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ective directive technique of 3D animation in Virtual Reality -Focus on Interactive short using 3D Animation making of Unreal Engine-

가상현실에서 효과적인 3차원 영상 연출을 위한 연구 -언리얼 엔진의 영상 제작을 이용한 인터렉티브 쇼트 중심으로-

  • 이준수 (극동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7.04.11
  • Accepted : 2017.05.31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360-degree virtual reality has been a technology that has been available for a long time and has been actively promoted worldwide in recent years due to development of devices such as HMD (Head Mounted Display) and development of hardware for controlling and executing images of virtual reality. The production of the 360 degree VR requires a different mode of production than the traditional video production, and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for the user have begun to appear. Since the virtual reality image is aimed at a platform that requires enthusiasm, presence and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suitable cinematography. In VR, users can freely enjoy the world created by the director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centrate on his interests during playing the image. However, the director had to develope and install the device what the observer could concentrate on the narrative progression and images to be delivered.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transmitting images, the director can use the composition of the short. In this paper, we will study how to effectively apply the technique of directing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is shot to 360 degrees virtual reality. Currently, there are no killer contents that are still dominant in the world, including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In this situation, the potential of virtual reality is recognized and various images are produced. So the way of production follows the traditional image production method, and the shot composition is the same. However, in the 360 degree virtual reality, the use of the long take or blocking technique of the conventional third person view point is used as the main production configuration, and the limit of the short configuration is felt. In addition, while the viewer can interactively view the 360-degree screen using the HMD track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ot and the connection of the shot are absolutely dependent on the director like the existing cinematography. In this study, I tried to study whether the viewer can freely change the cinematography such as the composition of the shot at a user's desired time using the feature of interaction of the VR image. To do this, 3D animation was created using a game tool called Unreal Engine to construct an interactive image. Using visual scripting of Unreal Engine called blueprint, we create a device that distinguishes the true and false condition of a condition with a trigger node, which makes a variety of shorts. Through this, various direction techniques are developed and related research is expected, and it is expected to help the development of 360 degree VR image.

360도 가상현실은 오래전부터 상용되고 있던 기술이었으나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기기의 발전과 가상현실의 영상을 제어하고 실행시키는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최근에 가상현실의 제작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는데 360도 영상의 제작은 기존의 영상제작과는 다른 연출 방식을 요구하고 사용자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상현실 영상은 몰입성, 현재성과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플랫폼을 지향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영상문법이 필요하다. VR에서 사용자는 연출자가 만들어 놓은 세계를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으며 본인의 관심대상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또한 연출자에게 내러티브의 진행과 전달하고자 하는 영상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개발하고 설치할 필요성을 요구한다. 연출자에게는 영상을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들 가운데 쇼트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는데 본 고에서는 이 쇼트의 구성을 통한 연출기법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360도 가상현실에서 적용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현재의 가상현실 연출방식은 기존 영상제작 방식을 많이 따르고 있으며 쇼트구성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360도 가상현실에서는 전통적인 3인칭 시점의 롱테이크 기법이나 블로킹 기법을 주된 연출구성으로 이용하지만 여전히 쇼트구성의 한계를 느끼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HMD 트레킹을 이용하여 인터렉티브하게 360도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반면에 쇼트의 구성과 쇼트의 연결은 기존 영상문법과 마찬가지로 연출자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상문법도 VR 영상의 상호작용의 특징인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쇼트의 구성과 같은 영상문법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언리얼 엔진이라는 게임 툴을 사용하여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블루프린트(Blueprint)라는 언리얼엔진의 비주얼 스크립팅을 가지고 트리거(Trigger)라는 노드로 조건의 참과 거짓을 구분시키는 장치를 만들어 각각의 상태에 따른 카메라의 위치를 선택하게끔 하여 다양한 쇼트를 만드는 인터렉티브 영상구성을 시도함으로 다양한 연출기법이 개발되고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360도 VR 영상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윤정, VR콘텐츠의 멀미유발요인 감소를 위한 연출법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Vol.12, No.2, 2016/06
  2. 김경희, R&D정보센터, 가상현실/증강현실 기술/ 시장전망 및 실감형 디지털 콘텐츠 실태분석, 지식산업정보원, 2015
  3. 박경수, 글로벌 IT 업체, 차세대 먹거리로 '가상현실'에 주목, CAD&Graphics, BB미디어, 2016/01
  4. 유미, 가상현실영화의 개념과 제작 기술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5, 2015
  5. 이익희, $360^{\circ}$ VR 영상의 시야 확장에 대응한 영상 연출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Vo.25, 2016/09
  6. 이종한. 오큘러스 VR (Oculus VR)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새로운 모색.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Vol. 45, 2016
  7. 장욱상, 이영권, VR영상 < HELP> 연출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5, 2016
  8. 정동훈, 가상현실 콘텐츠, 사용자 최적 경험을 위하여, 방송문화, 한국방송협회, 2016/06
  9. 정찬호, 김미진, 3D 애니메이션과 머시니마의 제작공정 비교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Vol. 10, No.2, 2016/04
  10. 한정엽, 모바일 탈착형 HMD기반 VR 콘텐츠 디자인 유형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7, 2016
  11. 허옥, 정동훈, 증강현실 광고의 프레즌스 매개효과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90, 2011
  12. Nathan Glemboski, Making a VR Experience in Unreal Engine 4, Pluralsight, 2016
  13. Picard, M, Machinima : Video Games As An Art Form, Author & Canadian Games Study Association, Vol.6, 2006
  14. Vicki Hunang, Fabien Soudiere, Making 360, 2016
  15. http://paulbourke.net/papers/cgat09b/
  16. http://www.gamasutra.com/blogs/NickWhiting/20130611/194007/Integrating_the_Oculus_Rift_into_Unreal_Engine_4.php
  17.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2&contents_id=94362
  18. http://docs.unrealengine.com/latest/KOR/Engine/Blueprints/GettingStarted/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