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Ways to Improve Operation on the System of Administrative Executive Staffs

행정실무사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 탐구

  • 이혜정 (한남대학교 사범대학 교직과)
  • Received : 2017.06.02
  • Accepted : 2017.06.20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for effective operation of System of Administrative Executive Staffs(SAE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Administrative Executive Staffs(AES). To do so, FGI was used on teachers and AES, in Gyeonggi-do. As a result, teachers and AES agreed with SAES' management and positively evaluated SAES' performance in diminishing teachers' administrative duties. AES classified methods of works-division into 'one-way', 'voluntary', 'discussion' and distinguished 'trivial-works' from 'support-teaching works'. SAES's positive outcomes were strengthening teachers' competencies, establishing AES's identity, changing school atmosphere to focused-instruction. But there were also problems as workload sharing's ambiguity, absence of system for workload-share, poor competencies of members, lack of communication among members, etc. Several ways for the successive operation of SAES are as follows; principal's understanding and positive mind on SAES, offering manual of work-division reflecting the school's real condition, teachers' consideration on AES, offering proper training by considering one's ability.

본 연구는 행정실무사 제도 운영 실태에 대한 교원들과 행정실무사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내 초 중등학교 교원들과 행정실무사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원들과 행정실무사들은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며, 교원업무경감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운영 실태에 대해서는 업무분담은 '일방적', '자발적', '협의'의 방식으로, 업무성격은 '교원지원'과 '잡무'로 구분하고 있었으며, 업무분장에 대한 행정실무사들의 불만과 구성원들 간 갈등이 나타나고 있었다. 제도 시행의 성과로는 교원역량 강화, 행정실무사들의 정체성 확립, 수업 중심으로의 학교문화변화가, 문제로는 업무분담 기준의 모호성, 업무분담 시스템 부재, 구성원들의 역량 부족, 구성원들 간 소통 부재, 형식적 연수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에 대한 결론으로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학교문화로 변화, 교장 리더십의 중요성, 학교현장의 실상을 반영한 업무분장 마련, 행정실무사들에 대한 동료의식 강화, 역량강화를 위한 맞춤식 연수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균열,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6권, 제2호, pp.49-74, 2008.
  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실시에 따른 수업능력개발 요구-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3. 이혜정,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 탐색," 열린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77-102, 2010.
  4. 서정화, "학교경영체제 개발의 방향 모색: 새 수업 체제 도입과 관련하여," 한국교육, 제1권, 제1호, pp.65-77, 1974.
  5. M. L. Maehr and C. Midgley, Transforming school cultures, Boulder, Colorado: Western Press. 1996.
  6. 원새연, 홍섭근, 김향인, 교사행정업무경감 성과 분석 및 개선방안-걍기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3.
  7. 최진식, 권용수, 정성수, 김혜영, "교무행정인력 관리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13권, 제2호, pp.139-160, 2014.
  8. 정영수, 김숙이, 김이경, 김민희, "직무분석을 통한 교원의 적정 업무량 산정 방안," 한국교원교육학회, 제29권, 제2호, pp.397-420, 2012.
  9. 박선형, 이상규, "교원의 행정업무 부담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제29권, 제1호, pp.371-396, 2012.
  10. 신현석, 황영남, 이경호, 가신현, 황호진, "교무실 업무 분석을 통한 교원업무 조정방안 탐색,"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41, pp.215-245, 2011.
  11. 유미현, 초등교사의 업무부담 및 교무행정사 운영에 대한 인식,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과 교육행정전공, 2014.
  12. 이명희, 초등학교 교무행정사 도입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교육행정전공, 2016.
  13. 전용진, 교무행정사 도입에 따른 교사의 업무경감에 대한 인식 조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2014.
  14. 지민구, 행정실무사 제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교육행정전공, 2013.
  15. 고장완, 전인순, "교원업무경감 방안에 대한 교원 인식 분석 :교무행정지원사 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제49호, pp.139-160, 2013.
  16. 한상훈, 경기도 초등학교 행정실무사 제도 운영 실태와 정착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교육행정전공, 2014.
  17. 최태형, 교무행정사 도입에 따른 전라남도 공립중학교 교사의 업무경감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2016.
  18. 이혜영, 행정실무사와 교원의 관계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경영전공, 2014.
  19. 김정희, 교사업무 지원인력의 역할과 교원업무경감-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인적자원정책전공, 2013.
  20. 최용석, 교무행정 지원인력의 운영실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인적자원정책전공, 2015.
  21. 장현용, 행정실무사의 학교 조직내 역할 갈등 및 정체성 형성,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교육행정전공, 2015.
  22. 이수현, 행정실무사 운영실태분석-경기도교육청 소속 교무실 행정실무사를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육정책전공,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