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Social Welfare Officials' Social Welfare Values

사회복지 공무원을 위한 사회복지가치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진선미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 김예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Received : 2017.07.13
  • Accepted : 2017.08.18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ing newly hired social welfare and reshuffled officials' welfare value. To this end, it verified social welfare officials' perceptions on welfare mind and value, and drew educational necessity throug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and incumbent officials, and thus developed the educational program of welfare value.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First, educational contents were designed for them to directly share three factors in social welfare value and also think examples observed in the field. Second, the educational method was organized to share opinions each other through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and provide feedbacks. From th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 can be fou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develop and implement the educational program adjusted for each position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in order for social welfare officials to internalize the fundamental welfare value that they should have.

본 연구는 신규 사회복지 공무원과 배치전환 공무원의 복지가치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재 근무중인 사회복지 공무원의 복지마인드, 복지가치에 대한 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전문가 및 현업 공무원 인터뷰를 통하여 교육 필요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복지가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 내용은 사회복지 가치의 세 가지 요소를 직접적으로 공유하고 현업에서의 실 사례 등을 함께 생각해보며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교육 방법은 토론 및 발표를 통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주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 공무원이 기본적으로 가져야 할 복지가치가 내면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신규 직부터 직급별에 맞춰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법률저널, 2016.01.19.
  2. 이기영, 최명민, "사회복지 전문인력 개발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 No.1, pp.1-52, 2006.
  3. 김기덕, "하버마스 비판이론의 사회복지 실천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의사소통행위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4, pp.119-139, 2006.
  4.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17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교육 프로그램, 2017.
  5. 박성희,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마인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 주재정, 공무원의 조직몰입이 사회복지 마인드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7. L. Dominelli, Social Work: Theory and Practice for a Changing Profession, Oxford: Polity Press, 2004.
  8. M. Rokeach, Belief, Attitude and Values, San Francisco: Jossey-Bass, 1970.
  9. 조은숙, 김종태,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이 직무가치관과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1, No.11, pp.133-141,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1.133
  10. J. Rest, Moral Development, New York: Praeger, 1986.
  11. D. Menzel, Ethics Moments in Government: Cases and Controversies, Boca Raton, Fl: CRC Press, 2010.
  12. 행정안전부, 공직가치 교육 자료집, 서울: 행정안전부, 2010.
  13. 한국인사행정학회, 공무원 공직가치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2014.
  14. 김용석, 고은정, "사회복지 가치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1, pp.277-30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