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Fitness Consumer: Focusing on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of the Body among Fitness Members of Gangnam and Gangbuk

피트니스 소비자에 대한 탐색적 고찰: 강남과 강북 피트니스 회원 간 몸의 기득권자-아웃사이더 권력관계를 중심으로

  • 추혜원 (영국 레스터 대학교/문화적 생산과 소비 리서치 그룹)
  • Received : 2016.11.14
  • Accepted : 2016.12.28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article is a socio-cultural research on the fitness members by employing an original synthesis of the work of Elias and Bourdieu.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multidimensional and in-depth analysis of fitness members, by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groups with differing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e.g. Gangnam and Gangbuk, private and public center). Throug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of fitness members in both Gangnam and Gangbuk are examined (Gangnam 12: Gangbuk 12). Participants in social space differentiated by fitness capital and socio-economic positions gather in certain spaces that identify them as members of the same class location: the established body in Gangnam (Gangnam E), the outsider body in Gangnam (Gangnam O), the established body in Gangbuk (Gangbuk E), and the outsider body in Gangbuk (Gangbuk O). The E-O figuration of the body in fitness clubs shows differences in their body tastes and habitus (selecting a fitness centre, body ostentation, social assessment, making muscles, participation in other sports) and civilizing process (fitness manners and etiquette). The fitness centers in Gangnam and Gangbuk were not simply spaces for exercise but symbolic spaces that both recreate and perpetuate socio-cultural hierarchies between members.

