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예비유아교사의 기본심리욕구와 인성이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n Flourish

  • 투고 : 2017.08.15
  • 심사 : 2017.10.26
  • 발행 : 2017.10.31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in order to increase the flourish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y examining pre-service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n flourish.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usa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the level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characteristics and flourish of pre-service teachers was above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characteristics and flourish.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on flourish than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clusion/Implications: The main variables predict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lourish are characteristic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s characteristic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pre-service teachers are promoted, the flourish of pre-service teachers is increa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등 (2008). 인성교육. 서울: 양서원.
  2. 강영하 (2012). 행복 연구가 교육에 주는 시사점. 초등교육연구, 25(2), 1-21.
  3. 강은주 (2017). 보육교사의 인성과 행복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강지영 (2009). 유치원교사의 역량강화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강현미 (2016).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강현미, 황해익 (2015).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167-187. doi:10.14698/jkcce.2015.11.167
  7. 강현미, 황해익 (2016).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1(3), 87-116. doi:10.20437/KOAECE21-3-04
  8. 고연경, 장석경, 이정아 (2013). 예비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인성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2(1), 19-34.
  9. 고영미, 유영의, 권혜진 (2017).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기본심리욕구, 내적 통제 소재,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7(1), 29-50. doi:10.18023/kjece.2017.37.1.002
  10.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구재선, 서은국 (2015). 청소년의 내재적 가치 지향과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미래 행복의 관계 구조 분석. 청소년학연구, 22(10), 317-338.
  1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2017).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에서 2017년 6월 12일 인출
  13. 권미나, 이진숙 (2015).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본심리 욕구, 행복감과의 관계. 아동과 권리, 19(4), 589-610.
  14. 권성민 (2011).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15.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성취감의 조절 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4), 597-609.
  16. 김미진, 황해익 (2015).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65-94.
  17. 김민숙, 민정숙, 옥진선, 정영숙, 홍인숙 (2012). 상담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능력, 직무만족도, 상담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3(2), 1-19.
  18. 김병만, 김미진 (2016). 유아교사의 사회적 상호능력과 행복감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5(4), 169-192.
  19. 김여흠, 이윤주 (2013). 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불안, 공감, 사회적 기술, 분노 표현양식,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구조 방정식 모델 검증. 상담학연구, 14(3), 1587-1604.
  20. 김요셉 (2009).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이 청소년기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김은주 (2007). 부모자녀관계와 자기결정성 요인들이 대학신입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1(3), 539-555.
  22. 김현주 (2016). 영상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6), 25-48.
  23. 노현종, 손원숙 (2014). 초등학생의 내, 외재적 생애목표와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2), 355-378.
  24. 류덕엽 (2014). 초등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학교조직문화, 교사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류미향, 김성숙 (2013). 교사자질로서 인간관계 능력에 관한 고찰: 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8(2), 155-176.
  26. 문은식 (2015).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 친구의 사회적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9(4), 737-756. doi:10.17286/KJEP.2015.29.4.05
  27. 문지영 (2016).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 하위유형 분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문태형 (2016). 예비유아교사의 미래지향목표 및 기본심리욕구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5(1), 5-19. doi:10.17643/KJCE.2016.25.3.09
  29. 박유진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박진성 (2015).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97-118.
  31. 박찬옥, 서동미, 엄은나 (2013). 유아사회교육. 파주: 정민사.
  32. 안도희 (2008). 자율성지지, 기본적 욕구,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5(5), 315-338.
  33. 엄은나 (2016).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아탄력성, 행복감,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53-78.
  34. 엄은나, 전우경, 서동미 (2016). 유아교사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기평가. 유아교육학논집, 20(1), 73-95.
  35. 오재연, 남민우 (2016).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교직에 대한 태도, 다문화교수변인이 다문화교수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2(3), 41-60. doi:10.14698/kjece.2016.12.03.041
  36. 유신복, 이명숙 (2016). 대학생용 학교기본심리욕구 척도의 타당화. 중등교육연구, 64(1), 131-158.
