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E-learning Competency Modeling and Education Roadmap for Human Resource in Science & Technology

과학기술인력 이러닝 역량모델링 및 교육로드맵 개발

  • 곽진선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 고은정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 김성철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 Received : 2016.12.14
  • Accepted : 2017.01.16
  • Published : 2017.01.30

Abstract

E-learning has become one of the popular educational method in these day. In recognition of the growing e-learning, numerous researchers of S&T have utilized for the training aimed at enhancing competency. In the circumstances, previous studies have yield interesting results regarding certain factors that competency based programs may increas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described here contributes to design competency modeling and education roadmap for human resource in S&T. The study uses survey, FGI, delphi technique, and expert workshop for selecting the main competencies. In particular, the results are including training roadmap of 5 level in each of two groups as researchers and S&T managers. These findings can be possible to develop customized programs and supported long-term career development path plan for human resource in S&T.

이러닝은 오늘날 대중적인 학습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러닝산업의 성장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이 역량향상을 위한 학습도구로 이러닝을 활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교육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는 선행연구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인을 대상으로 이러닝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체계를 도출하여 교육로드맵을 제시하였다. 과학기술인의 필요역량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육수요조사, FGI, 델파이 조사, 전문가 워크숍 등을 시행하였다. 특히 업무성격에 따라 연구직과 행정직을 구분하고 업무경력을 고려한 5단계의 직급별 교육로드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량기반의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과 과학기술인 대상의 중장기적인 역량개발경로의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 2017년도 정부여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2.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2016). 과학기술인력개발 종합수요조사
  3.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6). 제3차 과학기술 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6-'20)(안)
  4. 엄미정.박기범.김형주.이윤지.박동오 (2012). 이공계 대학원의 특성화 발전을 위한 정부지원정책 개선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 최미나.장은정 (2010). 이러닝 종사자 직무별 역량기반 교육체계 개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6(2), 277-313.
  6. 송윤희.유지원 (2013).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조절초점 성향에 따른 만족도와 학습지속 의향 예측력과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 검증. 교육과학연구, 44(4), 123-145.
  7. 최혁라 (2010). 기업 E-learning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0(2), 59-88.
  8. 최미나.노혜란 (2010). 산업기술 실무 재교육에서 이러닝 적용효과 분석.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on research, 14(1), 3-10.
  9. 양대현.이찬 (2013). 대기업 HRD 직무역량 모델 개발 사례 연구-A기업 사례 중심으로. 산업교육연구, 26(3), 27-49.
  10. 김선우.홍성민(2012). 중소기업 유형별 연구 개발인력 수요 현황 분석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Clark, K. B. and S. C. Wheelwright. (1992). Organizing and Leading Heavyweight Development Teams.
  12. 박기관.홍관웅 (2014). 교육프로그램과 교육 효과성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88(4), 173-192.
  13. Sunyurp Park, Eunjoo Oh (2011)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tools in college education. J 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6(6), 707-723.
  14. 유덕현.유기원.김민희.신준석.김부현.윤세훈 (2013). 이공계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수행대학 연구인력의 역량모델 및 교육훈련 로드맵 개발, HRD연구, 15(3), 247-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