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ual Language Usage and Hybrid Identity of the Student of Daegu Chinese Middle·High School

대구화교중고등학교 학생의 이중적 언어사용과 혼종적 정체성

  • Park, Kyu Taeg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규택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7.04.27
  • Accepted : 2017.05.20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ual language and hybrid identity of the students of Daegu Chinese Middle.High School. Such a phenomenon is being produced and changed at the site or zone of meeting different or conflict factors such as Chinese and Korean. The Chinese Korean students had learned Korean from their mother and her relative at a young age, and their dual and complex language habit was produced due to the learning of Chinese from father and his relative. A large number of the students were educated at a Korean kindergarten, but they were formally learned Chinese and China's society and culture at a Korean Chinese school after primary school. The Chinese Korean students talk with parents, brother and sister, teacher, friend and neighbor at home, school and local by Chinese and/or Korean. They use a dual language of Chinese and Korean based on various situations, but they do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both language in cognition. The students have a hybrid identity of simultaneously recognizing Chinese and Korean. But some of them think Chinese or Korean. It is necessary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be objectified from the following research on the students of Chinese Middle・High School in Seoul, Incheon and Busan.

본 연구는 대구 화교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이중적 언어사용과 혼종적 정체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어와 한국어 혹은 중국인과 한국인이라는 요인이 교차하는 지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계적 활동들에 의해 생성하고 변화한다. 화교학교 학생들은 유아기에 한국 어머니와 외가로부터 한국어를 자연스럽게 배운 뒤, 성장하면서 화교 아버지와 친가로부터 중국어를 학습함에 따라 이중적 언어습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화교학생의 상당수는 한국학교에서 유치원 교육을 받고 있지만 초등학교 이후부터 거의 모든 학생들은 화교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중국의 사회 문화 역사를 학습하였다. 화교학생은 가정, 학교 그리고 로컬에서 부모, 형제와 자매, 교사, 친구, 이웃과 중국어와 한국어를 매개로 대화를 한다. 이들은 상황에 따라 중국어와 한국어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두 언어를 특별하게 구별하여 인식하고 사용하지 않는다. 화교학생은 자신의 정체성을 중국인과 한국인 모두로 이해하는 혼종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일부는 자신의 정체성을 한국인 반, 중국인 반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본 연구 결과의 객관화를 위해 서울, 인천, 부산에 위치한 화교중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경환, 2016, 대안 정치를 위한 공간적 상상력 재고(再考): Doreen Massey(1944-2016)의 공간을 위하여 (2005)에 대한 논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1), 105-123.
  2. 박규택, 2015, 제3의 공간과 전이성에 의한 결혼이주 여성의 유동적.혼종적 정체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31-43.
  3. 박민수, 2015, 문화 혼종성의 이론적 고찰 - 호미 바바를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39, 23-41.
  4. 박혜량.김현철, 2016, 다문화가정의 사용언어가 자녀의 언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4(4), 165-194.
  5. 대구시, 1961(단기 4294), 제1회 통계연보.
  6. 대구광역시, 2008, 대구광역시 결혼이민자가족 실태 조사, 대구광역시.대구경북연구원.
  7. 대구광역시, 2014, 제54회 대구통계연보.
  8. 대구화교협회, 2010, 100년 이웃 100년 친구 - 대구화교정착100주년기념자료집.
  9. 서나래, 2014, 한국 화교의 문화 혼종성 교육 경험과 정체성 형성: 국제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 36(3), 53-82.
  10. 손희연.서세정, 2008, 한국 화교 화자들의 이중언어사용 연구, 사회언어학, 16(1), 185-211.
  11. 조선총독부, 1924, 조선의 중국인, 조선인쇄주식회사.
  12. 이영민.이용균.이현욱, 2012, 중국 조선족의 글로벌 이주 네트워크와 연변지역의 사회-공간적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3), 55-70.
  13. 왕언메이(王恩美), 2015, 한국 화교학교의 법률적 지위 변화와 생존전략, 송승석.이정희 편저, 동남아화교와 동북아화교 마주보기, 학고방, 115-159.
  14. 여병창, 2013, 화교디아스포라의 한반도 이주와 언어 정체성 고찰 - 한국화교의 이중언어 사용양상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52, 263-293.
  15. 홍경희, 1966, 대구시 - 도시지리학적연구, 대구시.
  16. Bhabha, H. 1994, The Location of Culture, London: Routledge.
  17. Dailey, A.C. 2007, The in-between places where children are socialized, University of Pennsylvania Law Review, 156, 38-45.
  18. Beech, N. 2011, Liminality and the practices of identity reconstruction, Human Relations, 64(2), 285-302. https://doi.org/10.1177/0018726710371235
  19. Bhatt, R.M. 2008, In other words: language mixing, identity representations, and the third space, Journal of Sociolinguistics, 12(2), 177-200. https://doi.org/10.1111/j.1467-9841.2008.00363.x
  20. Kalua, F. 2009, Homi Bhabha's third space and African identity, Journal of African Cultural Studies, 21(1), 23-32. https://doi.org/10.1080/13696810902986417
  21. Meerwald, A.M.L. 2001, Chineseness at the crossroads, European Journal of Cultural Studies, 4(4), 387-404. https://doi.org/10.1177/136754940100400402
  22. Paradies, Y.C. 2006, Beyond black and white - essentialism, hybridity and indigeneity, Journal of Sociology, 42(4), 355-367. https://doi.org/10.1177/1440783306069993
  23. Rosenbury, L.A. 2007, Between home and school, Universityof Pennsylvania Law Review, 155, 833-898.
  24. Ross, N.J. 'My journey to school ...': foregrounding the meaning of school journeys and children's engagements and interactions in their everyday localities, Children's Geographies, 5(4), 373-391. https://doi.org/10.1080/14733280701631833
  25. Song, Juyoung, 2012, The struggle over class, identity, and language: a case study of South Korean transnational families, Journal of Sociolinguistics, 16(2), 201-217. https://doi.org/10.1111/j.1467-9841.2011.00525.x
  26. Valentine, G. 2008, Living with difference: reflections on geographies of encounter,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2, 321-335.
  27. Valentine, G. Sporton, D. and Nielsen, K.B., 2008, Language use on the move: sites of encounter, identities and belonging,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3(3), 376-387. https://doi.org/10.1111/j.1475-5661.2008.00308.x
  28. Zhou, M. 2009, How neighbourhoods matter for immigrant children: the forma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in Chinatown, Koreatown and Pico Union, Los Angeles,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35(7), 1153-1179. https://doi.org/10.1080/13691830903006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