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Real Cond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About the Personality Education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 김용숙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
  • 유지은 (서울한영대학교 유아특수재활학과)
  • Received : 2017.07.05
  • Accepted : 2017.08.09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Although this research puts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and lacks the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about the personality education, and essentially the content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hasn't been performed. Therefore through the research study once again we collected the opin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about the personality education. As the object of the investigation, we questioned 208 teachers who work in the Daycare Center in the S city, and applied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lot of concern in the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about the personality education, and that it was in need. The reason for emphasiz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appears to be the "Individual Egoism", and the "Parental Value" as the factor of influence, and "Whole People Human Development and Health Promotion" as a factor of helping, and "Courage" as the inner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and "Manner" as the outer information. Secondly, more than the majority was carrying out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real stat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on the personality education and it happens to be that the instructional material is the "Material related to the personality education", "Conversation" as the teaching learning method, "Once per week" as number of times, "Within 30 minutes" as lead time, "Teacher in Charge" as the host, and "Uncooperative parents" as the difficulty. Lastly the accurate time of deman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about the personality education happens to be from "Infancy", and the teaching method is "Teaching by making a connection with the family", and that "Leading by example of the teacher" is the factor of consideration.

본 연구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이 부족하고, 본질적으로 인성교육이 가야할 운영방향에 대한 내용 분석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에 다시 한번 조사 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S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에서는 인성교육에 대해 많은 관심이 있었으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이유는 "개인이기주의"이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가치관", 도움을 주는 요인은 "전인적 인간발달과 건강증진", 인성교육의 내용에서는 내적내용은 "용기", 외적내용은 "예절"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실태에서는 과반수 이상이 인성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그에 따른 교수자료로는 "인성교육 관련 자료", 교수-학습방법은 "이야기나누기", 횟수는 "주 1회", 소요시간은 "30분 이내", 주체자는 "담임교사", 어려운 점으로는 "학부모의 비협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요구에서는 가장 적합한 시기는 "영아기"부터이며, 지도방법은 "가정과의 연계하여 지도"해야 하며,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교사의 솔선수범"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유아에게 올바른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발달수준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더불어 이에 따른 교사교육이 먼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희환, 인성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이 유아의 인성특성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 김영옥, 손혜린, 이현미, 영유아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서울 : 다음세대, 2007.
  3. 손봉호, "인성교육의 철학적 기초,"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학, 제11권, 제2호, pp.11-24, 2010.
  4. 박경숙,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연구,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 T. Lickona, Educationg for Character: How Schools can teach respect and responsibility, NY: Bantam Books, 1991.
  6. 박희숙, 전통문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 이기용, 조용태, "대학생의 인성교육 방향 설정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 제1권, 제1호, pp1-18, 2016.
  8. 박현진, 김숙자, "유아인성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조연구," 아동교육, 제21권, 제2호, pp.5-26, 2012.
  9. 김치곤, 채영란, "유아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연구 동향," 유아교육학논집, 제17권, 제6호, pp.305-333, 2013.
  10. 홍순옥, 전수열, "인성교육 프로젝트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논집, 제16권, 제1호, pp.19-41, 2007.
  11. 이금종, 초등교사와 학부모오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2. 김오순, 원불교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인성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3. 계영애, 강정원, "유아 인성 교육을 한 인성 덕목과 교수 전략에 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5권, 제1호, pp.56-75, 2011.
  14. 이경민, 이정화, 이경선,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69-193, 2006.
  15. 김경신, 인성교육에 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6. 김정희, 예비유아교사의 인성특성 및 유아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7. 김효순, 영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과 운영실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8. 송인숙, 누리과정과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9. 원인숙,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실태 비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0. 임진경,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1. 현미숙,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2. M. W. Berkowitz and J. H. Grych, "Early char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Vol.11, No.1, pp.55-72, 2000.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101_4
  23. 김연희, 순환적 공감 모형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4. 이은진, 영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0,1새를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5. 김숙자, 장갑희, "유아 인성교육에 한 교사의 인식, 실태 요구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제16권, 제6호, pp.27-48, 2012.
  26. 박진희, 손원경,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인식비교," 열린부모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131-148, 2015.
  27. 박진희, 손원경,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자기평가,"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173-193, 2015.
  28. 박수진,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9. 송송,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연구, 한국외구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0. 정미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1. 박진희,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의 개념도 연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