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ethod of acquisition of modernity in comic narrative;in 『Byeolgeongon』

웃음서사의 근대성 획득방식 연구;『별건곤』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7.01.22
  • Accepted : 2017.02.14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comic narratives were popular to such an extent as to be published not only newspapers and magazines but also books as 『Yojigyeong』(1910), 『Jeodobaekhwa』(1912), 『Gaegeonhuihui』(1912), 『Angcheondaeso』(1913), 『Kkalkkaluseum』(1916), 『Socheonsoji』(1918), 『Gogeumgidamjip』(1923), 『Mangogidam』(1924), 『Joseonpaldo iksal & jaedam』(1927), 『Segyesohwajip』(1934). This study is to discuss about how those narratives gain modernity with the titles scattered in 『Byeolgeongon』 as the central figure, and to reveal the nature of the comic narratives in 『Byeolgeongon』 by looking into contents. The comic narratives in the magazine are 149, especially from the titles show the editors' agony at that time. The narratives gain modernity by combining the new trend cultural terms which can't be found in our traditional culture as 'sinbu huboja jeonramhwoe.', 'sinrang huboja jeonramhoe.', 'nonsense teuksseolgwan', 'how modern shipbuilding 10 inventions sinjejo', 'sohwabangsongsil', 'sohwabangsongguk', 'freedom march', 'sinchunpoksodaehwoe' and 'humor orchestra'. The narratives give laughter to the readers by carrying the characters such as wit, enlightenment, critics of social conditions, grotesque. The narratives in the magazine 『Byeolgeongon』 represent much to survive with comic story in a time of gloom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일제강점기에는 신문과 잡지뿐만 아니라 단행본-『요지경』(1910), 『절도백화』(1912), 『개권희희』(1912), 『앙천대소』(1913), 『깔깔우슴』(1916), 『소천소지』(1918), 『고금기담집』(1923), 『만고기담』(1924), 『조선팔도 익살과 재담』((1927), 『세계소화집』(1934) 등이 출간될 정도로 웃음서사들이 유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별건곤』 각 호에 흩어져 있는 서사들의 큰 제목을 중심으로 그 서사들이 근대성을 획득하는 방식을 논하고, 서사들의 내용을 살펴서 『별건곤』(1926. 11-1934. 8)에 실린 웃음서사들의 특성을 밝힌다. 잡지에 수록된 웃음서사들은 149개에 이르고, 특히 서사를 아우르는 제목들에서 당시의 잡지 편집인들의 고민을 읽을 수 있다. 서사들은 '신부후보자 전람회', '신랑후보자 전람회', '넌센스 특설관', '현대 조선 10대 발명품 신제조법', '소화방송실', '소화방송국', '자유행진곡', '신춘 폭소대회', '유모어 오케스트라' 등처럼 우리의 전통문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롭게 유행하는 문화용어들과 결합함으로써 근대성을 획득하고 있다. 서사는 재치, 계몽, 세태비판, 그로테스크 등의 성격을 지니며 독자들에게 웃음을 전해주고 있다. 『별건곤』 잡지에 수록된 서사는 일제강점기의 우울한 시대를 웃음으로 견뎌낼 수 있게 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