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CK and Possibility of Teaching about Informatic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과 교수 가능성과의 관계 분석

  • 황준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Received : 2016.12.30
  • Accepted : 2017.01.26
  • Published : 2017.01.30

Abstract

Software education of 17 hours is essential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nplugged is recommende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Teachers should have a high level of PCK about Informatics Subject in order to utilize Unplug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CK and possibility of teaching about Informatic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17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firmed that the PCK level of informatics subject is low.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CK and possible of teaching.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a method to increase the level of PCK about informatics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교과에서 17시간의 정보 수업을 필수로 진행하도록 하고, 교수-학습방법으로 언플러그드를 권장하고 있다. 언플러그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높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인식과 교수 가능성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초등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은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 수준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수내용지식과 교수 가능성과의 상관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2.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2].
  3. 남동수, 박진화, 서순식, 이태욱 (2011). 놀이 활동 교육 자료를 활용한 중학교 정보 표현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6(12), 157-165. https://doi.org/10.9708/jksci.2011.16.12.157
  4. 한선관, 김경신 (2007). 초등학생을 위한 컴퓨터과학의 언플러그드 학습 방법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1(4), 497-504.
  5. 이원규 (역) (2010). 놀이로 배우는 컴퓨터과학. 휴먼싸이언스.
  6. 이태욱, 최현종 (2015). 정보교과교육론. 한빛아카데미.
  7. 전영한, 한만석 (2015).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의 체육교과 PCK 형성 과정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1(1), 235-251.
  8. 안상진, 이영준 (2016). 예비교사의 프로그래밍 교수내용지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프로그램 설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2), 1-10.
  9. 안미리 (2001). 교과교육 방법적 지식과 컴퓨터교사의 전문성.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4(2), 135-143.
  10.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https://doi.org/10.2307/1175860
  11. 이한규 (2009). 기술 교사들의 기술 교수 효능감과 기술 교수 내용 지식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지. 9(2), 1-22.
  12. 정윤우 (2014). 특수교육교사의 교수내용지식 (PCK)에 대한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 분석. 특수교육학연구. 49(2), 179-196.
  13. 김자미, 윤일규, 이원규 (2010).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 수준 측정 문항 개발 및 타당화.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6), 23-33.
  14. 박성혜 (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15. 곽영순 (2006).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27-536.
  16. 곽영순 (2008).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92-602.
  17.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 (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18. 배준성, 허정 (2010). 교수내용지식(PCK)을 적용한 배구수업 실행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 (2009b).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20. 신대리라, 정영란 (2010). 교육 실습이 예비 중등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과교육학지식(PCK)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1. 조성화, 최돈형 (2009). 예비환경교사의 교수 내용지식(PCK)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22(3), 125-135.
  22. 박진, 이선경 (2007). 교수내용지식이 다른 두 초등학교 교사의 작은 생물 단원 수업 양상. 석사학위 논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3. 최지영, 장윤재, 김자미, 유승욱, 이원규 (2011). 중등 정보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수준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1), 23-30.
  24. 김정은, 홍순옥 (2015). PCK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 논문.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5. 성수민, 김왕배 (2015). 사회과 교사의 교수 내용지식(PCK) 인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6. 윤향 (2012). 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수내용지식(PCK)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7. 최윤정, 정동영 (2014). 중등 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수내용지식과 교수적 수정 실행도 분석.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8. Cochran, K. F., DeRuiter, J. A., King, R. A.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n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263-272. https://doi.org/10.1177/0022487193044004004
  29. Magnusson, S. J., Borko, H., & Krajcik, J. S.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Boston, MA: Kluwer Press.
  30.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302
  31. 박성혜 (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32. 김자미, 이원규 (2015). 언플러그드 정리 보고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33.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3].
  34.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4].
  35. 한국교육개발원 (2016). 2016 교육통계연보. 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