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Medical Resources according to number of beds in Korean General Hospitals

국내 종합병원의 병상규모에 따른 의료자원 분석

  • Received : 2017.04.14
  • Accepted : 2017.05.08
  • Published : 2017.06.15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general hospitals as an expanded concept of medical resources including medical staff and equi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for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scale and establishment of facility guidelines at the planning stage of general hospital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general hospitals. The status of medical resources was based on the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number of beds, doctors, nursing grades and major medical equipment were surveyed in 335 general hospitals. Results: 1) The characteristic of general hospitals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inpatient beds. To be concret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medical staffs and equipments in general hospitals based on 300 500 800 1,000 beds. 2) As the number of hospital beds increases, the number of medical staff increases more than medical equipment and facilities. Medical equipment and facilities remain constant, even when the number of beds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medical staff increased about 1.5 times in each level. Implications: Architectural plans for medical staff should be conside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beds. In particular, architectural planning and facility guideline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based on 300 and 500 beds.

Keywords

References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약국.병원 찾기). http://www.hira.or.kr/rd/hosp/getHospList.do?pgmid=HIRAA030002000000.
  2. 김광문, 최광석, 정태우, & 서상문. (1990). 중소도시에 건립하는 병원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중소규모 병원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4), 63-75.
  3. 김수진, 권순만, & 유명순. (2011). 한국 보건의료 환경의 변천: 제도적 로직, 행위자,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보건행정학회지: 제, 21(3).
  4. 김춘배, & 김판석. (2012). 한국 보건의료인력의 현황과 정책 과제.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10), 940-949. https://doi.org/10.5124/jkma.2012.55.10.940
  5.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 한양대학교 병원건축연구실 (2016), 부산광역시의료원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부산광역시의료원.
  6. 문옥륜, 이옥련 & 장기호. (1992). 병원급 의료기관의 진료권별 병상소요 추계, 보건사회연구, 12(1).
  7. 이윤태, 김정덕, 이여호, 강대욱, & 박종애. (2008). 간호인력 수급 및 간호관리료 차등제에 대한 실태 조사. 서울: 대한중소병원협의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8. 이호준, 김희영 & 정동호. (2012). 의료시설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9. 정영호, 유근춘, 김은정, & 고숙자. (2004). 보건의료인력 현황 추이 및 정책 방향: OECD 주요국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10. 정규호. (2008). 국립대병원의 공공성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12(2), 51-80.
  11. 제주대학교병원. (2003). 제주대학교병원 신축 건축설계경기 과업지침서.
  12. 조준영, & 양내원. (2013). 국내 종합병원의 유형별 연면적 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9(11), 103-110.
  13. 조준영, (2014). 국내 종합병원 면적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최광석. (2007). 병원건축의 공간배분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3(3).
  15. 한국개발연구원. (2003). 양산 부산대학병원 건립사업 예비타당성조사.
  16.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6). 서울의료원 신축 마스터플랜 연구보고서.
  17.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2). 성남의료원 입찰안내서 면적계획 적정성 검토 연구보고서.
  18.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6), 서산의료원 재활전문센터 신축 및 기존 건물 리모델링을 위한 종합시설계획수립 연구 보고서.
  19. 한양대학교 에리카 산학협력단. (2015) 근로복지공단 대전병원 종합시설 운영계획 연구보고서.

Cited by

  1. 중환자실 시설기준 작성을 위한 기본시설 수준 설정 연구 - 국내·외 시설기준 및 국내 종합병원 병상규모 별 시설 현황분석을 기초로 하여 vol.23, pp.3, 2017, https://doi.org/10.15682/jkiha.2017.23.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