 2017.09.26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Despite the government operating various preventive programs to ward off accidents and diseases on business sites, diseases rates are not decreasing, unlike accident rates. In many cases, diseases caused by work have a latent period before symptoms appear or progress over a longer term, making it difficult for workers to prove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ir work and the diseases. Moreover, data related to the business site are mostly owned by the employer. Even if the employee has access to parts of such data, his lack of medical expertise limits his abilit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s and how it appears. In August, 2017 the Supreme Court did an about-face with its ruling on the case involving diseases caused by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in work environments, by easing the burden of proof on the employees. As such,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to analyze cases involving diseases that have occurred in work environments and present their implications. In doing so, the study seeks to provide a basic set of data that can help secure the employees' labor rights and rights to health by complementing the current law in relation to recognizing industrial incidents caused by rare diseases and making work environments safer for employees.

산업현장에서의 사고와 질병을 차단하기 위해서 정부가 각종 예방대책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 재해율과 달리 질병 재해율은 감소하지 않고 있다. 업무상 질병은 잠복기를 거치고 발병되거나,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서 근로자는 업무와 질병 사이의 인과관계를 증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더욱이 산업현장과 관련된 자료는 대부분 사용자에게 있으며, 자료의 일부가 근로자에게 있더라도 의학적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질병의 특성 및 발현과정을 규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2017년 8월 대법원은 첨단산업 분야에서 유해화학물질 노출에 의한 직업병(다발성 경화증)의 업무상 재해를 인정함에 있어 근로자의 증명책임을 완화한 전향적 판결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사건을 중심으로 첨단산업 현장에서 발생한 업무상 질병 사건에 대한 판례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희귀질환의 업무상 재해 인정에 대한 관련 법률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근로자가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함으로써 건강권과 노동권을 담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발생 현황, 2017.
  2. 조재호, "업무상 질병의 인과관계 증명책임," 사회보장법연구, 제6권, 제1호, pp.1-57, 2017.
  3. 김구열, 김재원, 손익찬, "업무상 질병 여부에 대한 증명책임과 근로자의 건강권 보장," 공익과 인권, 제14호, pp.49-133, 2014.
  4. 반올림, 산업재해 현황, 2016.
  5. 오윤식, "업무상 재해 요건과 증명책임," 저스티스, 제140호, pp.365-392, 2014.
  6. 임자운, "첨단산업의 유해성과 그 해소 방안," 노동법연구, 제39호, pp.51-88, 2015.
  7. 이달휴, "미국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있어서 질병에 대한 업무상 판단," 법학논고, 제47호, pp.405-438, 2014.
  8. R. J. Buchanan and C. Huang, "Informal caregivers assisting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International Journal of MS Care, Vol.13, pp.177-187, 2011. https://doi.org/10.7224/1537-2073-13.4.177
  9. 이인정, "다발성 경화증 환자 배우자의 돌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2호, pp.151-191, 2016.
  10. C. Bowen, A. MacLehose, and J. G. Beaumont, "Advanced multiple sclerosis and psychosocial impact on families," Psychology and Health, Vol.26, No.1, pp.113-127, 2011. https://doi.org/10.1080/08870440903287934
  11. 황규상, 유근정, 이수영, 이준영, 김두리, 홍가경, 신용진, "자하거 약침 단독치료로 호전된 다발성 경화증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38권, 제2호, pp.289-300, 2017. https://doi.org/10.22246/jikm.2017.38.2.289
  12. 박지순, 이주원, "산재보험급여소송에서 업무상재해의 증명책임," 고려법학, 제63호, pp.37-72, 2011.
  13. 김종영, 김희윤, "반올림 운동과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 경제와 사회, 제109호, pp.113-152,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