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Korean Geography Subjec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the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타당도 분석

  • Kim, Sihwa (Major of Geograph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 buk National University) ;
  • Kang, Chang-Soo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시화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
  • 강창숙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7.01.16
  • Accepted : 2017.02.13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Korean geography subject evaluation questions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from 2014 to 2016 regarding the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knowledge dimension' aspect, both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the CSAT questions showed the highest ratio of 'factual knowledge'. Second, from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spect, the percentage of 'understand' was the highest in the achievement standard, whereas in the CSAT questions, the ratio of 'analyze' and complex type of 'analyze' and 'understand' was the highest. Third,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ntent validity of the Korean geography CSAT questions through proportion test, all of the analysis targets showed 'a little low'. Finally, the content validity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in type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CSAT questions in the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and Ecosystem part' and 'Spac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rt' from the cognitive process aspect, which showed relatively low content validity compared to other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reflected on the Korean geography CSAT questions and it should not be focused on evaluating the learner's analysing ability.

본 연구는 2014학년도부터 2016학년도 고등학교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 평가 문항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식 차원'에서 성취기준과 수능 평가 문항은 모두 '사실적 지식'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 성취기준은 '이해하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수능 평가 문항에서는 '분석하다'와 '분석하다'가 '이해하다'와 복합된 유형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비율차 검증을 통한 한국지리 수능 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 결과, 분석대상 학년도 모두 내용타당도가 '조금 낮다'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내용 영역별 내용타당도 분석 결과, '지형 환경과 생태계', '생산과 소비의 공간' 영역은 '인지과정 차원'에서 성취기준과 수능 평가 문항의 주요 유형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다른 영역에 비해 내용타당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한국지리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 출제 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충실히 반영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자의 자료 분석 능력 평가에 치중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숙, 2005, 중학생 '지도 읽기' 탐구활동에서 나타나는 지리적 메타인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2), 263-277.
  2. 강현석.정재임.최윤경, 2005,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53(1), 51-84.
  3. 고은정, 1999, 대학수학능력시험 지리 문항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공은애.강창숙, 2016, 대학수학능력시험 지리영역평가에 활용된 그래프자료의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119-137.
  5. 교육과학기술부, 2009, 사회과 교육과정 [별책 7], 고시 제 2009-41호.
  6. 구창현.김대행.김임득.김경훈.김진영.이양락.이재학.이종승.임종대.조승제.최병순.황정규, 2005, 대학수학능력시험 10년사 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권대훈, 2010,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8. 김신영, 2009,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탐색, 교육평가연구, 22(1), 1-27.
  9. 김영아, 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지리교과 문항 분석: 1997-2003학년도 한국지리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은아.강완, 2010, 학업 성취도 평가도구의 내용타당도 분석: 수학과 3-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4(2), 177-196.
  11. 김태령, 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지리 문항의 타당성 분석: 한국지리 문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창환.배선학, 2014, 수능 세계지리 문항에 제시된 국가의 공간 분포 분석,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4(4), 193-202.
  13. 박도순, 2013,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14. 배선학, 2015, 수능 한국지리 문항에서의 지도활용과 출제 지역의 공간 분포 현황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50(1), 91-103.
  15. 백성혜.이은준.김정수.송영욱.김용진.정정인.한채영, 2008, 고등학교 화학 I 과정 "물" 단원에서 학업성취도 평가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2(1), 55-65.
  16. 신진걸.조철기, 2008,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지리 수업목표의 진술과 평가의 실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2), 129-144.
  17. 오정준, 2005, 대학수학능력시험 지리문항의 내용타당도에 관한 소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2), 235-246.
  18. 이원기, 2012, 2005-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 평가문항의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인영, 2015, 대학 수학 능력시험 한국지리 평가문항의 분석: 2010-2014학년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현숙.강현석, 2013,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4), 305-325.
  21. 임인재.김신영.박현정, 2009, 교육.심리.사회 연구를 위한 통계방법, 서울: 학연사.
  22. 전혜인, 2003, 탐구형 지리 평가 문항에서 활용되는 자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지리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2), 51-63.
  23. 조경철, 2012, 지리교육과정의 성취목표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목표의 비교분석: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한국지리학회지, 1(1), 19-31.
  24. 조대헌, 2014, 고등학교 한국지리 GIS 관련 평가 문항 분석: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3학년 전국 규모평가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9(3), 472-487.
  25. 한경찬, 2010, 대학수학능력시험(2006-2010년) 한국지리 평가문항에 나타난 지리도해력 분석, 교과교육연구, 3(2), 151-175.
  26.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개발원, 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 연구.
  2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시행 연도별 대학수학능력시험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적용 기준.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대학수학능력시험 홈페이지 http://www.suneung.re.kr/(2017년 1월 열람)
  30. Anderson, L. W., 2002, A Revising Bloom's Taxonomy, Theory into Practice, 41(4), 210-261.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4_1
  31. Anderson, L. W., Krathwohl, D. R., Airasian, P. W., Cruikshank, K. A., Mayer, R. E., Pintrich, P. R., Raths, J., Wittrock, M. C.(ed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Longman.
  32. Anderson, L. W. & Sosniak, L. A., 1994, Bloom's Taxonomy: A Forty-year Retrospective: Ninetythird Yearbook of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m Part II, Chicago: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33. 김인식.박영무.이원희.최호성.강현석.최병옥.박창언.박찬혁 공역, 2004. 신 교육목표분류학. 서울: 교육과학사(Hauenstein, A. D., 1998, A conceptual frame- work for educational objectives: A holistick approach to traditional taxonomies.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34.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4_2
  35. Kunen, S., Cohen. R., Solman, R., 1981, A levels-of-processing analysis of Bloom's Taxonom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3, 202-211. https://doi.org/10.1037/0022-0663.73.2.202
  36. Robert, J. M., 2001,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alifornia: Corwi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