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ative Research of Picture Books Preferred by 6 Year Old and 9 Year Old

만6세와 만9세 아동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장르에 대한 질적 연구

  • 박소윤 (동주대학교 유아교육과) ;
  • 김민정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7.03.03
  • Accepted : 2017.05.18
  • Published : 2017.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favorite picture books by age according to genre. For this purpose, children of 6 and 9 year old were interviewed from October 2015 to January 2016, and the final data of 34 children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coding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icture books preferred by 6 year old children appeared in the order of folktale picture books, story picture books, korean-domestic poetry picture books,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nd they didn't prefer korean-translated poetry picture books. They tended to like interesting story and well-constructed plots. Second, picture books preferred by 9 year old children were surveyed in the order of story picture books, folktale picture books, korean-domestic poetry picture books, and they didn't prefer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nd korean-translated poetry picture books. They explored literary elements extensively and considered them as interesting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vealed reasons why children of different ages prefer particular picture book genre, and proposed ways to use picture book genres widely by age.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성과들에 기반 하여 장르를 중심으로 연령별로 아동이 좋아하는 그림책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만6세와 만9세 아동을 면담하고 최종 34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약호화의 과정을 거쳐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만6세 아동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은 옛이야기 그림책, 이야기 그림책, 국내 시 그림책, 정보 그림책 순으로 나타났으며 번역 시 그림책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흥미로운 줄거리와 잘 짜인 플롯을 좋아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만9세 아동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은 이야기 그림책, 옛이야기 그림책, 국내 시 그림책 순으로 조사되었고 정보 그림책과 번역 시 그림책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문학적 요소를 폭넓게 탐색하고 그것을 재미요소로 여겼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연령별 아동들이 특정 그림책 장르를 선호하는 이유를 밝히고, 연령별로 그림책 장르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정숙,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양상과 문제점,"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p. 99-113, 2000.
  2. O. N. Saracho and B. Spodek, "Families' Selection of Children's Literature Books,"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7, pp. 401-409, 2010. https://doi.org/10.1007/s10643-009-0365-5
  3. 김양선, 소그룹 그림책 읽기에서 그림책에 대한 5세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997.
  4. 유동관, "어린이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형식에 대한 어린이의 선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pp. 165-175,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165
  5. 김민정, "한국 스테디셀러 그림책의 특성,"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 141-164, 2014.
  6. L. R. Sipe, "Picturebooks as aesthetic objects,"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Vol. 6, No. 1, pp. 23-42, 2001.
  7. 김선옥, 윤정빈, 지은주, 유승희,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그림책 선호 경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11호, pp. 291-318, 2006.
  8. 이문정, 최윤정, 곽아정,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 63-79, 2013.
  9. 김민정, 유아의 연령 및 선호하는 동화 장르에 따른 소망에 대한 믿음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0. 김정화, "유아의 그림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어린이미디어연구, 제8권, 제1호, pp. 1-17, 2009.
  11. K. A. Mohr, "Children's choices for recreational reading: A three-part investigation of selection preferences, rationals, and processes," J. of Literature research, Vol. 1, pp. 80-104, 2006.
  12. 유동관,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나타나는 형태별 표현양식에 대한 남녀어린이의 반응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 127-13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127
  13. 유동관, "그림책 화면에서 나타나는 은유적 표현 방식에 대한 어린이의 인지반응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7호, pp. 198-207,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7.198
  14. S. Shine and N. L. Roser, "The Role of Genre in Preschooler's Response to Picture Books,"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Vol. 34, No. 2, pp. 197-254, 1999.
  15. 심향분,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의 교사 발문 탐구: 픽션과 논픽션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 1-28, 2014.
  16. K, J. Vanhoozer, 이 텍스트에 의미가 있는가, IVP, 2003.
  17. 김준오, 문학자와 장르, 문학과지성사, 2000.
  18. J. A. Hatch,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학지사, 2008.
  19. 이종규, 질적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7.
  20. J. W. Creswell, 질적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2판), 조흥식 외 공역. 학지사, 2010.(원본 2007년 출판)
  21. 고미영, 질적연구방법, 청목출판사, 2012.
  22. 이차숙, 유아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
  23. E. Hoff, 언어발달, 시그마프레스, 2007.
  24. P. A. Alexander, "The Path to Competence: A Lifespan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Reading," J. of Literacy Research, Vol. 37, No. 4, pp. 413-436, 2005. https://doi.org/10.1207/s15548430jlr3704_1
  25. 정혜승, 서수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 양상 분석,"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pp. 181-195, 2010.
  26. 현은자, 내 아이가 꼭 읽어야 할 좋은 책 110, 예영커뮤니케이션, 2005.
  27. 신현숙, 그림 이야기 장르에 따른 만3세와 5세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반응 비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I, 아카데미프레스, 1998.
  29. 현은자, 김세희, 그림책의 이해 I, 사계절, 2005.
  30. 서정숙, 최현주, "그림책 장르별 만 3세 유아의 반응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 1-23, 2014.
  31. 정남미, "유아문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유아, 교사, 학부모의 동화 선호도 조사," 숭의논집, 제22권, pp. 125-150, 1998.
  32. 홍선희, 그림책 장르에 따른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의 연령별 비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33. T. Merisuo-storm, "Girls and boys like to read and write different texts,"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50, No. 2, pp. 111-125, 2004. https://doi.org/10.1080/00313830600576039
  34. G. Moss and J. W. Mcdonald, "The borrowers: Literacy records as unobtrusive measures of children's reading preferences," J. of Research in Leading, Vol. 27, pp. 401-412, 2004.
  35. 김재은, 유아발달심리, 창지사, 1997.
  36. C. A. Donovan, "First grader's impressions of genre-specific elements in writing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 In D. J. Leu, C. K. Kinzer, & K. A. Hinchman(Eds.), Literacy for the 21st century: Forty-fifth yearbook of the national reading conference(pp. 183-194), Chicago, IL:National Reading Conference, 1996.
  37. L. R. Sipe, "Children's Response to Literature: Author, Text, Reader, Context," Theory Into Practice, Vol. 38, No. 3, pp. 120-129, 1999. https://doi.org/10.1080/00405849909543843
  38. 박진희, 이야기 그림책과 정보 그림책 장르의 텍스트 구조와 특징에 대한 유아의 이해,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9. C. Haynes. "Explanatory power of content for identifying children's literature preferences,"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Vol. 49, No. 12, 3617A. (UMI No. DEW8900468).
  40. 박명주, 아동을 위한 연령별 동화책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