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복지의 새판 짜기를 위한 문제 인식과 방안 모색

Exploring Policy Reform Options for the Welfare Regime Shift in Korea

  • 홍경준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7.04.30
  • 심사 : 2017.05.10
  • 발행 : 2017.05.31

초록

체제의 전환은 정책의 변화나 정부의 교체보다는 덜 자주 발생한다. 사회경제 연합, 정치경제 제도, 공공정책의 양상이라는 체제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모두의 변화가 이루어질 때 체제의 전환은 가능하다. 이 연구는 한국 생활보장체제의 전환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지금의 시점에서 필요한 과제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한국 생활보장체제의 전개과정과 특성을 필자의 선행연구들에서 주장한 '개발국가형 생활보장체제'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한국 생활보장체제의 전환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3가지의 과제를 제시하였는데, 그것은 정치제도의 개혁, 재정지출 구조의 개혁, 그리고 비공식 취업의 축소 등이다. 이러한 과제들은 사회경제 연합의 변화와 새로운 정치경제 제도의 등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체제전환과 관련한 정책적 과제이다. 한편, 4절에서는 한국 사회복지의 새판 짜기와 관련하여 우리 학문 공동체에 붙여보고 싶은 두 가지의 토론거리를 결론을 대신하여 제기하였다.

Generally, regime shift occurs less frequently than policy change and/or government change. Regime shift needs alterations and changes along the three critical components which constitute a domestic regime: (1) the character of the socioeconomic coalition that rules the country; (2)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stitutions through which power is acquired and exercised; and (3) the public policy profile that give political direction to the nation. This paper trie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regime of Korea, and explore policy reform options for the welfare regime shift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livelihood security perspective, I firstly tries to examin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welfare regime and specif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at regime. Secondly, I present three policy reform options: (1) reform of the formal political institutions such as electoral system and government type; (2) restructuring of the composition of government expenditure structure; and (3) reduction of the informal employment. These three policy reform options are related to the alteration of socioeconomic coalitions and the changes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stitutions. Instead of concluding remarks, I finally suggest two debate topics to the round table discus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경향신문, 2011, "'노동 없는 민주주의'의 감춰진 상처", 2011년 9월 26일.
  2. 기획재정부, 2017, "열린 재정", www.openfiscaldata.go.kr
  3. 김수정․남찬섭, 2015, '"서민"은 복지확대를 지지하는가?: 비계급성과 비일관성 명제를 넘어서', 사회복지연구, 46(4): 351-374.
  4. 김영순․여유진, 2011, "한국인의 복지태도: 비계급성과 비일관성 문제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91: 211-240.
  5. 송호근․홍경준, 2006, 복지국가의 태동: 민주화, 세계화, 그리고 한국의 복지정치, 파주: 나남출판.
  6. 이병희․황덕순․강병구․강성태․김홍영․도재형, 2012, 비공식 취업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7. 조윤희, 2015, 농업보조사업 평가:사업평가 15-08(통권 345호),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8. 통계청, 2013, "사회조사", www.kosis.kr
  9. 통계청, 2017, "직접지불금 현황", www.index.go.kr.
  10. 홍경준, 1999, 한국의 사회복지체제 연구: 국가.시장.공동체의 결합구조, 서울: 나남출판
  11. 홍경준, 2009, "선호와 정치제도를 중심으로 한 사회정책 발달이론의 모색", 한국사회복지학, 61(4): 35-59.
  12. 홍경준, 2010, "정치제도가 사회정책의 발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3): 141-162.
  13. 洪坰駿, 2014, "最近韩国社会保障的动向", 2014韓中日社會保障專門家論壇資料集, 2014년 4월 19일, 북경
  14. 洪坰駿, 2016, "韓国における生活保障システムの展開過程と改革の方向性". 季刊社會保障硏究, 51(3.4): 337-354.
  15. Bozeman, B., 2007, Public Values and Public Interest: Counterbalancing Economic Individualism,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6. Estevez-Abe, M., 2008, Welfare and Capitalism in Postwar Japa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Hall, P., 1992, "The Movement from keynesianism to monetarism: Institutional analysis and british economic policy in the 1970s", 90-113, in Structuring Politic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mparative Analysis,. edited by Steinmo, S., Thelen, K., and Longstreth, F.,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Hallerberg, M., 2002, "Veto players and the choice of monetary Institution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56(4): 775-802. https://doi.org/10.1162/002081802760403775
  19. Hong, Kyung-Zoon, 2008, "Neither hybrid nor unique: A reinterpretation of the east asian welfare regime",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2(3): 159-180. https://doi.org/10.1111/j.1753-1411.2008.00017.x
  20. Howard, C., 1997, The Hidden Welfare State: Tax expenditures and social policy in the united stat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1. ILO, 2003, "Guidelines concerning a statistical definition of informal employment", endorsed by the Sevente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Labour Statisticians,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22. Moulton, S., 2009, "Putting together the publicness puzzle: A framework for realized publicnes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9(5): 889-900. https://doi.org/10.1111/j.1540-6210.2009.02038.x
  23. OECD, 2004, "Informal employment and promoting the transition to a salaried economy", OECD Employment Outlook, Paris: OECD.
  24. OECD, 2017, "National accounts at a glance", stats.oecd.org.
  25. Pempel, T. J., 1998, Regime Shift; Comparative dynamics of the japanese political economy,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6. Whitten, G., and Powell, G., 1993, "A cross-national analysis of economic voting: Taking account of the political context",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7(2): 391-414. https://doi.org/10.2307/2111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