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cords and Archives as the Conceptual Constructs and Sunglihak World View of Joseon Dynasty

'개념적 구성물로서의 기록'의 관점에서 보는 조선시대 성리학 세계관과 기록·기록관리

  • 노명환 (한국외대 사학과,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 Received : 2017.12.30
  • Accepted : 2017.01.17
  • Published : 2017.01.31

Abstract

Then, why was the system so thorough and strict? How could that be possible? I approached this question by explaining the task of the Joseon Dynasty for the construction of a Confucian community based on Sunglihak. Sunglihak meant the metaphysics of human nature and universe order, or the rule of heaven. The people who opened the Joseon Dynasty aimed at constructing a Confucian community based on propriety as the principle of the society. The records and archives played an administrative function, for example, controlling royal power, as well as the role of constructing a national community identity based on Sunglihak. This kind of records and records management practices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seen as conceptual construction and conceptual constructs, although they were physical entities in reality. They reflected the Sunglihak value system as, in the words of Michel Focault, an "episteme" and played a social role based on it. In particular, I explained it in light of the constructivism of Sunglihak and the semiosis concept of Charles Sanders Peirce.

필자가 보기에 조선시대 기록관리는 무엇보다도 국가이념으로 채택된 성리학의 세계관을 실현시키는 수단으로 발전되었다. 그것은 국가구성원들을 성리학적 세계관의 담지자로 구성시키는 방법과 과정이었다. 즉, 필자는 당시의 기록관리가 후대를 위한 생산과 보존의 목적보다도 우선적으로 성리학적 세계관의 사회를 작동하게 하는 핵심 기제(mechanism)로 작용하였다는 측면에서 본 논문의 논의를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업워드 (Frank Upward)가 그의 컨티뉴엄 이론에서 제시한 '개념적 구성물(conceptual constructs)'로서의 기록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조선시대의 기록과 기록관리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였다. 조선시대의 성리학 세계관과 그에 기초한 상징 기호 체계를 당시 기록의 개념적 구성을 위한 맥락으로서 파악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시대의 가치체계를 나타내주는 푸코의 에피스테메(epist?m?) 개념과 지식의 고고학 방법론을 차용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의 성리학 세계관의 맥락 속에서 개념적으로 구성되는 기록들이 정치 사회적으로 커다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개념적 구성을 통해 자연 재해 기록물이 왕의 부덕을 나타내주는 증거가 되고 이는 왕권 견제의 중요한 제도적 수단의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사관의 기록 행위도 단순한 기록 행위가 아니라 개념적 구성을 통해 성리학 질서를 지키기 위한 행위로 인지되기에 지엄한 왕의 권력도 자신을 통제하는 사관의 행위를 막을 수 없었다. 사고(史庫)의 기록은 개념적 구성을 통해 '후손의 평가를 생각하면서 오늘의 삶을 성리학 세계관에 맞추어 수양하면서 잘 살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그리하여 이 사고의 기록은 당대의 성리학 질서를 지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영. 2011. 조선성리학의 의미와 양상. 서울: 일지사.
  2. 김경수. 2008. 조선왕조실록의 편찬과 사료적 가치. 전라문화총서, 27, 15-57.
  3. 김경용. 2011.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서울: 민음사.
  4. 김경일. 2001. 조선 전기 사관과 실록 편찬에 대한 연구. 사학연구, 62, 125-167.
  5. 김기태. 2002. 조선사고(史庫)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기전문화연구, 제29, 30 합집.
  6. 김문식, 신병주. 2008.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서울: 돌베개.
  7. 김병규. 2013. 조선시대 일사기록관리의 현재적 의미와 시사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8. 김성도. 2006. 퍼스의 기호 사상, 서울: 민음사.
  9. 김성민. 2014. 건축과 공간의 상징성 아카이빙의 의미와 방법모색: 명동성당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용곤. 1991. 역사와 함께 부침한 4대사고. 역사산책, 9월호.
  11. 김주관. 2004. 생활사 아카이브 구축의 의미와 방법, 검색일 2016.12.3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mnonmn&logNo=110044785507
  12. 노명환. 2015. '성리학적 구성주의'와 기호학 이론을 적용한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의 분단극복 정책과 사상의 비교. 역사문제연구소 주최 학술회의 발제문. 2015.8.24.
  13. 노명환, 조민지, 이정연. 2013. 국정통치기록의 이관에 관한 국제비교: 미국, 독일, 프랑스의 비교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48, 145-210.
