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6). 2016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결과 주요 내용. KISDI STAT Report 16-11-15. 진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여성가족부(2010).청소년백서. 서울: 여성가족부.
- 경기도교육청 (2012). 학생 스마트폰 이용습관 전수 조사 보고서. 수원: 경기도교육청.
- 홍성용, 이문정, 성은현(2014). 컴퓨터 사용시간 및 사용목적과 창의성간의 관계-공학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13(2), 281-299.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4).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컴퓨터 기반 평가 결과 분석. 연구보고 PRE 2014-4-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Li, X, & Atkins, M.(2004). Early childhood computer experience and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Pediatrics, 113(6), 1715-1722. https://doi.org/10.1542/peds.113.6.1715
- Fiorini, M.(2010). The effect of home computer use on children’s cognitive and non-cognitive skills.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9(1), 55-72. https://doi.org/10.1016/j.econedurev.2009.06.006
- 노용(2004). ICT를 활용한 미술수업이 중학생의 조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술교육연구논총, 32(1), 1-25.
- 김윤정(2010).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창의적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연구, 12(3), 57-74.
- 강민경, 부정민(2013). 컴퓨터를 활용한 동화 재구성 협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3(1), 155-177.
- Banerjee, A., Cole, S., Duflo, E., & Linden, L.(2007). Remedying education: Evidence from two randomized experiments in India.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2(3), 1235-1264. https://doi.org/10.1162/qjec.122.3.1235
- Barrow, L., Markman, L., & Rouse, C.(2009). Technology's edge: The educational benefits of computer-aided instruction. American Economic Journal: Economic Policy, 1(1), 52-74. https://doi.org/10.1257/pol.1.1.52
- Kebritchi, M., Hirumi, A., & Bai, H.(2010). The effects of modern mathematics computer gam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class motivation. Computers & Education, 55(2), 427-443. https://doi.org/10.1016/j.compedu.2010.02.007
- Dynarski, M., Agodini, R., Heaviside, S., Novak, T., Carey, N., Campuzano, L., Means, B., Murphy, R., Penuel, W., Javitz, H., Emery, D., & Sussex, W.(2007). Effectiveness of reading and mathematics software products: Findings from the first student cohort. NCEE report to congress 2007-4005. U.S: Department of Education.
- Rouse, C., & Krueger, A.(2004). Putting computerized instruction to the test: A randomized evaluation of a "scientifically based" reading program.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23(4), 323-338.
- 정미경(2002). 중고등학생의 다중지능 및 창의성과 가정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87-206.
- 송인섭(2003). 창의성과 학업성취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2(2), 5-28.
- 김복권(2017). 고등학생의 수학성취 수준별 창의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이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427-450.
- 김민경, 황우형(2015).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 자기효능감과 학업 성취도의 상관관계 연구. 교과교육연구, 8(2), 1-29.
- 김정아(2015). 고등학교 1학년 미술 수업에서 스마트폰 앱의 활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 김은영, 송미현(2012). SNS를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 적용가능성 탐색-'창의성 동아리'를 중심으로. 창의력교육연구, 12(3), 29-55.
- 홍성용, 이문정, 성은현(2014). 컴퓨터 사용시간 및 사용목적과 창의성간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13(2), 281-299.
-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8). KERIS 이슈리포트 연구자료 RM 2008-10.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김세리, 남창우, 장선영(2012). 학생의 EBS 및 컴퓨터 활용과 교사의 ICT 활용이 학습 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8(4), 849-877.
- 성은모(2014).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이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의 성별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0(4), 621-850.
- 성은모(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 능력 요인과 교과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 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2), 215-243.
- 김여란, 김현숙(2015).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 와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8(3), 200-210. https://doi.org/10.15434/KSSH.2015.28.3.200
- 장준혁, 박판혁(2014).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4), 521-528.
- 김대희, 박판혁(2016). SNS형식의 전자책 제작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연구. 한국교육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1), 29-38.
- 문혜성, 사공옥정(2014). 컴퓨터 활용 프로젝 트 미디어교육의 중등 기술교과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19(1), 163-166.
- 홍원준, 임철일, 박태정(2014). 동영상 강의 분할시간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1048-1057.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1048
- 허균(2017). 고등학생들의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과 고3의 주관적 학업성취도 관계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9(1), 180-187.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1.180
- 서울교육정책연구소(2016). 서울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사용자 매뉴얼.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 박병기, 강현숙(2006).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55-177.
- 김계수(2009). 잠재성장모델링과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 홍세희, 유숙경.(2004). 다변량 고차 잠재 성장모형을 이용한 내외통제성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분석. 교육평가연구, 17(2), 131-146.
- Duncan, T., Duncan, S., Strycker, A., Li, F., & Alpert, A.(1999). An Introduction to Latent Variable Growth Curve Modeling: Concepts, Issue, and Applications. New Jersy, Mahwah: Lawrence Erlbuam.
- 김보영, 이지혜, 이수정, 김혜자, 이상민 (2015). 청소년의 비공식적낙인과 공격성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1(1), 277-295.
- West, S. G., Finch, J. F., and Curran, P. J.(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56-75). Newbury Park, CA : Sage.
-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 남창우, 신수영(2014). 학생의 ICT 관련 변인이 ICT 활용에 대한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27(5), 1265-1286.
- 권선아, 정윤희, 남나라(2016). 학생과 교사의 ICT 활용이 중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제 2회 서울교육종단연구학술대회 발표집, 136-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