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Qualitative Research as Bricolage

브리콜라주로서 질적 연구의 이해

  • Received : 2016.11.11
  • Accepted : 2016.12.05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As a backgroun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concept of bricolage is very common in the North America. As a movement of art area, because, it has characteristics of criticality and existence which is very close to the defini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However, regardless of recent rapid wide-spread of qualitative research with the world trend of research methodology, it is very unusual that scholars are rarely discussing on the concept of bricolage in South Korea. In literature review, scholars conceptualize bricolage in literature, art, and so on except qualitative research field. Thus, I realize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bricolage in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t, scholars will understand more about the definition of qualitative research. Accordingly, I try to prove the thesis 'qualitative research is bricolage' in this article. In conclusion, scholars commonly define qualitative research to involve the meanings of 'reflection', 'understanding',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nd illustrate also the concepts of bricolage in a praxis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with getting together of rigorousness, complexity, and criticality. I realize that these notions are very close to each other in this study.

북미의 경우 브리콜라주는 질적 연구의 논리와 사고의 배경으로 흔히 사용하고 있다. 이는 예술운동의 하나로 그것이 가진 특성을 비판과 실존이라고 할 때 질적 연구의 개념과 상당 부분 일치하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의 경우 최근 들어 질적 연구의 범위가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상황인데, 그에 비해 브리콜라주라는 개념은 매우 생소하다. 선행연구들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문학, 예술 등의 영역에서만 브리콜라주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으며 질적 연구에서는 매우 간헐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개념적 정립과 이를 통해 질적 연구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 연구는 브리콜라주라는 명제를 입증하기 위한 논의를 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요약하면 질적 연구는 성찰을 통해 이해와 해체를 통한 재구성의 과정을 담고 있는데, 브리콜라주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비판과 다양성을 가진 해석과 이해를 위해 짜깁기하는 행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브리콜라주의 개념을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질적 연구는 브리콜라주라라는 명제는 매우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N. Denzin and Y. Lincoln, "Introduction: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qualitative research," In N. Denzin and Y. Lincoln (Eds), "The Sage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1-19, SAGE Publications, 2011.
  2. N. Denzin and Y.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1994.
  3. C. Levi-Strauss, Claude, La Pensee Sauvage, 1966, 안정남 옮김, 야생의 사고, (주)도서출판 한길사, 2011.
  4. J. L. Kincheloe, "Describing the Bricolage: Conceptualizing a New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Inquiry, Vol.7, No.6, pp.679-692, 2001. https://doi.org/10.1177/107780040100700601
  5. J. L. Kincheloe, "On to the Next Level: Continuing the Conceptualization on the Bricolage," Qualitative Inquiry, Vol.11, No.3, pp.323-350, 2005. https://doi.org/10.1177/1077800405275056
  6. J. L. Kincheloe, P. McLaren, and S. Steinberg, "Critical Pedagogy and Qualitative Research," In N. Denzin and Y. Lincoln (Eds. 4Th Ed.), "The Sage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163-177, SAGE Publications, 2011.
  7. 김영찬, "오늘은 '장편소설'과 '이야기'의 가능한 미래," 어문론집, 제62권, pp.421-445, 2015.
  8. 성은애, "영국 교양소설의 진화: 조지 맥도날드의 '판타스틱스'," 근대영미소설, 제21권, 제1호, pp.27-50, 2014.
  9. 김다혜, "미디어 팬 소설, 텍스트 밀렵과 브리콜라주의 세계," 문학과사회, 제25권, 제2호, pp.238-255, 2012.
  10. M. de Certeau, "L'invention du Quotidien, Vol.1, Arts de faire" 1980, S. Rendall trans,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11. 문강형준, "우상의 황혼: 한국사회에서 아이돌은 어떻게 소비되는가?," 시민과 세계, 제17권, pp.281-296, 2010.
  12. 김영희, "상상계에서 타전된 신호들. 한국어문학 국제학술포럼 학술대회," pp.165-174, 2008.
  13. 김애주, "위반의 미학 : 토니 모리슨의 아동 문학과 브리콜라 주 복원," 신영어영문학, 제30권, pp.1-16, 2005.