  14. 노명환. 2011. 공론장으로서 기록보존소의 역할: 그 역사와 현황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발전 방향: 역사학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양사론, 110, 97-121.
  15. 노명환. 2012. 역사연구와 기록관리 상호 관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본 역사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랑케의 역사주의와 실증사학에 대한 본질주의와 구성주의 시각의 검토와 함께. 역사문화연구, 41, 145-172.
  16. 노명환. 2013. 구성주의 이론 시각에서 본 기록학/기록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와 기록화 계획 및 기록화 전략의 의미와 의의. 역사문화연구, 45, 313-358.
  17. 노명환. 2014. 한스 붐스(Hans Booms)의 '시대의 가치 기록화' 패러다임을 통해 본 '구술기록'의 위상과 의미: 기호학과 구성주의 이론의 적용과 함께. 제6회 전국기록인대회 발제문. 2014.10. 한남대학교.
  18. 노명환. 2016. 기호학 및 '성리학적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기록과 기록관리 행위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의 이해: 레코드 컨티뉴엄의 보완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문화연구, 57, 149-219.
  19. 박성수. 2016. 體相用 원리에 의거한 불교경전 아카이브. 한국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박홍갑. 2008. 조선왕조실록의 의의와 편찬방식. Koreana, 22(3).
  21. 손주영. 2005. 이슬람. 교리, 사상, 역사. 서울: 일조각.
  22. 손주영. 2008. 이슬람 전통에서의 삶과 내세관. 한국이슬람학회논총, 18-1, 1-31.
  23. 송효섭. 2013. 인문학, 기호학을 말하다. 서울: 도서출판 이숲.
  24. 신병주. 2001a. <<朝鮮王朝實錄>>의 奉安儀式과 관리. 韓國史硏究, 115, 75-105.
  25. 신병주. 2001b. 承政院日記의 자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규장각, 24, 1-20.
  26. 신병주. 2006. 왕실에서의 기록물 생산과 보존. 古文書硏究, 28, 1-15.
  27. 신병주. 2008a. 조선왕조실록의 관리와 보관. Koreana, 22.
  28. 신병주. 2008b. 조선후기 기록물 편찬과 관리, 기록학연구, 17, 39-84.
  29. 신병주. 2010. 조선시대 儀軌 편찬의 역사. 朝鮮時代史學報, 54, 269-300.
  30. 심재우. 2008. 조선왕조 儀軌의 현존 상황과 연구 활성화 방안. 민족문화, 31, 279-310.
  31. 연갑수. 2004. 日省錄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 방안. 민족문화, 27, 37-85.
  32. 오항녕. 1999. 성리학적 역사관의 성립: 초월에서 현실로. 조선시대사학보, 9, 1-28.
  33. 오항녕. 2003. 실록의 의례성에 대한 연구. 조선시대사학보, 26, 5-38.
  34. 오항녕. 2007. 조선초기 성리학과 역사학: 기억의 복원, 좌표의 성찰. 서울: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35. 오항녕. 2008. 조선전기 기록관리 체계의 이해, 기록학연구, 17, 3-37.
  36. 오항녕. 2009. 한국 사관제도 성립사. 서울: 일지사.
  37. 윤훈표. 2000. 조선초기 공기록 관리제의 개편. 기록학연구, 2. 129-168.
  38. 이성무. 1999.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 서울: 동방미디어.
  39. 이영남. 2013. 상징아카이빙: 대통령기록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8, 125-187.
  40. 이영남.조민지. 2014. 새로운 기록방법론을 위한 기호론적 접근. 기록학연구, 41, 113-173.
  41. 이정연. 2017. 사회.문화적 상호작용의 시.공간으로서 경관 아카이브 연구: 5.18 민주화운동기록관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정만조. 2002. 승정원일기의 작성과 사료적 가치. 한국학논총, 24.
  43. 조긍호. 2003.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파주: 나남.
  44. 조민지. 2014. 기록과 기억의 문화정치: 국가기록 전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조민지. 2014. 이미지의 시대 기록전시와 사진기록. 기록학연구, 39, 73-100.
  46. 한영우. 1999.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서울: 지식산업사.
  47. 한영우. 2008. 양성지. 조선 수성기 제갈량. 서울: 지식산업사.
  48. 홍순민. 1999. 우리 궁궐 이야기, 서울: 청년사.
  49. Booms, Hans. 1987.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a Documentary Heritage: Issues in the Appraisal of Archival Sources. Archivaria, 24, 69-107.
  50. Burke, Frank G. 1981. The Future Course of Archival Theory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Archivist, 44, 40-46. https://doi.org/10.17723/aarc.44.1.485380l307551286
  51. Capra, Fritjof. 1983. Das Tao der Physik: Die Konvergenz von westlicher Wissenschaft und ostlicher Philosophie. Bern: Scherz.
  52. Cook, Terry. 2001a. Archival science and postmodernism: new formulations for old concepts. Archival Science, 1(1), 3-24. https://doi.org/10.1007/BF02435636
  53. Cook, Terry. 2001b. Fashionable Nonsense or Professional Rebirth: Postmodernism and the Practice of Archives. Archivaria, 51, 14-35.
