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nts for Long-term Cooperation Between Public Research Institute and SMEs

출연(연)과 중소기업의 장기적 협력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출연(연)의 인력파견사업을 중심으로

  • 송민경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과학기술경영정책학과) ;
  • 박범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Received : 2017.01.26
  • Accepted : 2017.02.09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It is major strategy for SMEs to cooperate with other companies or Public Research Institutes(PRIs) as the essential technology is getting more complicated and technological life cycle is getting short. However, It is not easy to perform a proper cooperation with SMEs for PRIs, because they are accustomed to support SMEs in the short run.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also have mainly focussed on finding determinants of performance as a consequence of temporary cooperation instead of long-term relationships among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which satisfaction is more effective to maintain the long-term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PRIs and SMEs. As a result, it has found that when SMEs satisfy from quality of input like manpower supports R&D and context of the support program over the output like technological or economical performance, they intend to continue cooperation with PRIs. And this paper shows that the performance has mediated effect rather direct effect on long-term cooperation intention. In light of all the above, to cooperate with SMEs effectively, it will be suggested that PRIs enhance quality of support process and contents instead of quantity of support based on one-time cooperation.

기술이 복잡해지고 기술수명이 짧아지면서 기업의 개방형 협력이 기술경영의 주요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공급처로 대두되고 있는 출연(연)의 경우 기술개발과 기업에 대한 일회적 지원에 익숙하다보니 제대로 된 협력을 수행하는 게 쉽지 않다. 게다가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주로 성과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어 왔을 뿐, 협력 파트너간의 장기적 관계형성에 필요한 특성이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출연(연)과 중소기업의 협력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기 위해 이전 받은 기술의 상용화를 목적으로 개발인력을 중소기업에 파견하는 사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은 출연(연)과의 협력을 통해 획득한 기술적, 경제적 성과보다 오히려 지원받은 내용의 질과 관계된 인력 및 행정절차의 만족도가 높을 때 장기적 관계지속을 위한 관계의도가 높아지며, 지원성과는 지원요소와 장기적 협력관계 형성사이의 매개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출연(연)이 중소기업과 보다 효과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는 일회적 관계에 기반을 둔 단순 지원의 확대보다는 지원프로세스 및 지원내용의 질적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편해 나가야 함을 시사해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H. W. Chesbrough,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Harvard Business Press, 2003.
  2. V. Van de Vrande, J. P. J. De Jong, W. Vanhaverbeke, and M. De Rochemont, "Open innovation in SMEs: Trends, motives nad management challenges," Technovation, Vol.29, No.6, pp.423-437, 2009.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08.10.001
  3. S. Lee, G. Park, B. Yoon, and J. Park, "Open innovation in SMEs-An intermediated network model," Research Policy, Vol.39, No.2, pp.290-300, 2010. https://doi.org/10.1016/j.respol.2009.12.009
  4. S. Zeng, X. Xie, and C. Tamc, "Relationship betweeb cooperation networks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Technovation, Vol.30, pp.181-194, 2010.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09.08.003
  5. 김형주, 김석현, 엄미정, 홍성민, 김은경, 최정인,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2011-16, 과학기술정책연구, 2011.
  6. 이인우, 정양헌, 최지현, "중소, 중견기업 기술혁신 지원사업의 지속성 분석: 만족도와 향후이용의사, 추천의사 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제30권, 제3호, pp.111-132, 2015.
  7. 이정재, 김구회, 이주형, "공공관리제도의 평가지표에 대한 사업참여자의 만족도 및 사업참여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269-28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269
  8. 김제선, 김선웅, "준고령자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지속성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718-72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718
  9. G. A. Churchill Jr. and C. Surprenant, "An investigation into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sarch, Vol.19, pp.491-504, 1982. https://doi.org/10.2307/3151722
  10. Ganesan, Shankar, "Determinants of Long-Term Orientation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Vol.58, No.April, pp.1-19, 1994.
  11. 강순화, "축제서비스품질과 관계 질이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9권, 제4호, pp.423-44, 2015.
  12. 조성완, 이진아, 정기주, "서비스품질과 재구매의도 및 타인추천의향과의 관계에서 고객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4권, 제6호, pp.109-126, 2014.