  37. 이경민, 박주연 (2015). 유아교사의 행복, 소진, 이직의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5(6), 33-48.
  38. 이명숙 (2016). 메타인지능력이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기본심리욕구의 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779-798.
  39. 이명희, 김아영 (2008).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심리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사회 및 성격, 22(4), 157-174.
  40. 이성아 (2014).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윤희 (2009).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자아정체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재선, 조아미 (2006). 청소년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3(6), 79-100.
  43. 이현수 (2008). 긍정적 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44. 장희선 (2017).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303-323. doi:10.20437/KOAECE22-1-12
  45. 전대수 (2012).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대인관계가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전재선 (2011).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전재선 (2013).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보육학회지, 13(4), 305-327.
  48. 정다우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1, 49-70.
  49. 정명자 (2016). 유아교사의 인성 및 교사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조벽 (2016). 인성이 실력이다. 서울: 해냄.
  51. 채영문, 곽수진 (2013). 대학생의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공감능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2(6), 599-613.
  52. 한송이, 장석진 (2015).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이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4), 459-479.
  53. 황선영 (2016). 유아교사 인성이 교사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0(6), 5-24.
  54. 황해익 (2016).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5(1), 135-159.
  55.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5).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성, 희망, 정서성 간의 구조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35(3). 365-386.
  56. 황해익, 탁정화 (2014).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향유 신념의 조절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153-177.
  57. 최윤정, 이경민 (2012). 유아교사의 행복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32(1), 395-415.
  58. Ben-Shahar, T. (2008).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해피어(노혜숙 옮김). 서울: 위즈덤하우스(원판 2003).
  59. Butler, J., & Kern, M. L. (2016). The PERMA-Profiler: A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flouris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6(3), 1-48. doi:10.5502/ijw.v6i3.526
  60.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104_01
  61. Deci, E. L., & Ryan, R. M.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62. Diener, E. (1998).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n the structure of emo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5), 803-804. doi:apa.org/journals/psp/76/5/803 https://doi.org/10.1037//0022-3514.76.5.803
  63. Hoggard, L. (2006). How to be happy, 행복(이경아 옮김). 서울: 예담(원판 2005).
  64. Kasser, V., & Ryan, R. M. (1999). The relation of psychological needs for autonomy and relatedness to vitality, well being, and mortality in s nursing hom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9(5), 935-954. doi: 10.1111/j.1559-1816.1999.tb00133
  65. Lopez, S. J., & Snyder, C. R. (2008). Positive psychological asses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6. Lyubomirsky, S. (2008).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오혜경 옮김). 서울: 지식노마드(원판 2007).
  67. Minor, L. C., Onwuegbuzie, A. J., Witcher, A. E., & James, T. L. (2002).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their perceptions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6(2), 116-127. https://doi.org/10.1080/00220670209598798
  68. Reeve, J. (2014).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NJ: John, Wiley & Sons.
  69. Reis, H. T., Sheldon, K. M., Gable, S. L., Roscoe, J., & Ryan, R. M. (2000). Daily well-being: The role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4), 419-435. doi: abs/10.1177/0146167200266002
  70. Ryan, R. M., & Deci, E. L. (2002).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3-33). NY: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71. Ryan, R., & Grolnick, W. (1986). Origins and pawns in the classroom: self-report and projective assessment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p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3) 550-558. doi: apa.org/journals/psp/50/3/550 https://doi.org/10.1037/0022-3514.50.3.550
  72. Seligman, M.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73. Seligman, M. E. P., Park, N., & Peterson, C. (2004). The Values In Action (VIA) classification of character strengths. Ricerche di Psicologia, 27(1), 63-78.
  74. Van Petegem, K., Creemers, B. P., Rossel, Y., & Aelterman, A. (2005).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teacher behavior and teacher welling. The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40(2), 34-43.
  75. Wright, B. A., & Lopez, S. J. (2002). Widening the diagnostic focus: A case for including human stre ngths and environmental resources.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26-44). NY: Oxford University Press. doi: 10.1093/oxfordhb/9780195187243.013.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