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안전교육 표준안에 대한 연구 : IPA기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7 Guidelines of Safety Education: Using IPA Methodology

  • 투고 : 2017.03.14
  • 심사 : 2017.04.18
  • 발행 : 2017.06.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 유치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대해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안전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지원할 항목과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는 항목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치원 안전교육 표준안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우선적 지원과 장기적 지원 및 개선의 필요성을 분석하기 위해 '중요도와 실행도(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매트릭스'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부 유치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중요도와 실행도는 모든 영역과 항목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현장에서 바람직한 안전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영역과 항목은 '폭력 및 신변안전' 영역의 2개 항목, '약물 및 사이버 중독' 영역의 1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는 영역과 항목은 '응급처치' 영역의 6개 항목, '폭력 및 신변안전' 영역의 1개 항목', '직업안전' 영역의 3개 항목, '약물 및 사이버 중독' 영역의 3개 항목', '재난 안전' 영역의 1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perceived by pre-school teachers and their actual performance in regards to the 7 Guidelines of Safety Education set ou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rough the analysis, to identify the items that need priority support and those that need long-term improvement efforts for exemplary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mea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paired sample t-test conducted, an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atrix method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priority and long-term support items and improvement needs. The study results show differences in all areas and all items in the 7 Guidelines of Safety Education by the MoE in the pre-school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actual performance. Areas and items that are identified to be in need of priority support for exemplary safety education in pre-schools; 2 items under 'Violence and Personal Safety' area and I item under 'Substance and Internet Addictions' area. Areas and items that are identified to be in need of long-term improvement efforts are; 6 items under 'First Aid and Emergency Treatment' area, 1 item under 'Violence and Personal Safety' area, 3 items under 'Workplace Safety Culture' area, 3 items under 'Substance and Internet Addictions' area and 1 item under 'Disaster and Safety'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이기숙, 장영희, 정미라, 배소연, 박희숙,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과 응급처치, 양서원, 2004.
  2. 안혜진,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연구,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13.
  4. 신동주, 이상은, 김현경, 박영선, 영․유아 안전관리, 정민사, 2015.
  5. 교육부, 유치원교육과정, 교육부, 2015.
  6. 교육부, 7대 안전교육 표준안, 교육부, 2016.
  7. 배재정, "교사가 지각한 유아 다문화교육의 내용," 유아교육연구, 제31권 제4호, pp. 143-163, 2011.
  8. 이은경, 유아교사의 안전에 대한 지식과 실천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김승현, 유아교사의 안전지식 정도 및 안전연수에 관한 인식과 요구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박희정,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안전교육 실천도에 대한 진단적 연구: 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1. 김은경,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실태 및 교사의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2.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Vol. 41, No. 1, pp. 77-79, 1977. https://doi.org/10.2307/1250495
  13. 이연승, 강민정, 이민정,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로봇기반교육 환경에 대한 연구: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3권, 제2호, pp. 1-20, 2014.
  14. 주영주, 이광희, 하영자, "유아 ICT 활용환경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실행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제12권, 제1호, pp. 1-18, 2008.
  15. 박영선, 신동주, "유아교육기관 유아 안전사고의 잠재적 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2호, pp. 347-370, 2014.
  16. 김은영, 유치원과 보육시설 시설.설비 기준 개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09.
  17. 이동임, "가정폭력과 효," 효학연구, 제14권, 제2호, pp. 47-71, 2011.
  18. 한국아동청소년안전교육협회, 학교안전교육, 공동체, 2016.
  19. 교육부, 양식분야 산업안전 매뉴얼, 교육부, 2013.
  20. 배지희, 권경숙, 이사임, 이미선,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 실제와 교사의 어려움 및 요구," 유아교육연구, 제35권, 제4호, pp.223-248, 2015.
  21. 연합뉴스, 2016. 09.22
  22. 최혜윤,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안전교육 내용 및 교수방법 비교연구: 한국,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3-5세 유아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3권, 제4호, pp. 1-31, 2016.
  23. 류미향, 박영희, "영유아 또래 괴롭힘 및 따돌림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 효능감,"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512-512, 2015.
  24. 송은영, 이경민, "유치원에서의 따돌림 실태와 교사의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1권, 제3호, pp. 289-315, 2014.
  25. 손경숙, "가정폭력 피해아동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미래사회복지연구, 제4권, 제1호, pp. 5-42, 2013.
  26. 이수기, 이현경, 홍혜경,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현황과 게임 과몰입 경향성,"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3호, pp. 239-262, 2014.
  27. 정지나, 김지현, "유아의 인터넷 게임 중독성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과 사회적 기술," 한국생활과학학회지, 제21권, 제6호, pp. 1029-1042, 2012.
  28. 이순형, "아동기와 사이버 공간: 그 기능과 중독의 위험," 한국인간발달학회 학술대회지, pp. 11-39, 2005.
  29. 김윤나, 박희숙, "유아의 스마트 기기 몰입경향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20권, 제4호, pp. 337-353, 2016.
  30. 방효국, 김낙흥, "만5세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사용실태 및 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8권, 제6호, pp. 43-64, 2013.
  31. 이수기, 이현경, 홍혜경,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현황과 게임 과몰입 경향성,"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3호, pp. 239-262, 2014.
  32. 김미선, 박미화, 이효숙, "유아교사의 응급처치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3권, 제1호, pp. 91-114, 2006.
  33. 박언하, 최종욱, "자살 관련 미디어 노출 빈도에 따른 유아의 죽음 불안의 차이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7권, 제1호, pp. 387-403, 2010.
  34. 권기남, 민하영, 윤충식, "유아의 건강권리증진을 위한 유아 간접흡연 예방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지, 제15권, 제2호, pp. 187-19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