이 글은 엘리아스(Elias)와 부르디외(Bourdieu) 이론들을 바탕으로 한 한국 사회의 피트니스 회원에 대한 사회문화적 연구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이 달리 나타나는 피트니스 회원(강남/강북, 프라이빗/퍼블릭 센터) 사이의 권력관계에 대해 다차원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터뷰와 참여관찰 방법을 통해 강남과 강북 피트니스 회원들(강남 12명: 강북 12명)을 대상으로 몸의 기득권자-아웃사이더(Established-Outsider) 권력관계를 살펴본다. 사회 공간 내에서 참여자의 위치는 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피트니스 자본의 수준에 따라서 결정되어졌다: 강남 기득권자 그룹(강남E), 강남 아웃사이더 그룹(강남 O), 강북 기득권자 그룹(강북 E), 강북 아웃사이더 그룹(강북 O). 네 그룹 회원들 간 몸의 기득권자-아웃사이더 관계는 몸 취향과 하비투스(피트니스센터의 선택, 몸의 과시, 사회적 평가, 근육만들기, 다른 스포츠에의 참여 등)와 문명화 과정(피트니스 매너 및 에티켓)에서 차이를 보였다. 강남과 강북의 피트니스는 단순히 운동을 하는 공간이 아니라 회원들 사이의 사회-문화적 위계를 재생산하고 영속화하는 상징적 공간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석회, 이용우, "사회적 양극화와 공간적 특성: 서울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8권, 제2호, pp.270-279, 2002.
  2. 남은영, "외환위기 이후 사회적 위험과 주관적 계층의식," 한국사회학회 2012 후기 사회학대회, pp.67-80, 2012.
  3. 김수정, 최샛별, "문화 강좌를 통해 본 서울 강남과 강북의 문화취향: 백화점 문화센터와 주민센터의 문화 강좌를 중심으로," 문화경제 연구, 제15권, 제1호, pp.3-29, 2012.
  4. 문화체육관광부, 2014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 조사, p.134, 2014.
  5. J. Smith Maguire, Fit for Consumption: Sociology and the Business of Fitness, London: Routledge, 2008.
  6. P. Bourdieu,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 Trans. R. Ni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7. R. Jenkins, Pierre Bourdieu. Rev. ed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2(1992).
  8. W. Chan and J. Goldthorpe,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Cultural Consumption: Some Policy Implications of a Research Project," Cultural Trends, Vol.16, No.4, pp.373-84, 2007. https://doi.org/10.1080/09548960701692787
  9. N. Elias, What is Sociology?, London: Hutchinson, 1978.
  10. N. Elias and J. Scotson, The Established and the Outsiders: a Sociological Enquiry into Community Problems, London: Sage, 1994.
  11. J. Maguire and L. Mansfield, "No-Body's Perfect: Women, Aerobics, and the Body Beautiful," Sociology of Sport Journal, Vol.15, No.2, pp.109-37, 1998. https://doi.org/10.1123/ssj.15.2.109
  12. L. Mansfield, Gender, Power and Identities in the Fitness Gym towards a Sociology of the 'Exercise Body-Beautiful Complex. Thesis (Ph.D), Loughborough University, 2005.
  13. L. Ginsberg, "The Hard Work of Working Out: Defining Leisure, Health and Beauty in a Japanese Fitness Club," Journal of Sport and Social Issues, Vol.34, No.2, pp.260-81, 2000.
  14. M. Frew and D. McGillivray, "Health Clubs and Body Politics: Aesthetics and the Quest for Physical Capital," Leisure Studies, Vol.24, No.2, pp.161-75, 2005. https://doi.org/10.1080/0261436042000300432
  15. N. Crossley, "In the gym: motives, meaning and moral careers," Body and Society, Vol.12, No.3, pp.23-50, 2006. https://doi.org/10.1177/1357034X06067154
  16. 이영아, 예쁜 여자 만들기: 미인 강박의 문화사, 푸른역사, 2011.
  17. 박노자, 씩씩한 남자 만들기: 한국의 이상적 남성성의 역사를 파헤치다, 푸른역사, 2009.
  18. 임인숙, "다이어트의 사회문화적 환경," 한국사회학, 제38권, 제2호, pp.165-187, 2004.
  19. 송유진, "외모 지향의 연령 파괴: 중.노년 여성들의 외모 가꾸기," 한국사회, 제13권, 제2호, pp.83-111, 2012.
  20. 임인숙, "외모 차별 사회의 외모 불안감과 노화 불안감," 한국사회학, 제49권, 제4호, pp.199-233, 2015.
  21. 임인숙, "몸 자아의 소비문화적 연결방식과 불안정성," 한국사회, 제8집, 제1호, pp.95-119, 2007.
  22. 임인숙, "한국 대중가요의 외모 차별주의 : 미인찬가에서 육체 찬미와 조롱으로," 한국사회학, 제41권, 제2호, pp.240-70, 2007.
  23. 임재구, 이택상, "소비사회에서 몸 이데올로기에 내재된 여성의 생활체육 참여 활동에 관한 연구," 제29권, pp.139-151, 2007.
  24. 남상우, 고은하, "다이어트 영웅의 탄생: 리얼리티 쇼의 비만 담론과 문화 효과,"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4권, 제2호, pp.69-97, 2011.
  25. 임인숙, 김민주, "한국 다이어트 서바이벌 프로의 비만 낙인 재생산," 한국여성학, 제28권, 제4호, pp.1-38, 2012.
  26. 오상화, 나은영, "대중매체 소비가 여대생의 신체 변형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매개 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3권, 제2호, pp.141-60, 2002.
  27. P. Velija, "Nice Girls Don't Play Cricket: the Theory of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and Perceptions of Sexuality and Class amongst Female Cricketers," Sport in Society, Vol.14, No.1, pp.81-96, 2011. https://doi.org/10.1080/17430437.2011.530012
  28. 김이정, 송강영, "교양댄스스포츠 참여 대학생의 스트레스해소 및 학업성적변화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98-40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398
  29. 김이정, "독신여성들의 여가체험 이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359-365,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359
  30. N. Elias, Involvement and Detachment, Oxford: Blackwell, 1987.
  31.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 아르케, 2013.
  32. P. Bourdieu,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Essays on Art and Literature, in R. Johnson (ed.)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33. C. Shilling, The Body and Social Theory, 3rded. London: Sage, 2012.
  34. 박기웅, 조정연, "현대소비사회에서의 취향과 유행의 상관성과 대중문화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167-175, 2010.
  35. N. Elias, The Civilizng Process. Trans. E. Jephcott, Oxford: Basil Blackwell, 1994(1939).
  36. M. Featherstone, "The Body in Consumer Culture," in M. Featherstone, M. Hepworth, and B. Turner (eds.), The Body: Social Process and Cultural Theory. London: Sage Publications, pp.170-96, 1991.
  37. G. Jarvie, "Communitarianism, Sport and Social Capital: neighbourly insights into Scottish sport," International Review for the Sociology of Sport, Vol.38, No.2, pp.139-53, 2003. https://doi.org/10.1177/1012690203038002001
  38. 남은영, "한국 중산층의 소비문화: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4권, 제4호, pp.126-161, 2010.
  39. 류석춘, 장미혜, 정병은, 배영 역, 사회자본 이론과 쟁점, 도서출판 그린, 2007(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