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인용 문헌
- Effects of the e-Motivate4Change Program on Metabolic Syndrome in Young Adults Using Health Apps and Wearable Devices: Quasi-Experimental Study vol.22, pp.7, 2017, https://doi.org/10.2196/17031
DOI QR Code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사증후군 인지 및 건강행위 실천 증진을 위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사용자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D광역시 소재 2개의 간호대학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test를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는 건강 앱에서 사용자에게 맞는 처방과 정확한 측정을 원하였고, 건강관리를 하는 사람들과 의견, 정보교환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알맞은 운동법에 대한 콘텐츠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게임화 요소 선호도는 목표, 보상, 경쟁 순이었다. 웨어러블 기기의 적정 가격은 1~5만원이 가장 많았고, 대상자들은 '칼로리 소모량 확인' 기능을 선호하였다. 웨어러블 기기 및 앱 사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대사증후군 지식정도 점수가 높았으나, 집단에 따른 유의한 점수 차이는 없었다. 생활습관 관련 건강행위에 있어서는 웨어러블 기기 및 앱을 사용한 경험이 없는 대상자 집단의 건강행위 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대상자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효과적인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는 모바일 헬스 기반의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웨어러블 기기 사용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충분히 모집하여 사용자 유형별 수요와 특성에 대한 보다 풍부하고 구체적인 후속연구와 사용자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users' needs for m-health 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that are intended to improve the awareness of metabolic syndrome and promote health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200 college students of 2 university in D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hi-square test with the SPSS Version 20.0. The result showed that users wanted customization of prescriptions and accurate measurement of health applications, and provided a positive feedback on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ose who manage their health. The most preferred content was proper exercise methods, and the preferred gamification factors were goal-setting, compensation, and competition. The optimal price for wearable devices was between 10,000 to 50,000 won, and calorie consumption function was also preferred. Although users with experiences of wearable devices and health apps had a higher knowledge score pertaining to metabolic syndro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core. Concerning the health behaviors associated with lifestyles, individuals without the experiences of wearable devices and health apps showed a remarkably lower score. The research has a significance that it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oblie health 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targeting the population in their early adulthood. Therefore,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a rich and concrete follow-up study on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user types by collecting a population with experiences of wearable devices, and a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mobile health 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