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Concept of God in Daesoon Thought: Focusing on the Concept of God, Divine Beings, and the Divine Dao as Depicted in the I Ching

대순사상의 신 개념에 관한 연구 - 『주역』의 신·신명·신도 개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4.10
  • Accepted : 2017.05.28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God in Daesoon thought through gods, divine beings, and divine Dao as they are featured in the I Ching. This study also explores analysis by dividing the 'one' from the I Ching into personal subject, metaphysical and fundamental marvel, innate divinity and morality of human beings as being among various concepts of god. Among the terms regarding god, divine Dao is especially clear in its depiction of this concept. In this context, the study looks closely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God. The divine Dao is actually an order that has been spread throughout the world by Sangje's will and the gods are endowed with His mandate. Through such order, the divine Dao leads to the Dao of divinely empowered humans by the Great Dao of mutual beneficence and natural solution. Divinely empowered humans is a concept which corresponds to the idea that 'Divine affairs are akin to those of humans.' Divine beings have human will and feelings in the afterlife, and due to their close relationship to human beings, they exercise an influence over human beings. They have human will and feelings while alive as well. In addition, they also have grievances and grudges. Such grievances and grudges can be resolved by mutual beneficence. And the divine affairs and activities move in accordance with Taegeuk (the Great Ultimate), Sangje's will, and the divine Dao. Therefore, it is a principle that divine beings should obey and an operational law in theonomy. Sangje's divine Dao and heavenly mandate accord with the Great Ultimate and are thereby revealed. Natural solutions can be reached wh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gain awareness of this truth. To realize the divine Dao, humans and divine beings should practice the dao of benevolence, justice, propriety, wisdom, and they should rely on one another. Furthermore, this is done to accomplish the dao of heaven and earth.

이 연구는 목적은 대순사상의 신 개념을 『주역』의 신·신명·신도를 통해 살펴보고 그 특질을 밝히는 것이다. 『역경』과 「역전」은 신 중심에서 천명이나 인간의 자발적인 도덕의지를 부각시키려는 패러다임 전환의 시기에 성립되었기 때문에 『주역』에서 신의 의미는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다양한 신 개념 중에서 본 논문은 『주역』의 신 개념을 인격적이고 의지를 가지는 변화의 주체, 형이상의 원리적 측면에서 신묘함, 인간에 내재한 신성과 도덕성으로 나누어 보았다. 그리고 대순사상에서 각각 이를 비교하여 최고신의 신의와 법칙으로서 신도, 형이상의 구현으로서 묘용의 신, 인간에 내재한 덕성으로서 신명에 대한 개념에 접근해보았다. 이에 따라 알아볼 수 있는 대순사상에서 신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격성을 가지는 존재이며 일정한 의지와 뜻을 가지고 만물에 주재하고 있다. 둘째, 형이상자이면서도 형이하에 신묘하게 작용하며 상제의 명을 받아 그 뜻을 태극에 굴신하여 인세에 구현하는 존재이다. 셋째, 인간의 마음을 통해 소통하며 인간과 의도(依導)의 관계에 있다. 신 관한 어휘 가운데 특히 신도는 신 개념을 잘 드러내고 있는 용어로서, 이를 중심으로 신 개념의 특질을 살펴보았다. 신도는 상제의 의지와 뜻 그리고 상제의 명을 부여받은 신들을 통해 세상에 펼쳐진 질서이다. 이렇게 신의 의지가 펼쳐지는 질서의 측면으로 고려해 볼 때, 신도의 주된 뜻은 상생대도이며, 무위이화로 운영되며, 신인의도로 실현된다. 대순사상에서 신인은 서로 신명인사일반의 관계이자, 신은 인간의 사후의 존재로 의지와 감정을 가지며 상호영향을 미치는 유기적관계이다. 생전의 의지와 감정을 가진 존재로서 신은 원과 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신의 원과 한은 해원시대를 맞이하여 상생으로써 그 원이 풀리게 된다. 또한, 신의 행사와 활동은 태극의 이법적 틀에 맞춰 굴신하며 상제의 뜻인 신도에 맞게 움직인다. 이는 신들이 따라야하는 규율이며, 신정체계가 운용되는 법리이다. 상제의 신도와 천명은 태극지기에 굴신하여 이법적으로 그 모습이 펼쳐져 드러나고 신과 인간은 그 이법성에 맞춰 나아갈 때 일은 무위이화로 성사된다. 신도의 실현에 있어서는 인간과 신은 인의예지라는 같은 도의 범주 안에서 있으며, 서로 이끌고 의지하여 신도인 상생의도를 구현하는 것이 신인의 일을 이루는 것이며, 나아가 천지의 도를 완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4. 『태극도통감』, 부산: 태극도, 1956.
  5. 『포덕교화기본원리(其二)』, 1983.
  6. 『무극대도교개황』,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옮김, 일본학습원대학 동양문화연구소, 1925.
