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Community Business

커뮤니티 비즈니스 성과지표 개발연구

  • 김명진 (전북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 Received : 2017.02.20
  • Accepted : 2017.04.17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is study has begun with the perception that proper measuring system is required to grow community business in equilibrium and to grope for som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it. First, for eff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munity business, the study developed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based on balanced score cards, and to apply validity 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by classifying. Seco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cond indicator for each of the first aspects shows that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in the aspect of person interested, satisfaction of inner education in the aspect of learning and growth, shortening of work process in the aspect of inner process, and sales per head in the aspect of substantiality were high in relative importance. Third, in the result of calculation of overall weight for each aspect,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 business connection to the community, sales per head were ranked in the upper group. Thus, it's now necessary to have management support through fostering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in community business which has been bureaucratic, and improvement of product and service through connection with outside consulting agencies and strategic alliance with the leading businesses is required.

본 연구는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균형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적합한 시스템이 요구되고 그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인식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첫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효과적인 성과평가를 위하여 균형성과표에 기반을 둔 성과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평가요인의 1차 관점별 2차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이해관계자 관점에서는 지역주민 참여율, 학습과 성장 관점에서는 내부교육 만족도, 내부프로세스 관점에서는 업무프로세스 단축, 지속가능성 관점에서는 1인당 매출액의 상대적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각 지표별 종합적 가중치 산정 결과는 지역주민 참여율, 지역과의 사업연계, 1인당 매출액이 상위그룹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관주도로 이루어진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중간지원조직 양성을 통한 경영지원이 필요한 시점이고, 외부컨설팅 연계, 주요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제품 및 서비스 향상의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양연회, 이상철, "커뮤니티 비즈니스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한일 지원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0권, 제3호, pp. 253-275, 2016.
  2. K. Hayton, "The future of local economic development," Regional Studies, Vol. 23, pp. 549-557, 1989. https://doi.org/10.1080/00343408912331345712
  3. G. Harte, "Social accounting in the local economy," Local Economy, Vol. 1, pp. 45-56, 1986.
  4. 김윤호, "사회적기업은 재분배 정책인가 분배정책인가?:인증 사회적기업 유형화, 실증적 비교분석 그리고 육성방안," 한국정책학회보, Vol. 19, No. 4, pp. 211-248, 2010.
  5. 삼성경제연구소, 지역활성화의 새로운 대안 커뮤니티 비즈니스,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2009.
  6. 박종안,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성공모델 에 관한 사례연구-농촌체험관광 마을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7. 이지은, 이재완, 이승종, "지역공동체의식이 커뮤니티 비즈니스 삼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보, 제27권, 제2호, pp. 29-55, 2015.
  8. 이효정, 김유준, 김종구, "커뮤니티 비즈니스형 도시재생공간의 도시설계적 요소 평가,"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5권, 제6호, pp. 17-31, 2014.
  9. 황희정, 심진범, "지역관광과 연계한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의미와 과제," 관광연구, 제29권, 제4호, pp. 43-64, 2014.
  10. 하재도, 정부투자기관의 BSC를 활용한 전략적 성과평가 연구: 한국도로공사의 BSC구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1. 송지영,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학교급식 운영성과평가 측정지표 개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2. 장기진, "글로벌 창업기업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7권 제6호, pp. 51-59, 2016.
  13. 차가영, 김재윤, "BSC와 AHP를 활용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경영성과지표 개발 사례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9권, 제7호, pp. 1083-1107, 2016.
  14. 전제란, "의료기관에서의 Balanced Scorecard를 이용한 성과측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4호, pp. 254-264,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4.254
  15. 김현정, "예비 사회적 기업의 균형성과측정 및 정책 지원방안," 사회적기업연구, 제9권, 제1호, pp. 31-63, 2016.
  16. R. S. Kaplan and D. P. Norton,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0, No. 1, pp. 71-79, 1992.
  17. Barry M. Staw, Pamela I. McKechnie, and Sheila M. Puffer, "The Justifica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dministrative Science Quaterly, Vol. 28, No. 4, pp. 582-600, 1983. https://doi.org/10.2307/2393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