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16년 중재법상의 중재판정의 효력에 대한 몇 가지 의문과 별소의 심급 제한

Some Questions on the Effect of an Arbitral Award and Restriction of Trial Level in Other Separate Actions Under the 2016 Korean Arbitration Act

  • 투고 : 2017.10.26
  • 심사 : 2017.11.17
  • 발행 : 2017.12.01

초록

This paper examines some questions and issues of the effect of an arbitral award, and discusses about the restriction of the trial level in other separate actions permitted under the existence of grounds of setting aside arbitral award after the amendment of the Arbitration Act in 2016. Because there are no interests of litigation in the action for setting aside arbitral award due to the exclusion of res judicata by provisory clause of Article 35, filing an action for setting aside is not allowed even when the grounds of setting aside exist. If we examine the precedent on possibility of retrial for excluding the outward form of invalid judgement, we can find that the court did not approve the retrial. Therefore, the action for setting aside that which is for excluding the outward form of an arbitral award will not be allowed for filing. On the issue of whether an arbitral award having a ground for setting aside can be an object of the action for setting aside for excluding its outward form or not, the views of scholars are divided. In the case of an arbitral award that has grounds for setting aside,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arbitral award would not have a formale Rechtskraft or effect of sentence (bindende Kraft). Even if there is formale Rechtskraft or effect of sentence (bindende Kraft), the significance of existence of action for setting aside arbitral award under paragraph 1 of Article 36 is reduced because other actions separate from arbitration is permitted under the 2016 Act. The amendment of the Arbitration Act in 2016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position and the role of action for setting aside the arbitral award. It also requires further studies on efficiently treating other actions separate from arbitration. Because the restriction of the trial level of other separate actions can make arbitration active by making arbitration procedures become 3 trial levels from 4 trial levels, it needs to be solved with legislative action. Specifically, if the trial starts at the stage of trial on appeal, it can utilize the strength of both the arbitration and the litigation, playing a chief role in boosting arbitration by removing the problems of action for setting aside and enabling arbitration institutes and the person interested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arbit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진, 실통본 민사소송법, 제4판, 2006.
  2. 목영준, 상사중재법론, 박영사, 2001.
  3.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제5판, 박영사, 2009.
  4. 임성우, 국제중재, 박영사, 2016.
  5. 정동윤.유병현, 민사소송법, 제5판, 법문사, 2009.
  6. 호문혁, 민사소송법, 법문사, 제13판, 2016, 986면.
  7. 강수미, "중재판정의 효력에 관한 연구", 중재연구 제27권 제1호, 2017.3.
  8. 김상수, "중재판정취소의 소의 적법성", 중재 제229호, 대한상사중재원, 2001.3.
  9. 석광현, "2016년 중재법에 따른 국내중재판정의 효력, 취소와 승인 . 집행에 관한 법리의 변화", 법학논총 제34집 제1호,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3.
  10. 석광현, "2016년 중재법의 주요 개정내용과 문제점", 법학연구 제53집,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8.
  11. 석광현, "국제상사중재에서 중재판정의 취소-우리 중재법의 해석론을 중심으로-", 국제거래법연구 제16권 제1호, 2007.
  12. 석광현, "중재법의 개정방향-국제상사중재의 측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제53권 제3호, 2012.9.
  13. 손용근, "중재판정의 효력에 관한 일반적 고찰", 법조 제577호, 2004.10.
  14. 윤진기, "2016년 개정 중재법의 중재판정 집행에 관한 문제점", 중재연구 제26권 제4호, 2016.12.
  15. 이호원, "중재법 개정법률안의 주요내용", 민사소송 제19권 제1호, 민사소송법학회, 2015.
  16. 이호원, "중재판정의 취소", 법조 제575호, 2004.
  17. 이호원, "한국의 최근의 중재법 개정논의-국제중재의 활성화를 위하여-," 국제거래법연구 제22집 제2호, 2013.
  18. 정선주, "2016년 개정 중재법 소고", 민사소송 제21권 제1호, 민사소송법학회, 2017.
  19. 정선주, "재심사유와 중재판정의 취소", 민사소송 제12권 제2호, 민사소송법학회, 2008.5.
  20. 정선주, "중재판정의 효력-확정력을 중심으로-", 민사소송 제9권 제2호, 민사소송법학회, 2005.
  21. 윤진기, "중재에 대한 법원의 협조 및 중재기관의 중립성 확보", 법무부.대한상사중재원.한국중재학회.국제거래법학회, 중재제도 선진화 및 중재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제.개정 공청회 자료집, 2015.10.14.
  22. 임성우, "중재와 소송의 교차지점에서 발생하는 문제", 2016.11.18. 법원행정처와 서울국제중재센터가 공동으로 개최한 개정 중재법의 실무적 쟁점 및 운영방안 심포지엄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