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o-e's story and Its Case Study on the culture archetype contents

조아(曹娥)설화와 문화원형콘텐츠 사례연구

  • Received : 2017.05.01
  • Accepted : 2017.05.2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filial piety culture represented by Cao-e was regarded as moral rule mechanism in order to maintain patriarchal system and property relations in ancient China as an agricultural society. Exactly, In the process of Cao-e's story spreading, oral inheritance and literature processing have a relation of learning and penetration each other in order to beautify, deify, systematic stories. This is expression of human being's thought method of pursuing perfection. For instance, The traditional piety culture is increasingly weakened, that is why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fundamental connotation behind the cultural identity in the modern society, to create the social foundation of Cao-e' filial piety cultural contents root, and to explore the core values of piety culture contains. Looking Cao-e' filial piety Culture and culture archetypes as study object, this article analyzes the spreading of Cao-e's story texts for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literature processing and image formation from aspect of Cao-e deification.

중국 고대사회에 있어 효 문화는 가부장제도 아래에서 도덕규범의 실천적 원리였다. 조아(曹娥)는 중국의 대표적인 효의 상징인물로, 원래 무녀(巫女)였으나 한대의 주류 사상인 유가철학의 전파와 함께 효녀의 형상으로 전환되었으며, 이후 지역문화의 발전과 함께 민간의 신앙과 접목하여 수신(水神)의 개념으로 재탄생하기도 하였다. 조아설화의 전파과정 중, 구전과 문학적 가공은 상호적인 작용을 통해 영향을 주고받으며, 미화되거나 신성화되고 체계화 되었는데, 조아도상은 이러한 인류가 추구하는 보편적이며 온전한 사유적 형상의 체현이다. 예컨대, 현대사회에 있어 문화적 정체성과 함께 그 이면의 근본적인 내적 함의의 인식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조아의 효를 주제로 한 사회기반의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이를 통해 효가 가진 문화적 핵심가치를 찾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본문은 조아설화와 효사상 그리고 문화원형을 사례중심으로 서술하였으며, 조아의 민간신앙적 신성화 측면에서 문학으로부터 파생된 가공과 도상의 형성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미지의 변화와 조형성을 통한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수, 역주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2. 송철의 외3, 역주오륜행실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 김교빈,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인문콘텐츠, 제6호 (2005.12), pp. 7-22.
  4. 박현규, 浙江 上虞 曹娥廟와 高麗使臣의 역할, 동북아문화연구, 제32집, (2012.9), pp. 211-226.
  5. 최승수, 역사환경과 역사인물, 그리고 역사의미, 1 : 중국상우 효녀조아 (130-143년) (廟)를 중심으로, 湖西史學, 제48집, (2007.12), pp. 71-118.
  6. 황동열,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제14권, 제1호 (2003.6), pp. 45-62.
  7. 신창희.방문식, 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6.7), pp137-142.
  8. 余嘉錫等, 世說新語箋疏, 上海古籍出版社, 1996.
  9. 鄭僑等纂 (康熙)上虞縣志, 成文出版社근康熙十年刊本影印, 1983.
  10. 曾双秀, 近世中國的曹娥信仰, 臺灣師範大學歷史學系學位論文 (2013.01)
  11. 馬志堅, 曹娥, 曹娥碑與曹娥廟, 東南文化, 1990Z-1期 (1990.5), pp. 155-157.
  12. 馮賀軍, 北宋二十四孝磚雕 (六) 蔡順拾桑與曹娥投江, 紫禁城, 總185期 (2010.6), p.99.
  13. 蘇勇強, 曹娥的"孝", 江漢論壇, 2004-4期 (2004.4), pp. 42-44.
  14. 蕭欣義, 商代孝道思想試釋, 華學月刊, 第99期 (1980.3), pp30-33.
  15. 沈尹默, 關于曹娥碑墨迹的一封信, 文物, 1964-2期 (1964.2), pp19-20.
  16. 沈夏雲, 浙江曹娥江流域廟會文化探微, 吉林廣播電視大學學報, 13-1期 (2013.1)
  17. 易素梅, 宋代孝女文化轉型論略-以曹娥與朱娥並祀爲中心的曆史考察, 中山大學學報, 第56卷6期 (2016.6), pp78-92.
  18. 李小紅, 東漢孝女曹娥原爲"巫女"考論, 浙江社會科學, 第39卷5期 (2009.5), pp70-75.
  19. 李珍, 曹娥碑謎探微, 檔案, 2015-2期 (2015.2), pp45-48.
  20. 張鵬飛, 漢孝女曹娥碑考, 紹興文理學院學報, 第34卷5期 (2014, 9), pp10-13.
  21. 張穎慧, 口頭傳承與文學加工-以曹娥碑爲中心看曹娥故事相關文本的流布, 安康學院學報, 第23卷5期 (2011, 10), pp45-47.
  22. 柴田昇, 曹娥と孝, 愛知江南短期大学紀要, 第41期 (2012.1), pp1-15.
  23. 陳志勤, 禮俗互動與民間信仰內涵置換的邏輯-"孝女"的曹娥和"水神"的曹娥, 民俗研究, 總130期 (2016.6), pp25-30.
  24. 朱元桂.謝依娜, 有關馬臻與紹興鑑湖文獻記載的辨析, 團結報, 2014年2月27日.
  25. 後漢書.列女傳, http://ctext.org/hou-han-shu/lie-nv-zhuan/zh, 2017.04.19.
  26. 曹江孝女廟志, http://ctext.org/wiki.pl?if=en&chapter=521512, 2017. 04.19.
  27. 欽定四庫全書, 緯略卷十 撰孝碑, http://ctext.org/wiki.pl?if=gb&chapter=878993, 2017.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