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that Correlates between Festival Programs and the Themes on the Festival Evaluations -Through the Case of the Representative Festivals of Seoul Metropolitan Borough-

축제평가와 축제프로그램의 테마 연관도 분석 -서울시 자치구 대표축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1.17
  • Accepted : 2017.02.20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s evaluation and the theme of festivals programs by using 'AHP survey of experts' on two festivals in each highest and lowest evaluated festivals. As a result, the musical performance of the opening ceremony of Hwajun Festival, the experimental village program of hansung bakjae festival, the street parade of Itaewon and the prehistoric street parade of Gandong cultural festival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relations with the themes. The result reveals the fact that the representative program of festival has been selected, program name was closely related to festival theme, matrix type program and experiential type program where leads the direct participation of visitors were prerequisite, and the festivals with highly related to the theme were also highly evaluated. Therefore, in order for the festival to receive a good evaluation, the high theme-related programs should be focused as main programs of festivals, and the low theme-related programs should pay more attention on their themes for promoting and branding diverse, thematic festivals.

본 연구는 최근 2년 간 서울특별시 자치구 축제평가와 축제프로그램의 테마 연관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 하위 평가를 받은 각각 2개 축제를 대상으로 전문가 AHP 조사를 통해 축제평가와 축제프로그램의 테마 연관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동선사문화축제의 원시대탐험 거리퍼레이드, 한성백제문화제의 한성백제체험마을, 이태원 지구촌축제의 지구촌거리퍼레이드, 허준축제의 개막 주제뮤지컬공연의 테마 연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 결과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각 축제의 대표 프로그램이 선정되었다는 점, 축제테마에 밀접한 프로그램 명칭을 가지고 있다는 점, 방문객들의 직접 참여가 전제가 되는 행렬형 프로그램과 체험형 프로그램이라는 점, 그리고 축제프로그램의 테마 연관도가 높을수록 우수한 축제로 평가받고 있다는 점 등이다. 따라서 축제가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테마 연관도가 높은 프로그램들은 축제의 대표프로그램으로 집중 육성하고, 테마 연관도가 낮은 프로그램들은 테마 연관도를 높여서 축제의 다양성을 확대하여 축제 테마를 브랜드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운강, 박용민, 양희원, "가상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한 지역축제의 경제적 가치 추정," 관광연구저널, 제29권, 제3호, pp.41-50, 2015.
  2. 이덕순, 김상원, "문화관광축제 평가속성과 방문객 만족, 행동의도," 동북아관광연구, 제10권, 제4호, pp.25-43, 2014.
  3. 문성종, 손대현, "지자체의 지역축제 정책결정을 위한 우선선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2권, 제1호, p.331, 2007.
  4. 신은경, "한국의 지역축제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 연구," 음악응용연구, 제7호, pp.37-67, 2014.
  5. 김창수, 전대희,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이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2권, 제2호, pp.265-284, 2007.
  6. 조승현, "지역축제의 성공요인에 관한연구 : 함평 나비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7권, 제2호, pp.215-236, 2013.
  7. 정민의, "지역축제 기획요소에 관한 사례연구," 문화관광연구, 제5권, 제2호, pp.70-71, 2003.
  8. 이경모 "이벤트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축제평가방법과 항목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연구, 제8권, 제2호, pp.151-170, 2004.
  9. 손대현, "관광이벤트의 기획과 연출," 관광학연구, 제20권, 제2호, pp.261-272, 1997
  10. 사영미, 메타평가를 통한 문화관광축제 평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1. 서울축제지원센터, 2014 서울시 문화예술축제 평가연구보고서, 서울: 서울문화재단, 2014.
  12. 서휘석, 이동기, "지방정부 지역축제 성공요인의 우선순위 결정 : AHP를 활용하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1권, 제2호, pp.67-84, 2004.
  13. 최성은, 테마파크 재현적 공간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4. 이원형, 전인오, "지역축제 평가속성이 방문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310-32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310
  15. 지봉구, "문학 소재의 지역축제 개발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pp.773-776, 2007.
  16. 이희경, 안득수, "향토지역축제 운영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30호, pp.101-112, 2012.
  17. 최문희, "축제이벤트 디자인 성공요인 개발에 관한 가치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9호, pp.155-164, 2011.
  18. 안혜원, 이민규, "지역축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378-38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6.378
  19. 임명재, 권현재, "관광축제 브랜드개성 요인의 탐색과 태도와 충성에 미치는 영향 :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425-43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425
  20. 백선혜, "도시문화전략 차원의 지역문화축제 평가요소 비교분석," 관광경영학연구, 제10권, 제2호, pp.73-100, 2006.
  21. 김소영, 김혜선, "축제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척도개발 : 서울 프린지페스티벌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9호, pp.174-184, 2006.
  22. 배만규, "지역축제 개최결과의 표준평가속성 개발", 관광연구, 제17권, 제2호, pp.175-194, 2002.
  23. 서휘석, 이동기, "물리적환경이 지역축제의 만족과 재방문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1호, pp.229-243, 2000.
  24. 김성경, 경상북도 지역축제의 평가실태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25. 고병태, 지역축제 이미지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6. 이범재, 축제방문객의 체험동기와 프로그램의 체험몰입, 축제성과 간의 영향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7. 남윤희, 체험프로그램이 축제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연천구석기 축제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8. 서울축제지원센터, 서울시 축제평가 연구보고서, 서울 : 서울문화재단, 2015.
  29. 서울축제지원센터, 2013 서울시 문화예술축제 평가연구보고서, 서울: 서울문화재단,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