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Unification Education between Korea and Germany

한국과 독일의 통일교육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 교육에의 시사점 탐색

  • 김용기 (한서대학교 교양교육원)
  • Received : 2017.02.14
  • Accepted : 2017.03.17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suggesting the implication of Korean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German unification education, which country achieved unification from the divided country as Korea. Germany named unification education as the political education. German political education includes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peace education, and solidarity education between the peoples. Also, besides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civic organization and parties treat political education. German political education is conducted by being shared with role by main government and several organizations, when the federal government level suggests a big frame. Also, political education with proper content could be conducted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 of main area and the color of the party and civic organizations. Of course, federal government supports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enough on this. In such situation, German people have naturally accepted and developed political education without distance. This situation has lots of implication on Korea. First, systematic system of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 unification education is conducted mainly by Ministry of Unification and Education Center for Unification. However, in order to naturally approach the people, systematic system synthesizing civic organization, local government, religious organization, and educational local government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integration within acknowledgement of diversity'. In Korea, also, diversity should be acknowledged by being suggested by the country with the big frame, and the detailed parts by various institutions and civic organizations as Germany. Third, conversion to integrated educ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Germany is conducting comprehensive education naming unification education as the political education. We also should prepare for coming unification in the near future by complementing the content by converting the mere unification education to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education.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과 똑같은 분단국가에서 통일을 이룩한 독일 통일교육을 통해 한국통일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독일은 통일교육을 정치교육이라고 명칭한다. 독일의 정치교육은 통일교육을 포함하여 민주시민교육, 평화교육, 민족 간 연대교육을 포함한다. 또한 학교 통일교육 뿐만 아니라, 시민단체와 정당들도 정치교육을 다루고 있다. 독일의 정치교육은 연방정부차원에서 큰 틀만 제시하고 세부적인 사항은 주정부와 여러 단체들이 역할을 분담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주지역의 특색과 정당, 시민단체의 색깔에 맞춰 적합내용을 담은 정치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물론 연방정부는 이에 대한 행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일국민들은 거리감 없이 자연스럽게 정치교육을 수용하고 발전해 나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에게 주는 시사점은 많다. 첫째, 통일교육의 체계적인 시스템이다. 한국은 통일부와 통일교육원을 중심으로 통일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시민단체와 지자체, 종교단체, 교육지자체를 종합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다양성 인정 내에서의 통합'이다. 한국도 독일처럼 국가는 큰 틀만 제시하고, 세부적인 것은 여러 기관과 시민단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셋째, 통일교육의 통합교육전환이다. 독일은 통일교육을 정치교육이라고 하여 포괄적인 교육을 시키고 있다. 우리도 단순한 통일교육이 아닌 포괄적인 통합교육으로 전환하여 내용을 충원하여, 앞으로 다가올 통일을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통일부, 통일교육기본지침서, p.11, 2011.
  2. 박병석, 독일정치교육의미.과제.실행체계, FES Information Series, Friedrich Ebert Stiftung, 2014.
  3. 김창환, "통일 전 동.서독 학교 통일교육의 이념과 실상," 한독교육학연구, 제8권, 제1호, p.22, 2003.
  4.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 pp.80-81, 2013.
  5.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문제 이해, pp.83-84, 2013.
  6. 박찬석, 통일교육의 성립과 과정, 한국학술정보, 2006.
  7. 황기식,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독일 통일교육과 한국에의 시사점," 유럽연구, 제33권, 제4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