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of the safety security guard

경호·경비분야 연구의 내용분석에 따른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개발방향 탐색

  • Received : 2017.04.30
  • Accepted : 2017.06.1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1,279 articles related to administrative, management, marketing, and service for private clients among the scholarly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 of security and security, and categorizes the main topic security, private secu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ecurity and security sciences were first identified by finding 32 subordinate or related subjects in each category. The situ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environment which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needs of academia and the age was confirmed. The task of improving security and security scienc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is the expans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related to management and service, which are suitable for the major course of the major. And the analysis of socio-scientific disciplines and job types in the field of security and security In this study, fir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nagement and marketing measurement tool suggesting the specificity of security and security busin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learning units of management skill related to management and marketing.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security related departments, we proposed the necessary precondi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이 연구는 경호 경비분야의 학술지 연구 성과물 중 민간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행정, 경영, 마케팅, 서비스 관련 연구 1,279편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위 주제어 경호, 민간경비, 안전, 경찰을 대범주화하고 각각의 상위 범주에 8개씩 모두 32개의 하위 또는 연관 주제어를 찾아 경호 경비학의 주요 학문적 성과를 먼저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적 성과에 따른 대학의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주요 대학의 교육과정과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비교하였으나 학계와 시대의 요구에 비하여 미흡한 교육과정 및 환경의 상황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경호 경비학의 개선 과제는 배출되는 전공자의 주요 진로에 적합한 경영 및 서비스 관련 교육과정의 확충이다. 그리고 경호 경비업 분야에 대한 사회과학적 학문 및 직종 분석에 대한 세밀함이 더욱 요구된다. 이에 이 연구는 첫째, 경호 경비업의 특수성을 제안하는 경영 및 마케팅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 둘째, 경영 및 마케팅 관련 직무능력 학습단위의 재고가 필요, 셋째, 경호관련 학과 개성 목적 및 목표의 명확성 재고가 필요를 경호 경비학 관련 전공학과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 및 개선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배완 (2009). 경호학과와 경호비서학과의 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경호비서의 정체성 모색.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0호, 1-181.
  2. 권정훈.이승철.방한복 (2007). 한국 경호. 경비학 연구분야의 성찰과 시사: 한국경호경비 학회보10년사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논문지, 제14호 , 21-41.
  3. 권혁빈.박준석 (2017). 경호학의 정체성과 미래에 대한 발전 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50호, 145-171.
  4. 김종걸 (2007).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 준비행동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5. 김태민 (2015). 경호학의 학문적 특징 및 정립방안.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82-90.
  6. 김현호 (2010). 경호관련학과 대학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7. 박동균 (2008). 민간경비원의 위기관리 능력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시스템 개선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5호, 121-138.
  8. 박영남.임태성.김주용.김선기 (2016). 스포츠 분야의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향 탐색.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5권 제5호, 819-831.
  9. 박준석 (2000). 한국 대학의 경호관련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발전방안.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10. 성태제.시기자 (2014).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11. 송윤정 (2014). 대학생의 전공 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12. 윤승준 (2014). 경호관련 학과의 교륙프로그램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13. 진선미.장혁기 (2016). 사회복지 분야 NCS기반의 교육요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65-71.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065
  14. 허정행.왕석원 (2015). 한국 대학의 경호.보안계열 교육과정 고찰. 한국사회안전학회지, 제10권 제2호, 45-71.
  15. Thomas & Nelson, 2001: 역 김병식, 스포츠연구법 (서울: 대한미디어, 2004), 731-739쪽.
  16. Fraenkel, J. R. & Wallen, N. E. (1991). Quantitative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andbook of Research on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17. Shaver, J. P. & Larkins, A. G. (1973). Research on teaching social studies.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Chicago: Rand Mcnally.
  18.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http://www.ncs.go.kr/ncs/page.do?sk=index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