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 사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urr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 Area

  •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이연옥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투고 : 2017.07.24
  • 심사 : 2017.08.21
  • 발행 : 2017.08.30

초록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 자녀를 비롯한 다문화인구는 최근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중요한 고객이 되고 있다. 한국사회의 급속한 다민족 다문화사회화에 따라 최근 전국의 많은 공공도서관이 다양한 다문화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측면의 확대와는 별도로 실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검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부산지역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다문화서비스의 현황을 조사하고, 실제 다문화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들의 인식을 통하여 다문화서비스의 실질적 문제점이 무엇이며, 다문화서비스 활성화를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조사해 보았다.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effective strategies for public library services for multicultural polpulation in Busan metro area. Emphasis was put on the perceived problems and strategies of librarians who are in charge of multicultural services in three public libraries in Busan. Specifically, this study surveys major issues, problems, and solutions related to serving multicultural population in public libraries. For thi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qualitative interviews with informants and analyzed cont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multicultural agencies with primary data to restructure the service programs for immigrants in Korean public librar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본진, 이연옥, 장덕현. 2015. 다문화지원기관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403-425.(Koo, Bon-Jin, Lee, Yeo-Ok and Chang, Durk-Hyun. 2015.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Network of Multicultual Agencie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Busan A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403-425.)
  2. 노지현. 2012. 한국 도서관계의 다문화 서비스 방향 모색-미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5-27.(Rho, Jee-Hyun. 2012. Toward the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with reference to the Americ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5-27.)
  3. 박성우. 2015.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상호문화 관점의 수용.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371-392.(Park, Seong-Woo. 2015. Accepting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for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3): 371-392.) https://doi.org/10.4275/KSLIS.2015.49.3.371
  4. 이연옥, 장덕현. 2013. 공공도서관의 이주민서비스 전략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1): 357-384.(Lee, Yeon-Ok and Chang, Durk-Hyun. 2013. Strategies for the Services for Immigrant Population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1): 357-384.)
  5. 이혜원. 2015. 다문화정책 방향 제시 및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337-366.(Lee, Hyewon. 2015.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Planning and Modelling of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2): 337-366.)
  6. 조용완. 2008. 국내 도서관의 다문화자료 입수를 위한 효과적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429-456.(Cho, Yong Wan. 2008. Effective Ways for Acquiring Multicultural Materi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3): 429-456.)
  7. 조용완, 이수상. 2011. 국내 다국어/다문화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269-297.(Cho, Yong-Wan and Lee, Soo-Sang. 2011.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269-297.)
  8. 문화체육관광부. 2017. 2017 도서관 다문화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계획. [online] [cited 2017. 8. 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7. Operations Plan of Multicultural Services Programs in Libraries 2017. [online] [cited 2017. 8. 7.] )
  9. 법무부. 2016.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과천: 법무부 이민정보과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Ministry of Justice. 2016.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2015. Gwacheon: Korea Immigration Service, Ministry of Justice.)
  10. 여성가족부. 2016.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세종: 여성가족부.(Ministry of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An Analysis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Sejong: Ministry of the Gender Equality and Family.)
  11. The Seattle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17. 8. 7.]
  12. Vancouver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17. 8. 7.]
  13. Toronto Public Library. [online] [cited 2017.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