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ture of Social Work Practice - Human, human again. -

사회복지실천의 미래 - 사람과 사람 -

  • Received : 2017.11.03
  • Accepted : 2017.10.26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ocial transition, which is often metaphorized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work practice and to explore measures to improve social work practice in such transition. Four social welfare researchers held seven discussions to predict the social changes in the near future center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ind the corresponding development strategies in social work practice; collective autobiography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iscussion. The analysis ascertained hyper connectivity, the advent and expansion of new communities,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criteria for the assessment of one's quality of life as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the near future. It was analyzed that humans and organic materials will be interconnected through spatial and temporal transcendence and that humans liberated from labor will seek for diverse communities while the number of atomized individual will increase simultaneously. Furthermore, the rise of new order of life accompanied by both the expansion of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and the ecological worldview brought forth by post materialistic trend was predicted. Meanwhile, the disengagement from macroscopic context, a biased inclination towards technique orientated professionalism, and individualistic social work practices without integrity were identified a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ocial work practice. This study presented three goals for social work practice to help it overcome its current shortcomings and correspond to the social changes: first, the rearrangement of practice knowledge, technique, and value so that it is based on humans and society, which are the essence of social practice work; second, the practice, such as sharing economy, that expands the individuals' boundaries of life to the community; three, the restoration of the desirability of professional social works by examining its special nature.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은유되는 인류사적 전환의 의미를 사회복지실천의 내부로 초대해 성찰하고 사회복지실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혁명을 구심으로 하는 근미래 사회의 변화상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사회복지실천의 발전전략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4인의 사회복지 연구자가 7회에 거쳐 토론한 내용을 분석하는 공동자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미래의 특징은 초연결성, 새로운 공동체의 출현과 확대, 다원화와 개인화, 삶의 질에 대한 새로운 기준의 등장 등으로 집약되었다. 인터넷을 통해 사람과 사물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노동에서 해방된 인간은 다양한 공동체를 추구하는 동시에 원자화된 개인 또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범주와 규범의 해체로 다원화와 개인화가 확대되고, 탈물질주의의 동향으로 생태주의적 세계관 등 새로운 삶의 질서가 부상할 것으로 예견되었다. 한편 현재의 사회복지실천은 거시적 맥락으로부터 분리, 기술 중심 전문가주의로의 편향, 통합성을 상실한 개인 중심 실천 등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의 사회적 변화에 조응적인 사회복지실천을 구현하기 위해 첫째,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인 사람과 사회에 푯대를 둔 실천 지식, 기술, 가치의 재배열, 둘째, 공유경제 등 개인 삶의 경계를 공동체로 확대한 확장적 실천, 셋째, 사회복지 전문직의 고유성 탐색을 통한 매력의 회복을 풀어야 할 과제로 제안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