  54. Eco, Umberto. 1973. Il Segno. Milano: ISEDI. (김광현 역. 2009. 기호: 개념과 역사. 서울: 도서출판 열린책들).
  55. Fehr, Johannes. 1997. Ferdinand de Saussure Linguistik und Semasiologie. Frankfurt: Suhrkamp. (최용호 역. 2002. 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고양: 인간사랑).
  56. Foucault, Michel. 1969. L'Archeologie du savoir. Paris: Gallimard.(이정우 역. 1992. 지식의 고고학. 서울: 민음사).
  57. Foucault, Michel. 1990. Mots et les Choses: Une Archeologie des Sciences Humaines. Paris: Gallimard.(이규현 역. 2012. 말과 사물. 서울: 민음사).
  58. Geuijen, Karin, Raven Diederick and Jan de Wolf (eds.). 1995. Post-Modernism and Anthropology: Theory and Practice. Assen, The Netherlands: Van Gorcum and Comp BV.
  59. Giddens, Anthony. 1984.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Cambridge: Polity Press. (황명주, 정희태, 권진현 역. 1998. 사회구성론, 서울: 자작아카데미).
  60. Gilliland, Anne. 2011. Reflections on the Value of Metadata Archaeology for Recordkeeping in a Global, Digital World.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32, 103-118.
  61. Gustafson, Milton O. 1976. The Empty Shrine: The Transfer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Constitution to the National Archives. American Archivist, 39(3), 271-285. https://doi.org/10.17723/aarc.39.3.n50n22w711j64203
  62. Hall, Sean. 2012. This Means This, This Means That: a User's Guide to Semiotics(2nd ed.). London: Laurence King Publishing. (김진실 역. 2016. 기호학 입문: 의미와 맥락. 서울: 도서출판 비즈앤비즈).
  63. Heidegger, Martin. 1927. Sein und Zeit. (이기상 역. 2008. 존재와 시간: 인간은 죽음을 향한 존재. 서울: 살림).
  64. Ketelaar, Eric. 2003. Being Digital in People's Archives. Archives and Manuscripts. 31(2), 8-22.
  65. Klotz, Audie and Lynch, Cecelie. 2007. Strategies for Research in Constructivist International Relations. Abingdon: Routledge. (손혁상, 이주연 역. 2011. 구성주의 이론과 국제관계 연구 전략,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66. Meung-Hoan Noh. 2012. "Sunglihak (metaphysics on human nature and universe order), Confucian Community Construction, and Records/Archives Management of Joseon Dynasty of Korea", 4th AERI (2012.7.11. UCLA).
  67. Meung-Hoan Noh. 2013. "The Value and Meaning of Semiotics for Archival Science", 5th AERI (2013.6.18.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68. Meung-Hoan Noh. 2014. "Eine Kritische Betrachtung uber S. Huntingtons These: 'Zivilisationskollision' aus der Sicht von Sunglihak", in Peter Nitschke (Hg.), Der Prozess der Zivilisationen: 20 Jahre nach Huntington. Analysen fur das 21. Jahrhundert, Berlin (Frank & Timme Verlag).
  69. O'Toole, James M. 1993.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Archives, American Archivist, 56(2), 234-255. https://doi.org/10.17723/aarc.56.2.e481x55xg3x04201
  70. Pierce, Charles. 1991. Peirce on signs : writings on semiotic. Chapel Hill: UNC Press. (김동식, 이유선 역. 2008. 퍼스의 기호학. 파주: 나남).
  71. Posner, Ernst. 1972. Archives in the Ancient World, Boston: Harvard University Press.
  72. Upward, Frank. 1996. Structuring the Records Continuum, Part One: Postcustodial
  73. Principles and Properties. Archives and Manuscripts, 24-2. Retrieved http://www.infotech.monash.edu.au/research/groups/rcrg/publications/recordscontinuum-fupp1.html
  74. Upward, Frank. 1997. Structuring the Records Continuum, Part Two: Structuration Theory and Recordkeeping. Archives and Manuscripts, 25-1. Retrieved http://www.infotech.monash.edu.au/research/groups/rcrg/publications/recordscontinuum-fupp2.html

Cited by

  1. 레코드 컨티뉴엄 이론의 기원에 관한 연구 라이프사이클 모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vol.67,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21.68.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