  7. 『大學』
  8. 『禮記』
  9. 『周易』
  10. 『朱子大全』
  11. 『朱子語類』
  12. 강돈구, 『종교이론과 한국종교』, 서울: 박문사, 2011.
  13.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신관과 의례」, 『종교연구』 73, 2013. http://uci.or.kr/G704-000716.2013..73.001
  14. 고남식, 「전경에 나타난 원의 양상과 해원」, 『대순사상논총』 4, 1998.
  15. 고남식, 「상제 초월성에 대한 외경심의 양상」, 『대순사상논총』 10, 2000.
  16. 고남식, 「삼요체 성경신에 대한 소고」, 『대순사상논총』 12, 2001.
  17. 고남식, 「종합적 삼계관과 지·인관계의 인존 논리」, 『대순사상논총』 14, 2002.
  18. 곽신환, 『주역의 이해: 주역의 자연관과 인간관』, 서울: 서광사, 1990.
  19. 금장태, 『한국현대의 유교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20. 김경재, 『이름 없는 하느님』, 서울: 삼인, 2010.
  21. 김성기, 「선진유학의 본질을 어떻게 재해석할 것인가」, 『유교사상연구』 29, 2007. http://uci.or.kr/G704-001248.2007..29.007
  22. 김성기, 「주역의 신인관계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동양철학』 5, 1994.
  23. 김의성, 「대순사상의 윤리관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4. 김충열, 『김충열 교수의 중국철학사1: 중국철학의 원류』, 서울: 예문서원, 2006.
  25. 김태수, 「천지공사에 나타난 의례적 성격 연구」, 대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6. 노사광, 『중국철학사(고대편)』, 정인재 옮김, 서울: 탐구당, 1997.
  27. 『대순회보』 81,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8.
  28. 『대순회보』 152,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3.
  29. 료명춘. 강학위. 양위현, 『주역철학사』, 심경호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14.
  30. 몽배원, 『성리학의 개념들』, 홍원식 외 3명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8.
  31. 박승식, 「신인조화의 사상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3, 1997.
  32. 박승식, 「대순사상의 신조: 경천·수도」, 『대순사상논총』 8, 1999.
  33. 박재주, 『주역의 생성 논리와 과정 철학』, 성남: 청계, 1999.
  34. 배용덕. 임영창, 『증산신학개론(上)』, 서울: 증산사상연구회, 1982.
  35. 송재국, 「주역에 나타난 신도의 상징물들」, 『철학논총』 56, 2009. http://uci.or.kr/G704-000634.2009.56.2.004
  36. 양방웅, 『초간노자』, 서울: 예경, 2003.
  37. 요아힘 바하, 『비교종교학』, 김종서 옮김, 서울: 대우학술총서, 1988.
  38. 유병덕, 「한밝사상의 본질과 전개」, 『한국종교』 22, 1997.
  39. 윤용복, 「대순진리회 신관념의 특성」, 『대순사상논총』 21, 2013.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1
  40. 이경원, 「대순신관과 신인조화의 이상」, 『대순사상논총』 3, 1997.
  41. 이경원, 『한국 신종교와 대순사상』, 서울: 문사철, 2011.
  42. 이경원, 「구천상제론의 시각에서 본 천지공사의 실제와 교리적 의의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2,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2.0.33
  43. 임영창, 「대순사상의 신관고」, 『대순사상논총』 1, 1996.
  44.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45. 조명기 외 33인,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서울: 우석, 1993.
  46. 주백곤, 『역학철학사』, 김학권 옮김, 서울: 소명출판, 2012.
  47. 주자, 『역주 주역본의』, 백은기 옮김, 서울: 여강출판사, 1999.
  48. 차선근, 「정역사상과 대순사상의 비교 연구」, 『종교연구』 60, 2010. http://uci.or.kr/G704-000716.2010..60.008
  49. 차선근, 「근대 한국의 신선 관념 변용」, 『종교연구』 62, 2011. http://uci.or.kr/G704-000716.2011..62.003
  50. 차선근, 「현대사회와 무속의례-해원상생굿의 출현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72, 2013. http://uci.or.kr/G704-000716.2013..72.001
  51.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죽음관 연구서설」, 『종교연구』 76-3, 2016. http://uci.or.kr/G704-000716.2016.76.3.002
  52. 최영진, 「』주역』 「십익」에 있어서의 신의 개념」, 『주역연구』 2, 1997.
  53. 최영진, 「주역의 도와 음양대대의 원리」,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2-사상』, 서울: 휴머니스트, 2006.
  54. 최영진, 「대순사상의 역학적 조명」, 『대순사상논총』 20, 2014.
  55. 최치봉, 「대순사상의 태극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385
  56. 홍범초, 「증산사상에서 역을 어떻게 볼 것인가」, 『신종교연구』 5, 2001.
  57. 황인선, 「』주역』에서의 신의 의의」, 『철학논총』 52, 2008. http://uci.or.kr/G704-000634.2008.2.5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