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버스 정류장 정차시간 및 정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의 정류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topping Time and Punctuality of Bus Stop: A Case of Bus Stop by Roadside Bus Only Lane

  • 장재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이영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이근 (홍익대학교 디자인학부)
  • JANG, Jae-Mi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In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Keun (International Design School for Advanced Studies, Hongik University)
  • 투고 : 2017.03.24
  • 심사 : 2017.05.29
  • 발행 : 2017.06.30

초록

서울시 버스는 통행속도 및 정시성을 높이기 위해 BIS정보제공, 중앙버스전용차로, 간선급행버스, 버스 우선 신호 등을 선보이며 서비스 개선에 큰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버스의 통행속도 및 정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버스 정류장 정차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정류장 인근 시설물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버스정류장 정차시간 개선을 위해 정류장 인근 교통시설물 및 도로환경을 중심으로 영향변수를 도출하고자 한다. 종속변수는 버스정류장의 진 출입시간 및 진 출입시간의 표준편차를 선정하였고, 독립변수는 버스종류별 노선수, 버스종류별 통행량, 버스베이 개수, 횡단보도 및 교차로까지 거리, 앞지르기 가능 유무, 이면도로 존재 유무, 승차 및 하차인원, 해당링크구간 속도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해당 링크의 속도, 버스베이개수, 횡단보도까지 거리, 이면도로 유무, 앞지르기 가능 여부가 영향변수로 도출되었고, 진 출입시간의 표준편차는 교차로까지 거리, 횡단보도까지 거리, 이면도로 존재 여부가 선정되었다. 이처럼 버스 정류장 정차시간 및 정시성의 영향을 주는 변수는 다양한 요소가 도출되는 만큼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버스 정류장의 정차시간 및 정시성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roduced the bus information systems, bus rapid transit to increase travel speed and punctuality but still suffer from insufficiency. This paper delivers a study verifying the external factors at near the bus stops.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to the standard deviation of (1) travel time and (2) travel time to and from the bus stop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to (1) the number of routes, (2) traffic volume by bus type, (3) the number of bus bays, (4) the possibility of passing, (5) the distance to crosswalks and intersections, and (5) the presence of residential roa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cluded the link section speed, number of bus bay, distance to crosswalk, and the possibility of passing.

키워드

참고문헌

  1. Gang J. R., Kho S. Y. (2006), Development of Optimal Number of Bus-stops and Inter-stop Space Estimation Model Based on On-Off Patterns of Passengers, J. Korean Soc. Transp, 24(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97-108.
  2. Kim J. S., Park B. J., Roh C. G., Kang W. E. (2014), Improve the Reliability Measures of Bus Arrival Time Estimation Model, J. Korean Soc. Civil Eng, 24(1),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597-604.
  3. Lee C. H., Park Y. J., Kang K. P. (2010), Prediction of Bus-Link Travel Time Considering Signal Phases, The 62nd Conference of KST,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43-748.
  4. Lee S. H., Mun B. S., Park B. J. (2010), The Bus Arrival Time Prediction Using Bus Delay Time, J. Korean Soc. Transp, 28(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25-134.
  5. Noh C. G., Kim W. G., Son B. S. (2010), Development of Bus Arrival Time Estimation Model by Unit of Route Group, J. Korean Soc. Transp, 28(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35-142.
  6. Oh H. J. (2012),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unctuality of Inner City Bus Operation, A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7. Seong M. E, Choi K. C., Shin K. W., Chung W. H., Lee K. J. (2014), An Empirical Model for Estimating Bus Boarding and Alighting Time, J. Korean Soc. Transp, 32(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52-161. https://doi.org/10.7470/jkst.2014.32.2.152
  8. Yang D. Y., Choi J. S., Kim S. Y., Sung H. J., Kim S. K. (2011), Analysis of Bus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by Reliability, Conference paper,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