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Systematic Approach to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 Focused on the Group Comparison according to their Suicidal Ideation in the Previous Year -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태체계적 접근 - 전년도 자살생각 여부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3.30
  • Accepted : 2017.06.01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es to get related basic materials and grope for a way to prevent or treat suicidal ideation. For the researches, the study examined eco-systematical variables of suicidal ideation of those who are 65 years or older, and the influence of the change in the eco-systematical variables by using the source materials researched in sixteen cities/provinces over the country from KOWEPS(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then reviewed if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y had suicidal ideation or thought in the previous year.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each variable of the ecological system such as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system has an effect on the elderly's suicidal ideation, and there is difference in the influence factor according to whether they had suicidal ideation in the previous year or not. The result implies the policy to cope with the elderly's suicide needs multidimensional approach of individual, family, and society rather than a simple individual level. And also there should be a different support or service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or conditions like previous suicidal ideation. Especially, it is quite significant that the factors do not influence the elderly who had suicidal ideation in the previous year, but have an effect on those who did not have any suicidal ideation, which means that the proactive and preventive support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would guarantee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policy.

본 연구는 자살예방 연구의 기초자료 제공과 자살생각의 예방 및 치료 방안 모색을 위해 수행하였다. 전국 16개 시/도 지역을 대상으로 한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자살생각에 생태체계 변인과 이 생태체계 변인들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년도 자살생각 여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자살생각에는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 등 각 생태체계 변인들이 영향을 미쳤는데, 전년도의 자살생각 여부에 따라 그 영향요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인의 자살문제에 대한 정책 방향이 개인차원의 접근보다 개인, 가족, 사회 등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자살생각 여부와 같은 노인들이 처한 상황이나 상태에 따라 서비스의 지원형태가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많은 요인들이 전년도에 자살생각을 한 노인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전년도에 자살생각을 하지 않은 노인에게는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자살생각에 대한 사전적이고 예방적인 지원이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을 담보할 수 있을 것임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정, 2005, "연령계층별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 보건복지포럼, 107: 81-86.
  2. 권오균.허준수, 2013,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 우울감, 절망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1(4): 65-93.
  3. 권중돈.김유진.엄태영, 2011, "노년기 자살행동 경험의 의미와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노인복지연구, 52: 419-446.
  4. 김경신, 1998,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가족가치관과 세대간 유사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2): 43-65.
  5. 김기환.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 127-152.
  6. 김대명, 2014, "생활사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직장여성과 전업주부의 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 32(2): 113-131.
  7. 김미예.김정미, 2013,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요인", 청소년학연구, 20(12): 267-293.
  8. 김소영.홍세희, 2012, "초기청소년 자살생각의 변화유형분류와 예측", 한국청소년연구, 23(1): 251-275.
  9. 김수현.최연희, 2007, "신체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7(4): 775-788.
  10. 김영택.김인순.주영수.이지연, 2009, "여성자살 현황 및 정책방안",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009(18): 1-222.
  11. 김왕배, 2010, "자살과 해체사회", 정신문화연구, 33(2): 195-224.
  12. 김윤정, 2011,"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생애주기별 자살생각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학회지, 22(3): 429-444.
  13. 김정진, 2009,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 413-437.
  14. 김형수, 2000, "노인과 자살", 노인복지연구, 10: 24-44.
  15. 김형수, 2002,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152-172.
  16. 김형수.허평화, 2010, "한국 노인자살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사회과학연구, 36(3): 195-212.
  17. 김효창, 2006, "성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5-33.
  18. 김효창.손영미, 2006, "노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2): 1-19.
  19. 남영옥, 2013,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소년학연구, 20(11): 283-304.
  20. 노용환, 2006, "자살의 경제학적 분석: 우리나라 시, 도별 패널자료를 이용한 접근", 경제학연구, 54(3): 177-200.
  21. 도문학.허만세, 2015, "노인자살의 생태체계요인에 대한 탐색연구: 자살고위험군 노인선별을 위한 ROC Curve의 적용", 사회과학연구, 31(2): 45-72.
  22. 박지은.정영, 2005, "노인의 삶의 만족도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개발연구, 10(1): 39-59.
  23. 박형민, 2008, "자살행위에서의 '소통적 자살'의 개념화: 1997-2006년 유서분석을 통해 드러난 자살행위의 '성찰성'과 '소통지향성'", 사회와 역사, 79: 129-160.
  24. 보건복지부, 2014, "2013년도 자살실태조사 요약보고서", http://www.mohw.go.kr.
  25. 서한나, 2011, "초기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종단 연구: 스트레스와 우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0(3): 629-646.
