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희년, 서홍란, "자기효능감이 요보호독거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8권, pp.59-82, 2010.
-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2014, 2014.
- A. Akincigil, M. Olfson, M. Siegel, K. A. Zurlo, J. T. Walkup, and S. Crystal, "Racical and ethnic disparities in depression car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02, No.2, pp.319-328, 2012. https://doi.org/10.2105/AJPH.2011.300349
-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and Health Prevention, 2011.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Elderly Survey 2008, 2008.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Elderly Survey 2011, 2011.
- 임지혜, "노인의 우울증세와 만성질환과의 관련성," 디지털융합복합연구," 제12권, 제6호, pp.481-490, 2014.
- W. Katon and P. Ciechanowski, "Impact of major depression and chronic medical illness," Journal of Psychomatic Research, Vol.53, pp.859-863, 2002. https://doi.org/10.1016/S0022-3999(02)00313-6
- http://consultgerirn.org/uploads/File/, 2007.
- 박인옥, 김진세, 이강준, 정인과, "한국노인의 우울요인," 노인정신의학, 제2권, 제1호, pp.47-63, 1998.
- 이정애, 김지미, "노인의 우울과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311-1327, 2010.
- 이인정,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노인의 우울 수준과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일반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31-65, 2012.
- 김영태, "독거노인의 개인적 속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9권, pp.187-208, 2013.
- 정덕진, "장애 노인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247-275, 2014.
- 김희주, 주경희,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권, pp.125-158, 2008.
- 이미숙, "도시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제27권, pp.5-30, 2012.
- 서홍란, 정윤정, 김희년,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행위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제61권, pp.57-84, 2013.
- 민응기, 장상희, "노인복지에서의 여가의 중요성과 노인여가의 활성화 방안," 사회복지연구, 제11권, pp.41-70, 2012.
- 김동규, 노인의 종교 및 사회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D. R. Taaffe, T. B. Harris, R. Ferrucci, J. Rowe, and T. E. Seeman, "Cross-sectional and prospective relationships of interaction-6 and c-reactive protein with physical performance in elderly persons: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A:Biological and Medical Science, Vol.55, pp.709-715, 2000. https://doi.org/10.1093/gerona/55.12.M709
- 김현국, 박영순, 송영명, "노인의 대인관계 정도 및 여가활동 참여가 노년기 우울과 노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제36권, 제1호, pp.1-15, 2012.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2016.
- J. Zunanek, J. P. Robinson, and Y. Iwasaki,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health and physically active leisure as a function of life-cycle," Leisure Sciences, Vol.20, No.4, pp.253-275, 1998. https://doi.org/10.1080/01490409809512286
- A. Szalai, The use of time: daily activities of urban and suburbon populations in twelve countries, The Hague: Mouton, 1972.
- P. B. Klein,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ed..), Guiford Press, 2010.
- 이성은, "만성질환 노인의 주관적 건강사태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경제활동참여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1호, pp.234-262, 2012.
- 김동배, 손의성, "한국 노인의 우울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제25권, 제4호, pp.167-187, 2005.
- H. S. Jeon, R. E. Dunkle, and B. L. Roberts, "Worries the oldest-old," Health and Social Work, Vol.31, pp.256-265, 2006. https://doi.org/10.1093/hsw/31.4.256
- J. A. Son, S. R. Suh, and M. H. Kim,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rural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7, No.1, pp.56-64, 2015. https://doi.org/10.17079/jkgn.2015.17.1.56
- 신혜종, 박명숙,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50권, 제2호, pp.115-141, 2011.
- M. R. Kim, "Stressors of older adults and the effect of adult children's support on their happiness and depressive symptom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32, pp.1-27, 2012.
- 이현주, 강상경, 이준영, "노인 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요인과 건강행태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1129-1145, 2009.
- 박형수, 정미화, 유진호, "우리나라 노인의 배우자 유무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제7권, 제5호, pp.1181-1187, 2012. https://doi.org/10.13067/JKIECS.2012.7.5.1181
- 전해숙, 강상경, "노년기 우울궤적의 예측요인: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611-1628, 2009.
- C. L. Leibson, J. Garrard, N. Nitz, L. Waller, M. Indritz, J. Jackson, S. J. Rolnick, and L. Luepke, "The role of depress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physical health and clinically defined illness," The Gerontologist, Vol.39, No.3, pp.291-298, 1999. https://doi.org/10.1093/geront/39.3.291
- 김명용, 전혜정, "노인의 정보기술 이용여부와 이용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1호, pp.85-110, 2016.
- 남기민, 박현주,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9권, pp.405-427, 2010.
- 노병일, 오영선, 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다운샘메디컬투데이, 2005.
- 유정헌, 성혜영, "노년기 우울에 대한 가족관계 만족도의 중재효과,"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717-728, 2009.
- 김춘길, "재가노인의 가족지지, 건강지각, 우울과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9권, 제1호, pp.14-21, 2007.
- 김미호, 문재우, "노인의 가족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0권, pp.1-26, 2013.
- 박차상, 김옥희, 엄기욱, 이경남, 정상양, 배창진, 한국노인복지론, 학지사, 2006.
- 송지준, 엄인숙, "중년과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 고독감 간의 관계," 관광연구, 제23권, 제1호, pp.43-62,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