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et-monitoring Robot Design

애완견 모니터링 로봇 디자인 연구

  • 정용진 (청운대학교 융합기술경영학부)
  • Received : 2017.07.14
  • Accepted : 2017.08.03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pet-owning households drastically increased and many people took their pets as lifelong companion animals and look after them like their children. Pet business has continued to increase gradually and the need for pet supplies has increased, too. Though there are a variety of pet supplies in pet dog market which takes up many parts in the pet market, there is no design guideline on pet supplies. Thus, there are many wrong pet supplies design created by wrong idea of peop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guideline on pet supplies design focusing on the pet-monitoring system among the various pet products. So, the pet-monitoring robot was designed to monitor pet simply using smartphone anywhere on the trip and feed by using bowl that control the signal. This study figured out types and function of existing IP camera, reflected the behavior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ts and suggested the design guideline which is minimum required as pet-monitoring products. Also, trial product for which design guide was applied was produced to observe the pet behavior and identify problems while operating trial product. However, there was limit in securing data and study period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various pets si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dog and it's required to conduct follow-up study by observing continuously and improving the problems in future to secure more data.

최근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 관련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애완동물 관련 용품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애완동물시장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애완견시장에는 다양한 애완견용품들이 존재하지만 애완견용품에 관한 디자인가이드라인이 없어 사람의 판단에 의한 무분별한 애완견용품의 디자인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애완견용품 중 애완견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중심으로 애완견용품의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혼자 남아 있는 애완견을 여행지 등 어떠한 곳에서도 간단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신호 제어가 가능한 먹이통을 통해 먹이를 줄 수 있는 애완견 모니터링 로봇이다. 본 연구는 기존 IP Camera의 종류 및 기능을 파악하고 애완견의 행태 및 애완견의 신체 특징을 반영하여 애완견용 모니터링 제품으로써 필요한 최소한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 디자인 가이드를 적용한 시제품을 제작하여 시제품 작동에 대한 애완견의 행동을 관찰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이 애견으로 다양한 애견의 만족도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확보 및 연구기간의 한계가 있었으며, 더 많은 데이터 확보를 위해 향후 지속적인 관찰과 문제점 개선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삼성경제연구소, 2015.
  2. 대한 애견협회 통계자료, 2014.
  3. 통계청, 2010.
  4. 해럴드경제 & 잡코리아, 2013.
  5. 한국소비자원, "반려동물 관련 소비실태 및 개선 방안," 2013.
  6. http://ko.wikipedia.org/wiki/%EA%B0%9C
  7. 정경원, 디자인경영, 안그라픽스, 1999.
  8. 전서영, 모정현, "애완견과 공생하는 공동주택 디 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Vol.27, No.2, pp.299-304, 2015.
  9. 권순량, "홈네트워크 기반의 원격제어 애완견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6, pp.42-50,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6.042
  10. 애완동물 관련시장 동향과 전망, NHERI 리포트 제215호, 2013.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