  13. 김지연, "관계혜택지각과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관한 연구- 패션상품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제30권, 제1호, pp.176-186, 2006.
  14. 김민정, 전금림, "이익균형 관점으로 본 개성공단사업의 지속성," 분쟁해결연구, 제10권, 제1호, pp.101-129, 2012.
  15. 신봉섭, "소비자의 관계효익과 공정성 지각이 프랜차이즈 점포와의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헤어서비스를 대상으로," 한국창업학회지, 제9권, 제4호, pp.178-198, 2014.
  16. 전지현, 이영선, "보문: 미용서비스 효익이 소비자의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서비스 제공자의 관계유지노력을 조절변인으로-," 한국의류학회지, 제33권, 제4호, pp.543-553, 2009. https://doi.org/10.5850/JKSCT.2009.33.4.543
  17. 라채일, 우찬복, "관계혜택이 관계결속 및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고객을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제40권, 제3호, pp.169-190, 2015.
  18. 김봉관, 이강호, "의료서비스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지향성, 고객만족, 장기적 관계지향성,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제17권, 제3호, pp.29-64, 2009.
  19. 서선, "여행자간 B2B 거래공정성이 가맹여행사의 관계지향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404-41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404
  20. 우찬복, "연구논문: 호텔고객의 불공정성지각이 관계감정과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감정전이가설을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제38권, 제4호, pp.337-352, 2013.
  21. 이상훈, 권재일, "여행업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공정성지각과 관계품질, 장기지향성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8권, 제11호, pp.173-186, 2014.
  22. Y. Kim, K. Song, and J. Lee,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Small Firms," R&D Management, Vol.23, No.3, pp.215-226, 1993. https://doi.org/10.1111/j.1467-9310.1993.tb00824.x
  23. H. Romijn and M. Albaladejo, "Determinants of Innovation Capability in Small Electronics and Software Firms in Southeast England," Research Policy, Vol.31, pp.1053-1067, 2002. https://doi.org/10.1016/S0048-7333(01)00176-7
  24. D. Audretsch and M. Vivarelli, "Small Firms and R&D Spillovers: Evidence from Italy," Revue d'Economie Industrielle, Vol.67, No.1, pp.225-237, 1994. https://doi.org/10.3406/rei.1994.1520
  25. D. Czarnitzki and C. K. Lopes-Bento, "Innovation Subsidies: Does the Funding Source Matter for Innnovation Intensity and Performance? Empiorical Evidence fromGermany,"Working Paper Series, 2011-42, CEPS/INSTEAD, 2011.
  26. D. Czarnitzki and G. Licht, "Additionality of public R&D grants in a transition economy: the case of eastern German," Econ. Transition, Vol.14, No.1, pp.101-131, 2006. https://doi.org/10.1111/j.1468-0351.2006.00236.x
  27. B. Claryssem, M. Wright and P. Mustar, "Behavioural additionality of R&D subsidies: a learning perspective," Research Policy, Vol.38, pp.1517-1533, 2009. https://doi.org/10.1016/j.respol.2009.09.003
  28. D. Czarnitzki and C. Lopes-Bento, "Value for maney? New microeconometric evience on public R&D grants in Flanders," Research Policy, Vol.42, pp.76-89, 2013. https://doi.org/10.1016/j.respol.2012.04.008
  29. T. J. Buisseret, H. M. Cameron, L. Georghiou,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Additionality in the Public Support of R&D in Large Firm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Vol.10, No.4/5/6, pp.587-600, 1995.
  30. F. M. Hsu, Horng, Der-Juinn, and C. C. Hsueh, "The effect of government-sponsored R&Dprogrammes on additionality in recipient firms in Taiwan," Technovation, Vol.29, No.3, pp.201-217, 2009.
  31. C. Berube and P. Mohnen, "Are firms that receive R&D subsidies more innovative?,"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 Vol.42, No.1, pp.206-225, 2009. https://doi.org/10.1111/j.1540-5982.2008.01505.x
  32. P. Hanel, "Impact of Government Support Programon Innovation by Canadian Manufacturing Firms, Centre interuniversitaire de recherche sur La science et la technologie(CIRST), ca-hier de recherche 2003-09, Montreal, 2003.
  3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c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4. Florida Department of State "Workbook: Outcome measurement of livrary programs," 2000.
  35. 미래과학창조부,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성과지표(개정): 성과목표.지표 설정 가이드라인," 2013.
  36. 박성제, "로직모델을 이용한 도서관 성과측정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제2015권, 제5호, pp.29-44, 2015.
  37. 김영종, 권순애, "논리모델(Logic Model):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에서의 적용가능성," 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S호, pp.209-226, 2003.
  38. 최희철, 이동훈, 오지현, "논리모델에 기반한 정신장애인 지원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제5권, 제1호, pp.169-190, 2008.
  39. 지은구, "비영리조직 성과측정에 있어 로직모델과 BSC모델의 활용가능성과 한계," 사회과학논총, 제31권, 제1호, pp.381-407,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