  14. 백훈기, "피터 브룩의 연출 작업과 '빈공간'에 드러나는 브리콜라주,"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161-171, 2010.
  15. 김도일, "장소 특정적 연극으로서의 <관청시민 아파트 가, 나, 다>와 연구," 드라마연구, 제43권, pp.5-26, 2014.
  16. 이민영, "극단 낭만좌, 좌파 연극인들의 존재 방식. 한국극예술연구," 제46권, pp.93-121, 2014.
  17. 여금미, "디지털 아포리아. 영화연구," 제65권, pp.143-170, 2015.
  18. 김지훈, "판타지와 대항-기억으로서의 브리콜라주 - 영화 지구를 지켜라의 양가적 상상력," 문학과 사회, 제16권, 제3호, pp.1295-1311, 2003.
  19. G. Deleuze and F. Guattari, "L'Anti-OEdipe," 1972, Trans. by R. Hurley, M. Seem, and H. R. Lane(2005, original translation in 1983), "Anti-oedipus: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김재인 역(3판), 안티 오이디푸스, 민음사, 2014.
  20. 이미연, "이국적(exotic) 이미지의 유형 확장: 2001년-2006년 국내 여성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제31권, 제11호, pp.1634-1644, 2007. https://doi.org/10.5850/JKSCT.2007.31.11.1634
  21. 권하진, "2000년대 이후 나타난 펑크 패션의 미학적 고찰,"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69-89, 2015.
  22. 전경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및 이용 특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243-250,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243
  23. 허창수, "탈식민주의 이론과 실제의 꼴라주," 교육과정연구, 제29권, 제3호, pp.23-48, 2011.
  24. 허창수, 이주욱, "일상 속 숨겨진, 당연시 여기는 폭력들," 교육인류학연구, 제11권, 제2호, pp.173-205, 2008.
  25. https://en.wikipedia.org/wiki/Bricolage, 2012.
  26. K. E. Weick,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ing (2nd ed.), Random House, 1979.
  27. J. Sanchez-Burks, M. Karlesky, and F. Lee, "Psychological Bricolage: Integrating Social Identities to Produce Creative Solution," In C. Shalley, M. Hitt, and J. Zhow (Eds.), "Oxford Handbook of Creativity,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pp.93-102,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8. J. Bansler and E. Havn, "Improvisation in Action: Making Sense of IS Development in Organization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Action in Language, Organisations and Information Systems (ALOIS 2003), pp.51-63, 2003.
  29. J. Derrida, "Structure, Sign, and Play in the Discourse of the Human Science," In R. Macksey and E. Donato (Eds.), The Languages of Criticism and the Science of Man, pp.247-265,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0.
  30. P. Lather, "Fertile Obsession: Validity after Poststructuralism," The Sociological Quarterly, 제34권, 제4호, pp.673-693, 1993. https://doi.org/10.1111/j.1533-8525.1993.tb00112.x
  31. 조재식, 허창수, 김영천, "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려해야 하는 타당도 이슈들: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 교육과정연구, 제24권, 제1호, pp.61-95, 2006.
  32. Y. S. Lincoln and E. G. Guba, "Paradigmatic Controversies, Contradictions, and Emerging Confluences," In N. Denzin and Y.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pp.163-188, 2000.
  33. Y. S. Lincoln, "An Emerging New Bricolage: Promises and Possibilities-A Reaction to Joe Kincheloe's Describing the Bricoluer," Qualitative Inquiry, Vol.7, No.6, pp.693-696, 2001. https://doi.org/10.1177/107780040100700602
  34. W. Pinar, "The Researcher as Bricoluer: The Teacher as Public Intellectual," Qualitative Inquiry, Vol.7, No.6, pp.696-700, 2001. https://doi.org/10.1177/107780040100700603
  35. P. McLaren, "Bricklayers and Bricoleurs: A Marxist Addendum," Qualitative Inquiry, Vol.7, No.6, pp.700-705, 2001. https://doi.org/10.1177/107780040100700604
  36. 허창수, 비판적 브리콜라주와 박물관 교육, 김명희 편저, 박물관 교육과 질적 연구, pp.245-274, 아카데미프레스, 2015.
  37. N. Denzin and Y. Lincoln, "Introduction: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Qualitative Research," In N. Denzin and Y. Lincoln (Eds), The Sage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pp.1-28, 2000.
  38.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1999.
  39. 조용환,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제15권, 제2호, pp.1-21, 2012.
  40. S. R. Steinberg, "Preface: What's Critical about Qualitative Research?," In S. R. Steinberg & G. S. Cannella (Eds.), Critical Qualitative Research, pp.ix-x. Peter Lang, 2012.
  41. M. Alvesson and K. Skoldberg, Reflexive Methodology: New Vista for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