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봉수 (2007). 통일교육의 사회문화 접근모색. 윤리교육연구, 14, 1-24.
- 교육과학기술부 (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I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 국립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유치원 (2014). 유아통일교육 프로그램 활용으로 건전한 통일관 확립. 2014학년도 교육부지정 상설연구유치원 연구보고서. http://www.edunet.net/nedu/stdysvc/stdySchlForm.do?clss_id=CLSS0000000059&menu_id=443에서 2016년 3월 6일 인출
- 권태현 (2007). 유아 통일교육 활동자료의 내용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명화 (2001). 통일교육 활동이 유아의 북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숙자 (2001). 통일한국에 대비한 유아교육의 내용과 방법. 교육학연구, 39(3), 51-72.
- 김숙자, 지성애, 최민수, 서성미 (2003). 유치원의 통일교육 실천 내용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1), 241-268.
- 김숙자, 홍희주, 김현정, 한미선 (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에서의 교육내용 분석: 만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론집, 18(5), 527-540.
- 김신희, 이우영 (2014). 초등 사회.도덕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북한 및 통일 관련 내용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과 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법과인권교육연구, 7(1), 31-52.
- 김용찬 (2005). 민주화.세계화 시대의 민주시민교육과 정치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 김중균 (2012).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교과서의 통일교육 내용 분석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진선 (2003).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의 통일교육 내용분석: 제6․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독일연수단 (2008). 독일정치교육의 현장을 가다.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박광기 (2012). 한반도 통일비전과 통일교육의 재인식. 정치정보연구, 15(1), 187-214.
- 박문갑, 김호성, 김항인 (2000). 통일을 대비한 통일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 11(2), 1-21.
- 박선혜 (2014).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의 텍스트 연결망 분석: 놀이 관련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찬석 (2003). 7차 초등 도덕과 반성과 8차 도덕과 교육과정 탐색: 통일교육 기초 연구. 초등도덕교육, 11, 205-233.
- 박찬석, 추병완, 차우규, 박병충, 황인표, 정창우 등 (2000). 통일교육론. 서울: 백의.
- 박혜숙 (2001). 통일을 주제로 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변종현 (2012).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초등도덕교육, 29, 63-94.
- 서규선, 조경희 (1995). 한국 유치원에서의 통일교육: 유치원교육과정 및 교재 분석. 교육발전, 14, 131-153.
- 송인섭, 강갑원, 이경화, 장미경 (2007). 아동연구. 서울: 상조사.
- 신승재 (2014). 초등학교 통일교육 내용 분석: 수준별 교육과정 중심으로. 북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영옥 (2002). 남북교육론. 서울: 학문사.
- 유영태 (2004). 도덕과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방향의 모색: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기영 (2006).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통일교육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319-338.
- 윤기영, 서규선, 김지영, 조경희, 이미숙 (1997). 유아 교육 기관의 통일 교육. 서울: 창지사.
- 이광업 (2003). 국제이해교육을 통한 통일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명희 (2000). 유아교육에서의 통일교육의 방향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2), 361-390.
- 이상용 (2015). 초등 도덕과의 다문화교육 내용분석: 2011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영문 (2005).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 단원 내용 개선 방안 연구. 도덕교육연구, 17(1), 199-222.
- 이원영, 이태영, 이경민, 정혜원, 강희정 (2001). 통일교육활동 지도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이윤진, 구자현 (2013). 통일에 대비한 육아지원분야 통합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이윤진, 양미선, 조아라 (2015). 유아교사의 통일인식 실태와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이정화 (2002). 평화교육적 접근을 통한 초등 도덕과 통일 교육의 개선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대현, 곽연미 (2012). 유아교사의 통일교육역량에 대한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1(5), 819-835. https://doi.org/10.5934/KJHE.2012.21.5.819
- 정영수 (1993). 평화교육의 과제와 전망. 교육학연구, 31(5), 173-193.
- 정용민 (2001). 평화교육적 접근에 의한 통일교육 연구.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휘제 (2011). 통일교육이론과 실제 방법론. 서울: 선인.
- 지성애, 김숙자, 최민수 (2003).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229-259.
- 차우규 (2005). 윤리와 사상 교과서 분석과 개선방안 탐색. 도덕윤리과교육연구, 20, 213-240.
- 추병완, 김옥기, 김진선, 김혜영, 백장현, 조은숙 등 (2002). 통일교육. 서울: 하우.
- 최민수, 김숙자, 지성애 (2002). 통일교육 관련 교육활동 자료 개발을 위한 유아통일교육 내용요소에 대한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7(3), 263-290.
- 통일교육원 (2014). 2014 통일교육지침서: 학교용. 서울: 통일교육원.
- 통일교육지원법 (2013). 통일교육 지원법 법률 제12040호.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42938&efYd=20140214#0000에서 2016년 3월 3일 인출
- 하현정, 손유진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151-170.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151
- 함규진, 이신애, 장세영 (2015). 북한 관련 보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와 통일교육의 과제. 한국초등도덕교육, 50, 335-375.
- 헌법 (1987). 대한민국헌법 제10호.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61603&efYd=19880225#0000에서 2016년 3월 3일 인출
- 홍순옥, 서현아, 김경미, 이해정, 김유정 (2012).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지원을 위한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SBS (2017). 김일성 생일 맞아 대규모 열병식... 신무기 공개 가능성. http://news.sbs.co.kr/news/end Page.do?news_id= N1004148057&plink=ORI&cooper=NAVER에서 2016년 4월 16일 인출
- Heater, D. (2007). A history of education for citizenship, 시민교육의 역사 (김해성 옮김). 경기: 도서출판 한울(원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