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fferent Influence of the Types of Perceived Brand Image on the Brand Preference and Behavioral Intentions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이 브랜드 선호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박카스 '나를 아끼자' 광고캠페인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7.18
  • Accepted : 2017.08.10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types of perceived brand image related to the main concept building brand equity affect 'brand preference'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perceived brand image is set as the brand image type perceived by the consumer from the image pursued by the corporate brand, while in addition to brand preference, behavioral intentions are set as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the result variables. The result shows that the types of perceived brand image were extracted as 'factor 1(challenge spirit)' and factor 2(reliability) and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3 groups under each type were identified.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fluence of each type of perceived brand image on 'brand preference', 'purchase intention' and 'recommend intention' was indicate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brand image types were found to be higher in order of 'challenge spirit type', 'reliability type', 'integrated type'. The empirical implement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classifies the concept of brand image not as a broad theoretical model, but as a model directly related to real consumer perception, and that it gives practical suggestion for brand image management related to advertising.

본 연구는 기업 브랜드 자산을 형성하는 주요개념인 브랜드 이미지와 관련하여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의 유형에 따라 브랜드 효과로서의 브랜드 선호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는 기업 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서 실제로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이미지 유형으로 설정하고, 브랜드 선호도와 함께 행동의도로는 구매의도와 추천의도로 각각 결과변인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은 크게 2가지로 '요인1(도전)'과 '요인2(신뢰)'로 추출되었으며, 군집분석을 통해 3개의 각 유형 별 집단을 확인하였다. 각 집단 별로 다르게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은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 별 차이는 '도전 형', '신뢰 형', '통합 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다소 광범위한 이론으로 분류되는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개념을 실제 소비자 지각 차원으로 접근하여 실무사례에 적용한 연구로서 실증적 가치를 지니며, 무엇보다 광고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관리의 실무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경, "브랜드 이미지 유형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커뮤니케이션 요인에 관한 연구: I-PRos의 영향과 광고역할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5권, 제4호, pp.155-184, 2004.
  2. 김신애, 권기대, 이점수, "브랜드의 다차원적 이미지가 브랜드신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 연구, 제11권, 제2호, pp.35-46, 2013.
  3. 장후석, 임종욱, "브랜드도 생명이다 : 브랜드 수명주기 관리 전략," 현대경제연구원 8-9, 2002.
  4. 요코야마 류지, 제일기획 옮김, 트리플 미디어 전략, 흐름출판, 2011.
  5. 성열홍, 딥씽킹, 21세기북스, 2014.
  6. 한일수, 이미지 마케팅, EN문고, 1993.
  7. A. Kirmani and V. Zeithaml, Advertising Perceived Quality & Brand Image, in D. A. Aaker and A. L. Biel, ed., Brand Equity and Advertising's Role in Building Strong Bran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3.
  8. 함창대, 디지털시대, 미국 광고 캠페인의 전략적 변화, 한국광고협회 광고정보센터 매거진 글로벌트렌드, 2012. (https://www.adic.or.kr/)
  9. L. Bivainiene, Brand Life Cycle: Theoretical Discourses, Economics & Management, pp.408-414, 2010.
  10. 구환영, 장수제품의 브랜드 수명 주기 향상을 위한 리노베이션 전략 구축,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1. 안혜신, "성숙기 브랜드 재활성화를 위한 캠페인 전략 연구: 백설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pp.1518-1524, 2012.
  12. P. Kotler,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New Jersey: Prentice Hall, 1988.
  13. 김삼희, N세대 외식소비자의 iVALS 유형에 따른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4. D. Dobni and G. M. Zinkhan, "In Search of Brand Image : A Foundation Analysi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7, pp.110-119, 1990.
  15. 홍종필, "광고를 통한 브랜드 개성의 창조와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대한 개념적 고찰 및 연구명제의 제안,"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13권, 제4호, pp.671-698, 2012.
  16. K. L. Keller, Strategic Brand Management, New Jersey: Prentice Hall, 1998.
  17. 최원주, "기업 이미지 관리를 위한 기업광고의 전략적 접근 : 소비자의 광고 태도를 중심으로," 주관성연구, pp.41-58, 2010.
  18. 이상은, 매체간 컬러의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고려대학교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19. M. Sujan and J. R. Bettman, "The Effect of Brand Positioning Strategies on Consumers' Brand and Category Perceptions : Some Insights from Schema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6, pp.454-467, 1989. https://doi.org/10.2307/3172765
  20. 김신엽, 권승경, 백지희, "트랜스미디어 경험이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박카스 셀프스캐너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643-65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643
  21. 권승경, 브랜드 트랜스-액션을 통한 미디어 경험 확장과 관계적 효용성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2. S. Anantchart, A Theoretical Study of Brand Equity: Re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he Construct from an Individual Consumer Perspecti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1998.
  23. 김지영, 강효순, "텔레비전 광고의 요소와 브랜드선호도와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185-19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185
  24. W. Boulding, A. Kalra, R. Staelin, and V. A. Zeithaml,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0, No.1, pp.7-27, 1993. https://doi.org/10.2307/3172510
  25. W. Lassar, B. Mitta, and A. Sharma, "Measur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Th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12, No.4, pp.11-19, 1995. https://doi.org/10.1108/07363769510095270
  26. J. B. Faircloth, L. M. Capella, and B. L. Alford, "The Effect of Brand Attitude and Brand Image on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l.9, No.3, pp.61-75, 2001. https://doi.org/10.1080/10696679.2001.11501897
  27. 김봉관, 김태우, 이승진, "브랜드자산 형성요소들간의 구조적 관계," 마케팅논집, 제11권, 제3호, pp.27-54, 2003.
  28. D. A. Aaker,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Free Press, 1996.
  29. S. B. MacKenzie, R. J. Lutz, and G. E. Belch,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3, pp.130-143, 1986. https://doi.org/10.2307/3151660
  30. O. Torlak, B. Y. Ozkara, M. A. Tiltay, H. Cengiz, and M. F. Dulger, "The Effect of Electronic Word of Mouth on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 An Application Concerning Cell Phone Brands for Youth Consumers in Turkey," Journal of Marketing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Vol.8, No.2, pp.61-68, 2014.
  31. M. W. Nyadzayo and S. Khajehzadeh, "The antecedents of customer loyalty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quality and brand image,"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30, pp.262-270, 2016.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16.02.002
  32. S. Saleem, S. U. Rahman, and R. M. Umar, "Measuring Customer Based Beverage Brand Equit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Vol.7, No.1, pp.66-77, 2015.
  33. http://www.tvcf.co.kr
  34.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43638&cid=41989&categoryId=4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