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2012.
- 박창현, 박찬옥,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제16권, 제3호, pp.245-270, 2012.
-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 과정," 2013.
- 황해익, 서보순,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실태,"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117-140, 2010.
- 신은수, 박은혜, 조운주, 이경민, 유영의, 이진화, 이병호,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5호, pp.203-226, 2011.
- OECD, Starting Str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2004.
- 김규수,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와 전망,"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5호, pp.395-413, 2012.
- 염지숙,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6호, pp.295-310, 2011.
- 조혜영, 황인주, "5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5호, pp.181-205, 2012.
- 권성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고찰: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구, 제13권, pp.67-81, 2010.
- C. McLachlan, M. Fleer, and S. Edwards, Early childhood curriculum: Planning, assessment, implementa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 손승희, "교육과정 실행과 실행형태의 탐색: 연구동향과 발전방향," 제29권, 제2호, pp.1-20, 2008.
- 이재용, "초등체육 수업 컨설팅을 통한 초등교사의 교수 실제 변화,"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15, 2010.
-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53-80, 2008.
- 이현옥, 김향자, 김혜선, 김연진, 양미현, 유아교육기관의 원내 자율장학, 공동체, 2010.
- 진동섭, "교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원교육의 방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발표자료집, 2012.
- 임숙희,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홀리스틱 관점의 의미," 홀리스틱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43-60, 2011.
- 성원경, 이춘자, 조인경,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 과정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육아지원연구, 제5권, 제1호, pp.5-26, 2010.
- 허유진,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이성희, 박은혜,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실행, 평가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분석," 열린유아 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319-353, 2012.
- 박은혜, 김명순, "유치원 자율장학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교육과학연구, 제33권, 제1호, pp.171-185, 2002.
- 이대균, 장영순, 김주영, "순환형 소집단 장학 경험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209-233, 2010.
- 조부경, 백은주, "유치원 교사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장학 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105-131, 2003.
- 최남정, 임부연, "유아교사의 심미적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pp.353-375, 2011.
- R. D. Sawyer, "Teacher decision making as a fulcrum for teacher development: Exploring structures for growth," Teacher Development, Vol.5, No.1, pp.39-58, 2001. https://doi.org/10.1080/13664539700200145
- E. Mushayikwa and F. Lubben, "Self-directed professional development: Hope for teachers working in deprived environmen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5, pp.375-382, 2009. https://doi.org/10.1016/j.tate.2008.12.003
- 고영미,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E. Wenger, Community of practice,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 M. W. McLaughlin and J. E. Talbert,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 work of high school teaching,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 T. H. Nelson, D. Slavit, M. Perkins, and T. Hathorn, "A culture of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to develop and suppor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eachers College Record, Vol.110, pp.1269-1303, 2008.
- 박인심,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사효능감 제고 가능성 탐색," 사회과학논총, 제17권, pp.63-89, 2010.
- 조형숙, 김민정,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학습공동체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제31권, 제4호, pp.119-141, 2011.
- G. Naughton and P. Hughes, Doing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studies: A step by step guide, NY: Open University Press, 2009.
- M. Q. Patton,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CA: Sage Publications, 2002.
- S. Kemmis and R. McTaggart,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N. K. Denzin and Y. S. Lincoln (Eds.),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pp.507-606, London: Sage Publications, 2000.
-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CA: Jossey-Bass, 1998.
- F. Crowther, M. Ferguson, and L. Hann, Developing teacher leaders, CA: Corwin Press, 2009.
- U. Flick,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CA: Sage, 2002.
- N. K. Denzin and Y. S. Lincoln, Introduction: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zin and Y. S. Lincoln(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1-32, CA: Sage Publications, 2005.
- C. J. Marsh and G. Wills,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 ongoing issues, 3rd Ed. NJ: Pearson Education, 2003.
- 김두정, "전문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개혁: 하향식 및 상향식 의사결정의 균형과 통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제33권, 제3호, pp.179-198, 2015.
- 소경희,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연구, 제21권, 제1호, pp.129-153, 2003.
- 이경진, 교유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에 대한 연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김병찬, "교사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교사 교육, 제17권, 제3호, pp.113-141, 2000.
- 정미라, 김지원, 박수경, "액션러닝 기반 교사교육에 참여한 영아교사의 경험 탐구," 제35권, 제1호, pp.303-331, 2015.
- 이은지, 정지현, "액션러닝에 기반한 교직실무수업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2호, pp.233-255, 2013.
- 김미진, 김병만,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29-55, 2012.
- 이경민, 최윤정,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6호, pp.509-523, 2012.
- A. N. Applebee, Curriculum as conversation: Transforming tradi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 정선아,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47-164,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