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iers of community networking practices in the context of family-centered case-management

가족사례관리 중심 지역사회협의체 운영의 장애요인 및 발전 방안

  • Auh, Seongyeo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 Koh, Sun-Kang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어성연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12.01
  • Accepted : 2017.02.21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ppraise the family-centered case-management (FCCM) practices in terms of building the community networking efforts, and to propose the practical improvement suggestions to overcome the barriers in practicing the current Healthy Families Policy, FCCM. The blended methodology was employed by collect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sets including an staff's on-line survey, in-depth interviews(site case studies), and FGIs. As results, the authors found, despite the building and maintaining functional community networks was the essential and critical condition for the FCCM policy deliveries, many staffs have faced hardships in FCCM practices such as building a new network or finding an available and apt network within their communities. The lack of previous experiences in case-management exaggerated the functional difficulties thus, the new staffs were more prone than the staffs with 2 or more years experiences to the misunderstanding about the missions and tasks related to FCCM. Authors suggested that various on-the-job-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eliminate those obstacles to build and/or maintain the community network for FCCM. Also, it is necessary for the each institution's director or managers to understand the FCCM and its relation to community networking, and to support FCCM staff members.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박수선(2013a). 가족중심 사례관리의 지역사회 체계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3), 125-144.
  2. 강기정.박수선(2013b).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족 사례관리 실천 경험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39-61.
  3. 권진숙(2010). 한국 사례관리실천의 혼돈과 대안. 사례관리연구, 1(1), 1-22.
  4. 김미숙.우국희.양소남.이주연.이정현(2011). 선진국의 아동 사례관리체계 비교연구: 영국, 미국,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김성천.박지영(2012). 사회복지현장에 기반한 가족중심사례관리 실천 모색: 현장사례분석 중심으로. 사례관리연구, 3(1), 39-64.
  6. 김승권.황성철.김연우(2012). 취약.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 통합사례관리 연구(3차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류애정(2012). 지역단위 복지전달체계로서 희망복지지원단의 운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2, 137-156.
  8. 보건복지부(2015).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안내.
  9. 보건복지부(2016). 희망복지지원단 업무안내
  10. 손병덕(2009). 가족기능회복을 위한 사례관리실천 방법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관의 적용 방안 제시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메니지먼트 연구, 4, 1-20.
  11. 손지현(2015).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 허브기관으로서 희망복지지원단의 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정책 49, 141-171.
  12. 어성연.김동민.김미정(2015).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청소년 지역단위 지원체계 활성화 전략 모델. 여성가족부
  13. 여성가족부 (2016). 2016년도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안내. 여성가족부.
  14. 오민수(2015).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지역발전연구, 24(2), 35-78.
  15. 임병우.오현주(2013). 지자체 희망복지지원단에 근무하는 사례관리자의 역할 수행 경험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적용. 한국정책연구 13(4), 131-148.
  16. 정은희.박수지.김보영.안혜영.이기연.정익중.김효진 (2013). 취약.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 통합 사례관리 연구(4차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7. 정지영.박정윤 (2015). 가족사례관리 매뉴얼. 한국건강가정진흥원.
  18. 정지영.박정윤.고선강(2014). 가족역량강화 사업의 개선방향 및 표준화 모델 개발. 여성가족부
  19. 조현순 (2007). 아동과 가족 통합지원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방안 연구-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례관리실천사례를 중심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4(2), 231-249.
  20.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례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2). 건강가정론 (3판). 신정.
  21. 홍선미(2010).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지역사례 관리체계 구축방안.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2(1), 337-362.
  22. 황정임.정가원.김유나.이호택(2015). 한부모가족 지원 강화를 위한 협력적 네트워크 운영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