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콘텐츠의 공간적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

Analyzing content placement interface requirements in a multi-display environment

  • 발행 : 2017.09.30

초록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미디어아트를 비롯한 다양한 예술작품을 전시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배치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디스플레이와 콘텐츠간의 1:1 혹은 N:1 배치가 아니라 1:N 혹은 N:N의 배치에서는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멀티 디스플레이에서 공간적, 시간적 배치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보다 복합적인 계획이 요구된다. 콘텐츠 배치를 위해 기존에는 미디어서버 솔루션을 활용하거나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제작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는데 콘텐츠를 재 배치 하거나 수정보완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만 아니라 수정 하는 과정 또한 쉽지 않아 많은 아티스트들이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콘텐츠를 배치하는 부분에 있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배치 방식에 대한 연구부터 기존 방식을 개선시킨 콘텐츠 배치 소프트웨어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체계적인 콘텐츠 배치 유형에 대한 분석이나 이를 실제 전시공간에서 쉽게 활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 또한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 분석된 콘텐츠 배치 유형을 멀티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미디어아트를 비롯한 다양한 작품 활동에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각 유형별로 인터페이스를 설계에 필요한 요구사항들을 정리하였다. 콘텐츠 배치 시 가장 크게 구분되는 공간적(spatial)배치와 시간적(temporal)배치 유형을 중심으로 각 유형별 인터페이스의 요구사항들을 도출하였으며 이와 같이 정리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에 관한 내용들은 향후 인터페이스 설계와 통합적인 콘텐츠 배치 시스템 개발을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In order to display various art works such as media art in a multi-display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ntents arrangement. The advantage of having a 1: N or N: N layout instead of a 1: 1 or N: 1 layout between display and content, but a more complex scheme of how to do spatial and temporal layout in multi-display Is required. In order to distribute contents, existing media server solution or programming-based multimedia production software is used. However, it takes much time to rearrange or modify the contents, and it is not easy to modify the content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lace content in the environm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approaches are needed from research on content placement method to development of content placement software that improves the existing method. However, analysis on systematic content placement type supporting it, or interface There is also no access to. In this study, we have summarized the requirements for designing the interface for each type with the aim of making it possible to utilize previously analyzed content layout types in various display activities such as media art in multi - display environment. The requirements of each type of interface were derived based on spatial arrangement and temporal layout type which are most distinguished when content is placed. The contents of the interface require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We expect to be a cornerstone for system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태승,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를 위한 스케치 기반 인터페이스의 활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10)
  2. 김효용.임순범, 멀티 디스플레이(Multi-Display)환경에서의 콘텐츠 공간배치 유형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Vol. 13 No. 2(2017)
  3. 목진요, 미디어아트 작품의 진화하는 기술기반에 관하여-SoriColumn의 피지컬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Vol.31 (2011), pp.205
  4. 박정희, 가상전시 공간의 효율적 이용연구-가상갤러리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Vol. 15(2007), pp.260.
  5. 전소연.임순범, 멀티 디스플레이 콘텐츠 전송 시스템을 위한 디바이스 연결 및 배치 인식 기법의 연구,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제19권 8호(2016)
  6. Fabio Paterno, Carmen Santoro, A Logical Framework for Multi-Device User Interfaces, CNR-ISTI,HIIS Laboratory, 2012.
  7. Hyo-Yong Kim, Sung-Bong Yang, Soon-Bum Lim, Interactive Contents Composition in Media Art of Multi-Display Environment , Asia Life Science, 2015.
  8. Precious Design Studio , http://precious-forever.com
  9. VVVV, http:// www.vvvv.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