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 in the Leading Provider of Investigative Journalism: the Decline of the Public Service Model and the Emergence of a Nonprofit Model

탐사저널리즘의 주체 변동: 공영모델의 조락과 비영리모델의 부상

  • Received : 2017.07.12
  • Accepted : 2017.07.31
  • Published : 2017.08.28

Abstract

While the practice of investigative journalism among public service broadcasters has declined in the 2010s, Newstapa, a nonprofit online news organization, emerged as a trustworthy provider of investigative reportage. This study explores the reasons why the realistic conditions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 such as competent journalists, adequate support systems, and productive cultures -- were first realized and later changed among public broadcasters and in Newstapa. Governmental pressure and the public broadcasting managements' anti-journalism policy had a chilling effect on the production staff of public broadcasters. Their enthusiasm was affected and led to a decline in the production culture of discussion and teamwork. The staff's strong will to practice journalism and the persistence of a production culture that respected autonomy and guaranteed independence enabled Newstapa to become an influential investigative journalism institution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is proves that meaningful investigative journalism is possible when the combined elements of competent and determined journalism practitioners, as well as a system supportive of extensive news gathering and independence of production, are in place. An investigative program is the outcome of ideal broadcasters' journalistic conditions and a vibrant and thriving production culture.

2010년대 공영방송에서 탐사보도가 쇠락한 반면 비영리 매체 <뉴스타파>가 신뢰받는 탐사보도 기관으로 부상했다. 본 연구는 그 이유를 탐사보도의 현실적인 조건, 즉 저널리스트와 체계, 제작문화가 공영방송과 뉴스타파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가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정부의 압박과 경영진의 탈저널리즘 정책으로 공영방송의 탐사보도는 위축되고 제작진의 의지는 약화되고 그간 형성된 제작전통도 무너졌다. 뉴스타파는 저널리즘 실천의 의지, 자율적인 제작문화를 바탕으로 단시간에 영향력 있는 탐사보도 기관이 되었다. 역량과 의지가 있는 저널리스트와 장시간의 취재를 지원하는 시스템, 그리고 제작의 독립성이 보장될 때 의미 있는 탐사보도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탐사보도는 해당 방송의 저널리즘 환경과 제작문화의 소산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형철, "탐사보도 프로그램의 내용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 주요 탐사보도 프로그램 내용분석,"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1호, pp.7-46, 2007.
  2. 진민정, "한국과 프랑스의 탐사저널리즘 비교 연구: 뉴스타파와 메디아파르트를 중심으로," 언론정보학회, 2016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3. J. Ullmann and J. Colbert, Reporters Handbook: An Investigator's Guide to Documents and Techniques, St. Martin's Press, 1991.
  4. 최원석, "'모든 보도는 탐사보도다': 공로상 수상한 KBS 김용진 기자," 방송기자, 제3권, pp.96-99, 2011.
  5. http://newstapa.org/16992
  6. 김사승, 현대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7. N. Jones, Jones, Sultans of Spin, Voctor Gollancz, 1999.
  8. 권장원, 이병철, "신문 저널리즘에서 나타난 탐사보도의 특징 및 변화에 대한 연구: 부산일보 탐사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2006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06.
  9. 김연식, 윤영철, 오소현, "PD저널리즘에 대한 제작진의 인식과 제작관행: MBC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4호, pp.79-122, 2005.
  10. 육서영, 윤석민, "탐사보도 프로그램 제작에서 구성작가의 역할,"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81호, pp.127-155, 2012.
  11. 박인규, "구조적 통제하의 저널리즘: KBS 시사프로그램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6호, pp.209-245, 2010.
  12. 김연식, "방송 저널리스트의 방송 통제요인 인식 변화 연구: 2008년과 2013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1호, pp.283-305, 2014.
  13. 임명현, 2012년 파업 이후 공영방송 기자들의 주체성 재구성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4. https://freedomhouse.org/report/
  15. https://ref.org/en/south-korea
  16. 김용진, "탐사저널리즘과 비영리독립매체의 도전: 뉴스타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2014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2014.
  17. 배정근, "국내 종합일간지와 대기업 광고주의 의존관계 형성과 변화과정," 한국언론학보, 제42권, 제4호, pp.265-292, 2012.
  18. 김재영, "시민의 입장에서 중요하면 어떤 주제든 못할 게 없다: 뉴스타파 최승호 PD," 방송기자, 제26권, 2015.
  19. 박성호, "데이터 저널리즘과 발로 뛴 리포팅의 환상적 결합," 방송기자, 제14권, pp.34-41, 2013.
  20. 성재호, "데이터 저널리즘팀 본격 가동: 뉴욕타임스NPR 탐방기," 방송기자, 제14권, pp.30-33, 2013.
  21. 최윤원, "데이터 없이 진실을 얘기하긴 어렵다:데이터 저널리스트 권혜진 기자(뉴스타파 데이터 저널리즘연구소장)," 방송기자, 제24권, pp.34-35, 2015.
  22. 최은희, "KBS 보도 및 편성 책임 주체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187-19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