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Social Network of Disabled Wage Worker on Job Satisfaction :Center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별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하경해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Received : 2017.04.11
  • Accepted : 2017.04.24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ocial network of disabled wage worker o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based on this, we propose a solution. For this purpose, data of 805 people wi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8th year(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networks of disabled wage worker were found to reduce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Second,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disabled wage worker decreased job satisfaction and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that the social network is important for the discrimin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disabled people, and we suggest tha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at government and enterprise level to strengthen the social network of the disabled.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차별경험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및 차별경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고용패널조사 8차년도(2015년) 자료를 활용하여 임금근로 장애인 80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차별경험을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임금근로 장애인의 차별경험은 직무만족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네트워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장애인의 차별과 직무만족에 사회적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규명한 것으로 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정부 및 기업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민준영, 김호진, 강혜승, 김성천, 제8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15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6.
  2. 나영희 외, 2015 장애인백서,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3. M. Jones and P. Latreille, "Disability and self-employment: evidence from the UK LFS," Applied Economics, Vol.43, No.27, pp.4161-4178, 2006. https://doi.org/10.1080/00036846.2010.489816
  4. 송진영, "임금근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직무만족도 간 장애수용과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4호, pp.329-346, 2012
  5. 송진영, 김형모, "고령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1호, pp.199-225, 2014
  6. L. A. Snyder, J. S. Carmichael, L. V, Blackwell, J. N. Cleveland, and G. C. Thornton, "Perceptions of discrimination and justice among employees with disabilities,"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Journal, Vol.22, No.1, pp.5-19, 2010. https://doi.org/10.1007/s10672-009-9107-5
  7. 전동일, 서정민,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 변화궤적 연구," 장애와 고용, 제2권, 제1호, pp.137-157, 2012.
  8. C. K. Fatt, E. W. S. Khin, and T. N. Heng,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The Malaysian companies perspectives," American Journal of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Vol.2, No.1, pp.56-63, 2010. https://doi.org/10.3844/ajebasp.2010.56.63
  9. J. D. Montgomery, "Social networks and labor-market outcomes: Toward an economic analysi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81, No.5, pp.1408-1418, 1991.
  10. A. Calvo-Armengol and M. O. Jackson,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employment and inequality,"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94, No.3, pp.426-454, 2004. https://doi.org/10.1257/0002828041464542
  11. H. Achat, I. Kawachi, S. Levine, C. Berkey, E. Coakley, and G. Colditz, "Social networks, str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uality of life research, Vol.7, No.8, pp.735-750, 1998. https://doi.org/10.1023/A:1008837002431
  12. W. S. Chow and L. S. Chan, "Social network, social trust and shared goals in organizational knowledge sharing," Information & management, Vol.45, No.7, pp.458-465, 2008. https://doi.org/10.1016/j.im.2008.06.007
  13. G. Regts, and E. Molleman, "The moderating influence of personality on individual outcomes of social network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89, No.3, pp.656-682, 2016. https://doi.org/10.1111/joop.12147
  14. 염동문, 김미정, 백혜영, "장애인 근로자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1호, pp.303-325, 2013.
  15. 전영환, 남용현, 류정진, "장애인근로자의 사회경제적 지위, 건강행위, 건강상태,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1호, pp.187-208, 2011.
  16. 이채식, 김명식,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제 특성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1호, pp.327-356, 2013.
  17. 이채식, 김명식,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변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1호, pp.29-54, 2012.
  18. 남정휘, 조성욱, "중증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16권, pp.137-156, 2012
  19. 김환희, 이영선, "장애인의 직업유지요인 탐색,"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3호, pp.183-210, 2012.
  20. 보건복지부,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1. 문성애, 이영민, "기업 재직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6권, 제2호, pp.55-67, 2009.
  22. C. Jones, W. S. Hesterly, and S. P. Borgatti, "A general theory of network governance: Exchange conditions and social mechanism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2, No.4, pp.911-945, 1997. https://doi.org/10.5465/amr.1997.9711022109
  23. J. S. Coleman,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24. 조영복, 김경원, "사회적 네트워크의 특성이 직무성과와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8권, pp.87-110, 2011.
  25. R. L. Sandefur, and E. O. Laumann, "A paradigm for social capital," Rationality and society, Vol.10, No.4, pp.481-501, 1998. https://doi.org/10.1177/104346398010004005
  26. M. Fritsch and M. Kauffeld-Monz, "The impact of network structure on knowledge transfer: an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in the context of regional innovation networks," The Annals of Regional Science, Vol.44, No.1, p.21, 2010. https://doi.org/10.1007/s00168-008-0245-8
  27. 이경림, 박재국,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실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제9권, 제1호, pp.289-308, 2007.
  28. M. O. Jackson, T. Rodriguez-Barraquer, and X. Tan, "Social capital and social quilts: Network patterns of favor exchang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102, No.5, pp.1857-1897, 2012. https://doi.org/10.1257/aer.102.5.1857
  29. 김승렬, 송진영,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상생활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제20권, pp.73-94, 2016.
  30. 권선진, "장애인 차별실태와 인권의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8권, 제3호, pp.59-75, 2004.
  31. 차은아, 임성옥,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1호, pp.237-260, 2013.
  32. 김미옥,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4권, pp.99-126, 2002.
  33. 신은경, 곽지영, "장애인의 일상생활.취업준비.일자리에서 지각된 차별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3호, pp.269-292, 2015.
  34. 송진영, "임금근로장애인의 일자리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좋은 일자리 유지와 이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제10권, 제2호, pp.133-161, 2016.
  35.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vchology, Vol.45, pp.1297-1349, 1976.
  36. P. E. Spector, Job satisfaction: Application, assessment, causes, and consequences (Vol.3), Sage publications, 1997.
  37. B. Aziri, "Job satisfaction: A literature review," Management research and practice, Vol.3, No.4, pp.77-86, 2011.
  38. 김현성, 박세영, "사회적 네트워크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의 관계: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5권, 제2호, pp.203-231, 2011.
  39. 한나영, 배상욱, "사회적 자본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3권, 제4호, pp.81-100, 2016.
  40. 김동주, 고민석, "직장 내 차별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장만족과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직업재활연구, 제22권, 제2호, pp.5-29, 2012.
  41. 최수진, 권정미, 이교일, "임시근로장애인의 장애등급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3호, pp.147-168, 2014.
  42. 이성규, "장애유형, 장애정도 및 경제활동상태와 결혼생활만족도의 관계: 고용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6권, 제4호, pp.281-306, 2014.
  43. D. A. Kenny, D. A. Kashy, and N. Bolger, Data analysis in social psychology, In D. T. Gilbert, S. T., Fiske, & G. Lindzey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4th ed., pp.233-26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