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용배. (2004). 농촌마을공동체의 역량강화 사례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8(4), 5-26.
- 김경희, 오대민, & 정충섭. (2017). 농촌 지역사회개발의 학습단계와 주민역량 강화. 농촌지도와 개발, 24(1), 49-61.
- 김기홍. (2012). 마을개발 경험에 관한 유형별 에스노그래피;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사회혁신연구, 3(1), 43-76.
- 김성수, 권도하, 이채식, & 최영창. (2005).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새마을운동의 공유. 농촌지도와 개발, 12(2), 271-286.
- 김영수, & 박종안. (2009). 한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성공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농촌체험관광마을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9(2), 167-206.
- 내무부. (1973-1982). 새마을운동 : 시작에서 오늘까지. 서울: 내무부.
- 박덕병. (2002). 시민사회 ,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위한 지역사회개발 프로젝트로서 그린투어리즘. 지역사회발전연구, 27(1), 151-170.
- 박섭, & 이행. (1997). 근현대 한국의 국가와 농민: 새마을 운동의 정치사회적 조건. 한국정치학회보, 31(3), 47-67.
- 박준식, 정동일, & 성경륭. (2009). 지역 낙후성의 구조와 전환을 바라보는 이론적 접근; 사회적, 창조적 자본이론의 관점. 지역사회학, 10(2), 31-62.
- 소진광, & 김선희. (2010). 새마을운동을 통한 마을 공간구조 개편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 소진광. (2004). 사회적 자본 형성을 통한 지방자치와 지역발전의 연계화 방안. 지방행정연구, 18(2), 67-90.
- 소진광. (2007). 지역사회 거버넌스와 한국의 새마을운동. 한국지방자치학회보, 59(3), 93-112.
- 윤원근. (2010). 한국농촌개발정책의 시기별 전개와 구성요소의 변화. 농촌지도와 개발, 17(2), 279-304.
- 이미숙. (2014). 새마을교육에 기반한 개도국 인적역량개발 전략. 한국지방자치연구, 14(4), 113-130.
- 이미숙. (2015). 한국 국제개발협력 중점협력국 사회적자본 특성 비교. 한국비교정부학보, 19(2), 1-22.
- 이양수, & 최외출. (2013). 상향식 지역사회발전 전략으로서 새마을운동의 추진동력: 신뢰와 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21(1), 125-146.
- 이재열. (2006).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지역사회학, 8(1), 33-67.
- 이현정. (2012). 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마을공동체의 역동성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희창, & 박희봉. (2010). 신뢰와 제도의 관계 : 문화이론과 제도이론의 효과 비교.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4(2), 131-156.
- 정기환. (2003).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 존재 양태 분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정동일, 성경륭. (2010). 창조적 지역발전과 그룹지니어스; 신활력사업 대상 낙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4(1), 60-97.
- 채구묵. (2016).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파주: 양서원.
- 허장, & 정기환. (2003). 농촌마을의 발전과 새로운 리더십. 농촌사회, 13(1), 51-83.
- 황연수. (2006). 농촌 새마을운동의 재조명. 농업사연구, 5(2), 17-53.
- Eom, S.-J. (2011). Synergy between State and Rural Society for Development: An Analysis of the Governance System of the Rural saemaul Undong in korea. Korea Observer, 42(4), 583-620.
- Flora, C. B., & Flora, J. L. (1993). Enterpreneurial social infrastructure: A necessary ingredient.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39, 48-58.
- Gittel, R., & Avis, V. (1998). Community organizing: Building social capital as a development strategy. Thousand Oakes, CA: Sage.
- Lawler, E. J., & Yoon, J. (1996). Commitment in exchange relations: Test of a theory of relational cohes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1(1), 89-108. https://doi.org/10.2307/2096408
- Putnam, R. D.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993(13), 35-42.
- Saegert, S., Phillip, T., & Mark, W. (2001). Social capital and Poor Communities. New York, NY: Russel Sage Foundation.
- Saxenian, A. L. (1994). Regional advantage: Culture and competition in Silicon Valley and Route 128.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Uphoff, N. (2000). Understanding social capital: Learning from the analysis and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Partha Dasgupta and Ismail Serageldin (eds.), Social capital: A multifaceted perspective, Washington, DC: World Bank.
- Woolcock, M. (1998).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Theory and Society, 27 (2), 151-208. https://doi.org/10.1023/A:1006884930135
- Yamagishi, T. (2001). Trust as a form of social intelligence. In: Cook Karen S (ed.). Trust in society. New York, NY: Russell Sage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