  26. 손의성.문수경, 2013, "우울증 위험군 노인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충천남도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9(11): 133-154.
  27. 송영달.손지아.박순미, 2010,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 30(2): 643-660.
  28. 신민섭, 1992, "자살 기제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자기 도피 척도의 타당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신복기.이성진, 2016, "한국 노인들의 은퇴이후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까지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43(2): 1-33.
  30. 양경미.방소연.김순이, 2012, "대학생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스트레스연구, 20(1): 41-50.
  31. 양병화, 1998,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32. 우혜경.조영태, 2013,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보건과 사회과학, 34: 5-35.
  33. 원시연, 2011, 자살예방대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34. 윤명숙.채완순, 2009, "정신장애인의 자살시도 후 극복과정",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3: 218-256.
  35. 이덕인.박현도, 2013, "자살사건의 실증적 분석과 자살예방정책을 위한 제언", 법학연구, 54(1): 1-38.
  36. 이민아.김석호.박재현.심은정, 2010, "사회적 관계 내 자살경험과 가족이 자살생각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2): 61-84.
  37. 이선영.허명륜, 2015, "중년 남성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7): 4777-4785.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777
  38. 이영 역, 1992, 인간발달 생태학,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서울: 교육과학사.
  39. 이현경.김미선.최승훈.최만규, 2014,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 생각 유발변인", 보건사회연구, 34(3): 430-451.
  40.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사업연구회 역, 2001, 가족학대. 가족폭력, Kemp, A., 1997, Abuse in the Family, 서울: 나남출판.
  41. 정준수.이혜경, 2016, "장애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4(3): 34-63.
  42. 최연희.김수현, 2008, "재가 노인의 우울에 따른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8(2): 345-355.
  43. 최원기, 2004, "청소년 자살의 사회구조적 원인 연구", 사회복지정책, 18: 5-30.
  44. 통계청, 2016a, "2015년 사망원인통계", http://www.kostst.go.kr.
  45. 통계청, 2016b, "장래인구추계: 2015-2016년", http://www.kostst.go.kr.
  46. 황미구.김은주, 2008, "노인의 주관적인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한국노년학, 28(4): 865-885.
  47. 황보종우 역, 2008, (에밀 뒤르캠의) 자살론, Durkheim, E., 1897, Suicide, 파주: 청아출판사.
  48. 황선희, 2010, "산재장애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Baron, R. M. and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0. Beekman, A. T. F., Penninx, B. W. J. H., Deeg, D. J. H., de Beurs, E., Geerlings, S. W. and van Tilburg, W., 2002, "The impact of depression on the well-bing, disability and use of services in older adults: A longitudinal perspectiv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05(1): 20-27. https://doi.org/10.1034/j.1600-0447.2002.10078.x
  51. Belsky, J., 1980, "Child maltreatment: An ecological integration", American Psychologist, 35: 320-335. https://doi.org/10.1037/0003-066X.35.4.320
  52. Bronfenbrenner, U., 1977,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32: 513-531. https://doi.org/10.1037/0003-066X.32.7.513
  53. Bubolz, M. M. and Sontag, M. S., 1993, "Human ecology theory", 419-447, In Sourcebook of Family Theories and Methods: A Contextual Approach, edited by Boss, P. G., Doherty, W. J., LaRossa, R., Schumm, W. R. and Steinmetz, S. K., New York: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4. Durkheim, E., 1951, Suicide: A Study in Sociology, New York: Free Press.
  55. Fiske, H., 2008, Hope in Action: Solution-Focused Conversations about Suicide, New York: Routledge.
  56. Li, Z., Page, A., Martin, G. and Taylor, R., 2011, "Attributable risk of psychiatric and socio-economic factors for suicide from individual-level, population-based studies: A systematic review", Social Science and Medicine, 72(4): 608-616.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0.11.008
  57. Maris, R. W., Berman, A. L. and Silverman, M. M., 2000, Comprehensive Textbook of Suicidology, New York: Guilford Press.
  58. McIntosh, J. L., 1995, "Suicide prevention in the elderly(age 65-99)",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5(1): 180-192.
  59. Neumayer, E., 2004, "Recessions lower (some) mortality rates: Evidence from German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8(6): 1037-1047. https://doi.org/10.1016/S0277-9536(03)00276-4
  60. Steffens, D. C. and Potter, G. G., 2008, "Geriatric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Psychological Medicine, 38(2): 163-175. https://doi.org/10.1017/S003329170700102X
  61. Tinbergen, N., 1951, The Study of Instinct,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