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Community-based Group Consulting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커뮤너티 기반 그룹컨설팅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의 경험

  • 박수경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 정미라 (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7.02.20
  • Accepted : 2017.03.14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wha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the teachers' community for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implementation while participating in group consulting.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0 teachers working at the day care center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They had joined this study for 9 months, sharing and practicing various strategies related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through community-based group consulting. Result: First, the teachers came to understand the frame of curriculum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Second, the teachers focused not only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but on the methods of education, and shared the forest of feasibility crossing educational plans and the reality. Third, they found various methods to solve the problems and learned transformation ways in the contex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ourth, it was verified that nevertheless, there was still complicated and situational dilemma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Conclusion: The community-based group consulting was meaningful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because it enables them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techniques for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교사커뮤너티에서 유아교사들이 그룹컨설팅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 12명이었으며, 10개월 동안 커뮤너티 기반 그룹컨설팅에 참여하면서 교육과정 실행과 관련된 다양한 전략을 서로 나누고 실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사들은 교육과정이라는 틀을 다시 바라보게 되면서 단지 문서상의 교육과정이 아닌 맥락화된 교육과정 실행의 주체자로서 스스로를 다시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졌다. 둘째, 교사들은 교육 계획과 실제를 넘나들면서 실천 가능성의 숲을 서로 공유하였다. 셋째, 그룹컨설팅 과정을 통해 교사들은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면서 교육과정 실행의 맥락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되었다. 넷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여전히 복잡하고 상황적인 딜레마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뮤너티 기반 그룹컨설팅의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2012.
  2. 박창현, 박찬옥, "유아교육기관장의 운영능력, 유아교사의 역량, 교육과정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제16권, 제3호, pp.245-270, 2012.
  3.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 과정," 2013.
  4. 황해익, 서보순,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실태," 유아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117-140, 2010.
  5. 신은수, 박은혜, 조운주, 이경민, 유영의, 이진화, 이병호,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방향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5호, pp.203-226, 2011.
  6. OECD, Starting Str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2004.
  7. 김규수,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와 전망,"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5호, pp.395-413, 2012.
  8. 염지숙,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6호, pp.295-310, 2011.
  9. 조혜영, 황인주, "5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5호, pp.181-205, 2012.
  10. 권성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고찰: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구, 제13권, pp.67-81, 2010.
  11. C. McLachlan, M. Fleer, and S. Edwards, Early childhood curriculum: Planning, assessment, implementa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2. 손승희, "교육과정 실행과 실행형태의 탐색: 연구동향과 발전방향," 제29권, 제2호, pp.1-20, 2008.
  13. 이재용, "초등체육 수업 컨설팅을 통한 초등교사의 교수 실제 변화,"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15, 2010.
  14.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53-80, 2008.
  15. 이현옥, 김향자, 김혜선, 김연진, 양미현, 유아교육기관의 원내 자율장학, 공동체, 2010.
  16. 진동섭, "교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원교육의 방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발표자료집, 2012.
  17. 임숙희,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홀리스틱 관점의 의미," 홀리스틱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43-60, 2011.
  18. 성원경, 이춘자, 조인경,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 과정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육아지원연구, 제5권, 제1호, pp.5-26, 2010.
  19. 허유진,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0. 이성희, 박은혜,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실행, 평가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분석," 열린유아 교육연구, 제17권, 제4호, pp.319-353, 2012.
  21. 박은혜, 김명순, "유치원 자율장학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교육과학연구, 제33권, 제1호, pp.171-185, 2002.
  22. 이대균, 장영순, 김주영, "순환형 소집단 장학 경험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209-233, 2010.
  23. 조부경, 백은주, "유치원 교사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장학 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105-131, 2003.
  24. 최남정, 임부연, "유아교사의 심미적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5호, pp.353-375, 2011.
  25. R. D. Sawyer, "Teacher decision making as a fulcrum for teacher development: Exploring structures for growth," Teacher Development, Vol.5, No.1, pp.39-58, 2001. https://doi.org/10.1080/13664539700200145
  26. E. Mushayikwa and F. Lubben, "Self-directed professional development: Hope for teachers working in deprived environmen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5, pp.375-382, 2009. https://doi.org/10.1016/j.tate.2008.12.003
  27. 고영미,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8. E. Wenger, Community of practice,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9. M. W. McLaughlin and J. E. Talbert,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 work of high school teaching,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30. T. H. Nelson, D. Slavit, M. Perkins, and T. Hathorn, "A culture of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to develop and suppor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eachers College Record, Vol.110, pp.1269-1303, 2008.
  31. 박인심,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사효능감 제고 가능성 탐색," 사회과학논총, 제17권, pp.63-89, 2010.
  32. 조형숙, 김민정,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학습공동체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제31권, 제4호, pp.119-141, 2011.
  33. G. Naughton and P. Hughes, Doing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studies: A step by step guide, NY: Open University Press, 2009.
  34. M. Q. Patton,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CA: Sage Publications, 2002.
  35. S. Kemmis and R. McTaggart,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In N. K. Denzin and Y. S. Lincoln (Eds.),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pp.507-606, London: Sage Publications, 2000.
  36.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CA: Jossey-Bass, 1998.
  37. F. Crowther, M. Ferguson, and L. Hann, Developing teacher leaders, CA: Corwin Press, 2009.
  38. U. Flick,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CA: Sage, 2002.
  39. N. K. Denzin and Y. S. Lincoln, Introduction: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zin and Y. S. Lincoln(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1-32, CA: Sage Publications, 2005.
  40. C. J. Marsh and G. Wills,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 ongoing issues, 3rd Ed. NJ: Pearson Education, 2003.
  41. 김두정, "전문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개혁: 하향식 및 상향식 의사결정의 균형과 통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제33권, 제3호, pp.179-198, 2015.
  42. 소경희,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연구, 제21권, 제1호, pp.129-153, 2003.
  43. 이경진, 교유과정 실행에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과 요인에 대한 연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44. 김병찬, "교사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한국교사 교육, 제17권, 제3호, pp.113-141, 2000.
  45. 정미라, 김지원, 박수경, "액션러닝 기반 교사교육에 참여한 영아교사의 경험 탐구," 제35권, 제1호, pp.303-331, 2015.
  46. 이은지, 정지현, "액션러닝에 기반한 교직실무수업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2호, pp.233-255, 2013.
  47. 김미진, 김병만, "생태유아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29-55, 2012.
  48. 이경민, 최윤정,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제32권, 제6호, pp.509-523, 2012.
  49. A. N. Applebee, Curriculum as conversation: Transforming tradi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50. 정선아,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47-164,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