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on Abortion among Korean Men in their 20s and 30s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16.12.01
  • Accepted : 2017.01.11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Korean men in their 20s and 30s perceive abortion.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e hundred fort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male adults in G city and J area.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s follows: (1) men were between 20 to 39 years old; (2) were able to read and understand Korean; (3)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4) agreed voluntarily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study instrument, and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erception of abor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ne 2016. Descriptive statistics and Fisher exact test were used for analysis. 67.1%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people can have abortion under some circumstances'. The results found that 'education about contraception (68.6%)' was widely regarding among the subjects as the best way to prevent abortion.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responses depending on a subject's some characteristics. Our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offer education program about abortion for young men.

본 연구의 목적은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와 J도에 거주하는 성인남성 140명이 선정되었다. 선정기준은 (1) 20~39세; (2) 한국어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자; (3)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는 자; 그리고 (4)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동의한 자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낙태관련 인식을 포함한 구조화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이루어졌다. 기술통계와 chi-square test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67.1%가 낙태와 관련하여 '이유에 따라서는 낙태를 해도 된다고'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태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 생각하는 것은 '피임교육'이 68.6%로 가장 많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낙태관련 요인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낙태교육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낙태가 줄고 있다! 최근 3년 사이 2감소,"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538, 2016.9.20.
  2.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bortion, http://www.nlm.nih.gov/medlineplus/abortion.html, 2016.9.19.
  3. 박형민, 낙태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형사연구정책원, 2011.
  4. 이연숙,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 인격주의 생명윤리, 제6권, 제1호, pp.43-73, 2016.
  5. 양현아, "낙태죄 헌법소원과 여성의 '목소리'[1]-낙태경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30권, 제1호, pp.5-40, 2013.
  6. C. H. Rocca, K. Kimport, H. Gould, and D . G. Foster, "Women's emotions one week after receiving or being denied an abortion in the United States,"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Vol.45, No.3, pp.122-131, 2013. https://doi.org/10.1363/4512213
  7. 김원철, "낙태여성 정신건강'위험도' 45% 높아," http://www.pbc.co.kr/CMS/news/view_body.php?cid=651590&path=201609, 2016.9.20.
  8. 공병혜,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낙태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제47권, pp.9-34, 2014.
  9. 이연우, "낙태 범죄화와 여성 섹슈얼리티 통제-"낙태죄 합헌결정" 헌법재판소 2012.8.23. 선고 2010헌바402 결정)에 부쳐," 공익과 인권, 제15권, pp.169-207, 2015.
  10. K. S. Chibber, M. A. Biggs, S. C. N. Roberts, and D. G. Foster, "The role of intimate partners in women's reasons for seeking abortion," Women's Health issues, Vol.24, No.1, pp.e131-e138, 2014. https://doi.org/10.1016/j.whi.2013.10.007
  11. "인공임신중절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www.kihasa.re.kr/web/news/report/view.do?menuId=30&tid=51&bid=3&ano=3483, 2016.9.19.
  12. 박진영,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조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3. 유계숙, "낙태허용 사유에 대한 여학생의 인식이 낙태예방정책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0권, 제3호, pp.1-11,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3.001
  14. 이규영, 심인옥, "대학신입생들의 성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제12권, pp.159-182, 2013.
  15. 전명희, 신계영, 최경숙, 이선애, 홍선우, "간호대학생의 결혼, 임신, 낙태에 대한 태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312-320,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312
  16. 김도경, 허윤주,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낙태 허용도와 여성의 낙태결정권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제23권, 제3호, pp.7-44, 2013.
  17. 김상욱, 김성건, 김병수,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조사연구, 제16권, 제4호, pp.115-146, 2015.
  18. R. K. Jones and J. Jerman, "Abortion incidence and service availability in the united States, 2011,"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Vol.46, No.1, pp.3-14, 2014. https://doi.org/10.1363/46e0414
  19. U. D. Upadhyay, T. A. Weitz, R. K. Jones, R. E. Babara, and D. G. Foster, "Denial of abortion because of provider gestational age limit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 of Public health, Vol.104, No.9, pp.1687-1694, 2014. https://doi.org/10.2105/AJPH.2013.301378
  20. A. B. Shostak, G. McLouth, and L. Seng, Men and abortion: Lessons, Losses and Love, NY: Praeger, p.333, 1984.
  21. A. Kero and A. Lalos, "Reactions and reflections in men, 4 and 12 months post-abortion," J. of Psychosomatic Obstetrics & Gynecology, Vol.25, No.2, pp.135-143, 2004. https://doi.org/10.1080/01674820400000463
  22. 손영수, "형법상 낙태와 모자보건법상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이해," Korean J.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제53권, 제6호, pp.467-474, 2010. https://doi.org/10.5468/kjog.2010.53.6.467
  23. M. L. O'Neill, The availability of abortion at state hospitals in Turkey: A national study, Contraception, 2016.
  24. G. Sedgh, S. Singh, I. H. Shah, E. Ahman, S. K. Henshaw, and A. Bankole, "A Induced abortion: Incidence and trends worldwide from 1995 to 2008," The Lancet, Vol.379, No.9816, pp.625-632, 2012. https://doi.org/10.1016/S0140-6736(11)61786-8
  25. 이지하, 이지항, "한국 대학생의 건강행동에 관한 융복합적 연구: 서울과 지방 대학생의 비교," 디지털복합연구, 제13권, 제5호, pp.345-356, 2016.
  26. 김정애, 이정열, "국내 대학생들의 성경험 실태 및 성경험 예측 요인 분석," 대한보건연구, 제40권, 제3호, pp.71-80, 2014.
  27. A. Kleinman, V. Das, and M. M. Lock, Social Suffer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28. 이윤정, "다문화교육을 위한 생활문화교육프로그램이 초등 교사의 문화다양성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6권, 제2호, pp.179-198, 2013.
  29. 정은영, 서지혜, "뇌사자 장기기증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21, 제7권, 제1호, pp.209-226, 2016.
  30. 김은애, 이인영, 이순희, "청소년 여성의 성교육 경험 및 피임제 인지에 관한 연구," 생명윤리, 제17권, 제1호, pp.53-74, 2016.
  31. C. Purcell, S. Caneron, J. Lawton, A. Glasier, and J. Harden, "The changing body work of abortion: A qualitative study of the experiences of health professionals," Sociology of Health & Illness, Vol.39, Issue.1, pp.78-94, 2017. https://doi.org/10.1111/1467-9566.12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