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use and satisfaction factors through Domestic Character Preference Survey - Focused on Storytelling and Design -

국내 캐릭터 선호도 조사를 통한 이용충족 분석연구 -스토리텔링과 디자인을 중심으로-

  • 이종윤 (상명대학교 사진영상콘텐츠학과) ;
  • 윤주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7.05.01
  • Accepted : 2017.05.31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Character conveys rich storytelling and various design elements. Domestic characters are changing and developing in various forms through SNS and offline sources, which are being developed in the aspect of contents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discuss the factors that character users are using Korean characters as storytelling and color factor. In terms of storytelling, they prefer adventure, fantasy, absurd and humorous stories. In terms of color, it seems that they prefer a character with simple and simple color/ warm color and warm / cute color composition. On the other hand, characters with a simple story, which is the main subje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ashion, or toys in the aspect of storytelling, are not preferred. In terms of color, it was shown that 4 or more colors were combined without a main color. These main colorless characters gave complex feelings that are not preferred. In terms of storytell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evelop the contents of OSMU(One-source Multi use) through story development with adventure and fantasy structure. In terms of color,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user with a simple and simple color which is preferred by the users. Also, the assembly robot toy character need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character through simple color composi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s that satisfy the users in terms of storytelling and color are derived.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oretical aspects, storytelling aspects, and character design industry aspect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 above paper, it was inevitable to limit the research on the analysis of the storytelling of specific characters, the research through the color analysis framework, the accurate data analysis on the color analysis, and the simple comparative analysis of one.

캐릭터(Character)는 풍부한 스토리텔링과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국내캐릭터는 오프라인과 SNS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변화 발전하고 있으며 콘텐츠 산업적인 측면에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캐릭터 이용자들이 어떠한 스토리텔링 요인과 색채 요인으로 국내 캐릭터들을 이용하고 만족하는지에 대해서 요인을 발견하고 논의하는데 있다.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모험, 판타지, 황당하고 익살스러운 스토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채 측면에서는 단순하고 심플한 주요색과 난색으로 구성되어 따뜻하고 귀여운 느낌의 색채 구성을 지닌 캐릭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단순한 소재의 유아 교육, 패션이나 완구가 주목적으로 되어 있는 단순한 스토리를 지닌 캐릭터는 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채 측면에서는 주요색이 없이 4개 이상의 색들로 조합이 되어서 복잡한 느낌을 주는 캐릭터를 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모험, 판타지 구조를 지닌 스토리 전개를 통해 OSMU의 콘텐츠로 변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색채 측면에서는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단순하고 심플한 난색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조립 로봇완구 캐릭터도 단순한 색상 구성을 통해 캐릭터의 이용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 스토리텔링과 색채 측면에서 이용자들이 만족하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이 이론적 측면, 스토리텔링 측면, 캐릭터 디자인, 산업적인 측면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논문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캐릭터 대상의 스토리텔링의 분석틀과 색채분석틀을 통한 연구, 색채분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분석 제시, 캐릭터 하나에 대한 단순 비교 분석을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니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2. 김효일, 디지털 + 영상 + 색채, 한국학술정보, 2006.
  3. 마르틴 졸리, 김동윤 역, 영상 이미지 읽기, 문예출판사, 1999.
  4. 문은배, 색채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10.
  5. 윤민희, 새로운 조형예술의 이해, 예경, 2008.
  6. 윤혜림, 색채심리 마케팅과 배색이론, 국제, 2008.
  7. 조영제.권명광.안상수.이순종, 디자인사전, 안그라픽스, 2000.
  8. 차배근, 커뮤니케이션학 개론 (상), 세영사, 1988.
  9. 한석우, 입체조형 이론과 실제, 미진사, 1991.
  10. 한국색채학회, 이제는 색이다, 국제, 2002.
  11. 김경화, 캐릭터 디자인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포럼, 통권 40호 (2013), pp. 7-18.
  12. 김미진, 윤서정, 캐릭터중심 관점에서 본 게임스토리텔링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 통권 3호 (2), (2016), pp. 416-422.
  13. 김선진,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 특성에 관한 연구 - 국내, 해외 대표 앱 (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왓츠앱)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4)
  14. 김아라, 한정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이모티콘" 찾기에 관한 연구, HCI2013, (2013)
  15. 김영호, 브랜드 마케팅에 있어서 캐릭터의 영향에 관하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통권 14호 (2) (2014), pp 533-543.
  16. 김혜성, 조형성의 시각인지요소를 통한 캐릭터 분석 - 3D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와 <미니언즈>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42호 (2016), pp. 53-79.
  17. 류우희, 이종한, <아기공룡 둘리>의 스토리텔링 분석을 통한 캐릭터 비즈니스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38호 (2015), pp. 217-236.
  18. 신동희, 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스토리텔링과 개념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통권 10 (10) (2010), pp. 180-189.
  19. 이성준,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모바일 메신저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에 미치는 영향 -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논문지, (2015)
  20. 이정기, 이유진, 김병규, 김보미, 최선률, 구자영, 바냐콜레바 웹툰 이용동기와 계획행동이론 변인이 웹툰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화관람, 유료 콘텐츠 전환시 이용, 캐릭터 상품 구매 의도의 비교,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통권 22호 (2) (2014), pp. 89-121.
  21. 이종윤, 국내 캐릭터를 통한 다중적 자아의 선호유형 연구, 주관성 연구, 통권 34호 (2016), pp. 51-70.
  22. 이희주, 아동 캐릭터의 형태적 특성과 소비자 호감도의 관계성 연구, 조형미디어학, 통권 16 (1) (2013), pp. 215-224.
  23. 조규명, 김경숙,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감성기호로서 이모티콘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2014)
  24. 조인희, 윤여광, 미국, 일본의 캐릭터 산업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 캐릭터 산업의 발전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통권 8호 (2), (2014), pp. 1-8.
  25. 최믿음, 전범수, 웹툰 이용 동기 및 구성 요소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문화연구, 통권 26호 (2) (2014).
  26. 홍미희,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차별성 및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기존 애니메이션과의 차별성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6호 (2002), pp. 172-190.
  27. 김민태, 웹툰의 이용동기 및 효과: 출판만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8. 이영미, 유아 교육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스토리텔링 구조에 관한 연구: EBS 유아 교육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9.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캐릭터산업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5.
  30. W. 칸딘스키, 차봉희 옮김, 점.선.면 회화적인 요소의 분석을 위하여, 열화당, 2000.
  31. Ferguson, D. A. & Perse, E. M, "Media and audience influences an channel repertoir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7 (1) (1993), pp. 31-47. https://doi.org/10.1080/08838159309364202
  32. NAVER, www.naver.c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570002&cid=43667&categoryId=43667 2017.02.10.자 인터넷 자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