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Korean Village - Experience of Saemaul Undong in the 1970s -

한국 마을단위 사회적 자본의 형성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경험-

  • Lee, Misook (Department of Saemaul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Yeungnam University)
  • 이미숙 (영남대학교 새마을국제개발학과)
  • Received : 2017.08.11
  • Accepted : 2017.09.15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dynamics of the Saemaul Undong in the village which is a unit of saemaul development i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122 success village stories of Saemaul Undong in 1970~1979.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it extracted the social capital elements in the Saemaul Undong practice process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s, which are structural capital, actively developed. Saemaul Undong contributed to formation and strengthening of relational capital such as trust and norms. This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research on Saemaul Undong, and it can be used as an index of the participation of villagers in rural development strategy of developing countries.

Keywords

References

  1. 강용배. (2004). 농촌마을공동체의 역량강화 사례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8(4), 5-26.
  2. 김경희, 오대민, & 정충섭. (2017). 농촌 지역사회개발의 학습단계와 주민역량 강화. 농촌지도와 개발, 24(1), 49-61.
  3. 김기홍. (2012). 마을개발 경험에 관한 유형별 에스노그래피;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사회혁신연구, 3(1), 43-76.
  4. 김성수, 권도하, 이채식, & 최영창. (2005).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새마을운동의 공유. 농촌지도와 개발, 12(2), 271-286.
  5. 김영수, & 박종안. (2009). 한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성공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농촌체험관광마을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9(2), 167-206.
  6. 내무부. (1973-1982). 새마을운동 : 시작에서 오늘까지. 서울: 내무부.
  7. 박덕병. (2002). 시민사회 ,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위한 지역사회개발 프로젝트로서 그린투어리즘. 지역사회발전연구, 27(1), 151-170.
  8. 박섭, & 이행. (1997). 근현대 한국의 국가와 농민: 새마을 운동의 정치사회적 조건. 한국정치학회보, 31(3), 47-67.
  9. 박준식, 정동일, & 성경륭. (2009). 지역 낙후성의 구조와 전환을 바라보는 이론적 접근; 사회적, 창조적 자본이론의 관점. 지역사회학, 10(2), 31-62.
  10. 소진광, & 김선희. (2010). 새마을운동을 통한 마을 공간구조 개편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11. 소진광. (2004). 사회적 자본 형성을 통한 지방자치와 지역발전의 연계화 방안. 지방행정연구, 18(2), 67-90.
  12. 소진광. (2007). 지역사회 거버넌스와 한국의 새마을운동. 한국지방자치학회보, 59(3), 93-112.
  13. 윤원근. (2010). 한국농촌개발정책의 시기별 전개와 구성요소의 변화. 농촌지도와 개발, 17(2), 279-304.
  14. 이미숙. (2014). 새마을교육에 기반한 개도국 인적역량개발 전략. 한국지방자치연구, 14(4), 113-130.
  15. 이미숙. (2015). 한국 국제개발협력 중점협력국 사회적자본 특성 비교. 한국비교정부학보, 19(2), 1-22.
  16. 이양수, & 최외출. (2013). 상향식 지역사회발전 전략으로서 새마을운동의 추진동력: 신뢰와 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21(1), 125-146.
  17. 이재열. (2006).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지역사회학, 8(1), 33-67.
  18. 이현정. (2012). 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마을공동체의 역동성 비교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이희창, & 박희봉. (2010). 신뢰와 제도의 관계 : 문화이론과 제도이론의 효과 비교.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4(2), 131-156.
  20. 정기환. (2003). 농촌지역의 사회적 자본 존재 양태 분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1. 정동일, 성경륭. (2010). 창조적 지역발전과 그룹지니어스; 신활력사업 대상 낙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4(1), 60-97.
  22. 채구묵. (2016).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파주: 양서원.
  23. 허장, & 정기환. (2003). 농촌마을의 발전과 새로운 리더십. 농촌사회, 13(1), 51-83.
  24. 황연수. (2006). 농촌 새마을운동의 재조명. 농업사연구, 5(2), 17-53.
  25. Eom, S.-J. (2011). Synergy between State and Rural Society for Development: An Analysis of the Governance System of the Rural saemaul Undong in korea. Korea Observer, 42(4), 583-620.
  26. Flora, C. B., & Flora, J. L. (1993). Enterpreneurial social infrastructure: A necessary ingredient.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39, 48-58.
  27. Gittel, R., & Avis, V. (1998). Community organizing: Building social capital as a development strategy. Thousand Oakes, CA: Sage.
  28. Lawler, E. J., & Yoon, J. (1996). Commitment in exchange relations: Test of a theory of relational cohes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1(1), 89-108. https://doi.org/10.2307/2096408
  29. Putnam, R. D.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993(13), 35-42.
  30. Saegert, S., Phillip, T., & Mark, W. (2001). Social capital and Poor Communities. New York, NY: Russel Sage Foundation.
  31. Saxenian, A. L. (1994). Regional advantage: Culture and competition in Silicon Valley and Route 128.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2. Uphoff, N. (2000). Understanding social capital: Learning from the analysis and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Partha Dasgupta and Ismail Serageldin (eds.), Social capital: A multifaceted perspective, Washington, DC: World Bank.
  33. Woolcock, M. (1998).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Theory and Society, 27 (2), 151-208. https://doi.org/10.1023/A:1006884930135
  34. Yamagishi, T. (2001). Trust as a form of social intelligence. In: Cook Karen S (ed.). Trust in society. New York, NY: Russell Sage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