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Need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about the Usability of Bidets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Persons

고령자 및 장애인의 비데활용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위한 니즈

  • 이진혁 (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민홍기 (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Received : 2017.05.12
  • Accepted : 2017.05.27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Bidet is widely used and is being developed for multipurpose. However, use of this bidet varies by the elderly and disabled people. Therefore,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 need of bidet for elderly and disabled people and by many different types. This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9 elderly and 120 disabled people. This survey is consist of questions that varies by bidet companies and includes questions like UI cognitive abilities, automatic water flushing, position of control box and necessary of embossment for icons. As a result, elderly and disabled people showed similar in result but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the ratio of preference showed 1:9 which is opposite. A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the ratio of preference showed 1:9 which is pretty high.

비데는 최근 상당수가 의료기능을 포함하여 다목적용으로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데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장애인과 고령자가 일반인에 비해 추구하는 니즈들이 더 다양하고 심지어 장애유형별로도 제각각 요구사항들이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자 및 장애인이 배변활동에서 요구하는 실질적인 니즈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장애유형별로 니즈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는 고령자 39명, 장애인 120명을 대상으로 진행 되었다. 설문문항은 각 비데업체별 UI 인지능력 비교, 자동 물 내림 기능 선호도, 비데 컨트롤러 위치, 양각화 필요성에 대한 문항들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는 비데 UI인식에서 고령자와 장애인이 비슷한 비율로 제일 직관력이 뛰어난 아이콘을 선정하였다. 자동 물 내림 기능 선호도에 있어서는 고령자와 신체적기능장애인이 약 1:9의 비율로 자동 물 내림을 선호하였지만 감각적 기능장애인의 경우 5.1:4.9로 오히려 수동 물 내림을 더 선호하였다. 컨트롤박스 위치 또한 고령자와 신체적 기능장애인은 약 5:5의 비율로 차이가 미비했지만 감각적 기능장애인의 경우 2:8의 비율로 벽면 부착 보다는 비데 우측부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 장애인에게만 해당되는 양각화 기능 선호에서는 점자지원보다 양각화 또는 점자와 양각화 모두 지원을 선호하는 응답자가 약 1:9의 비율로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Information and Statistics Division to consumer safety agency, "home safety case analysis", pp. 3-13, 2012.
  2. M.Y.Lee, "A Study on E-Learning UI Design for the Elderly based on Universal Design", DongGook University, pp.11-20, 2013.
  3. D.Y. Ko and K.Y. Park, "A Field Study on Access and Use Electronic & Information Technology Assistive Device of Person", Special Education Journal, pp.3-6, 2007.
  4. Korea Job and Disability Institute, "ICT Usage Survey auxiliary equipment for the disabled", pp. 14-17, 2008.
  5. S.Y. Chae, S.J.Jo and H.C.Kwon,"The Level of Awareness and the Necessity of Assistive Technology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Institue of Special Education & Rehabitation Science, Daegu University, pp. 335-343, 2007.
  6. J.W. Hyeong, J.Y. Park, M.J. Kang and S.W. Kim, "Design suggestions for Bidet User Interface" Korea HCI Symposium, pp.1-3, 2014.
  7. K.W. Seo, "Energy Savings using the Non-Electric Automatic Flushing Toilet Seat", SAREK Symposium, pp.910-916, 2010.
  8. Korea Welfare Founda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Disability welfare News -896s", 2014
  9. Y.J. Jo, B.W. Ilm and D.H. Jo, "Tactile Feedback Improvement on Touch Screen Interface",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pp.135-142, 2008.
  10. J.W. Choi, "Embossing of Computer Keyboard's Letter", Patent(No.202008000675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