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Cooperative Roles between K-Pop and Applied Music

K-Pop과 실용음악의 상호보완적 역할에 관한 연구

  • 류은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 Received : 2016.09.28
  • Accepted : 2016.11.14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The success of K-Pop music industry continues as there is a new light shedding on the new Korean wave. There is a continuous discussion about the sustainability of the idol's dance music because of its limit in the uniform genre. As a solu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K-pop music, researchers said to supplement it through the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in the applied music. However, research into how much the education of applied music is contributing to the continuous success of the K-Pop music industry and how each industry is affecting each other was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will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K-Pop and the applied music, and look into ways that can act as a mutual supplementation for both fields. Subjects of analysis included performing artists, composers, arrangers, lyricists, and singers for songs within the top 100 of the digital total ranking for the past three years in the Gaon chart which is the official music chart for Korea. Then, the study apprehended how many of those subject had relations with the applied music and their activity frequency. As a result, there were a considerable number of K-Pop performers, at 41.74%, who also majored in the applied music. To continue to tendency of Korean wave and develop the Korean popular music, this study will explore roles each industry should cooperate in the future. There were the formation of social atmosphere for increase of consumer's needs to diverse K-pop music and change of education for training its human resources that K-pop industry demand.

신(新)한류의 재조명으로 K-Pop음악 산업의 흥행은 지속되는 한편, 대부분이 아이돌 댄스 음악이라는 획일적인 장르적 한계를 이유로 한류 지속가능성 여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실용음악교육의 체제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질의 향상을 이룩해야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실용음악 교육이 K-Pop음악 산업의 지속적 성공에 조력할 수 있는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K-Pop과 실용음악의 의미와 연관성을 파악하고, 두 영역의 상호보완적 역할 수행을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2013년부터 3년간 국내공인가요차트인 가온차트에서 디지털종합순위의 100위내에 진입했던 곡에 관여한 인물들 즉, 가수, 작 편곡가, 작사가 및 연주자들을 K-Pop인재로 간주하여 조사하고, 그들 중 얼마만큼 실용음악 전공과 관련 있는지 파악한 결과, 41.74%로 확인되었다. 한국 대중음악이라는 큰 공통적 분모 아래에서 지속적인 한류를 위해 서로 협업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는 다양한 K-Pop음악에 대한 소비자의 지속적인 니즈 증대와 이를 위한 국내외 사회적 분위기 형성, K-Pop산업이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제도의 변화 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수완, "케이팝(K-Pop), Korean과 Pop Music의 기묘한 만남: K-Pop의 한국 대중음악적 진정성에대한 탐구," 인문논총, 제73권, 제1호, pp.77-103, 2016.
  2. 장혜원, 국내 대중음악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에 대한 연구: '실용음악'의 대학제도 진입과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 이선호, "K-Pop 주류(Mainstream)에 의한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변화에 따른 실용음악교육 개선에 대한 소고," 문화예술교육연구, 제10권, 제6호, pp.109-127, 2015.
  4. 조승현, "K-POP의 세계화를 위한 장기적 방안의 도출: 교육체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4418-4423,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418
  5. http://www.doopedia.co.kr/
  6. http://www.komca.or.kr/
  7. http://www.fkmp.kr/
  8. 서정환, 케이팝에서 훅의 사용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9. 이난수, "K-Pop의 감흥에 대한 연구," 조선대학교 인문사회연구, 제43호, pp.559-594, 2012.
  10. 이현진, K-pop의 성장 지속화 방안: 가수 싸이 (PSY) 성공요인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11. 오한승, "전문대학의 K-Pop 전공 개설 및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춘계학술 발표논문집, pp.91-93, 2012.
  12. 한국콘텐츠진흥원 정책연구실, 음악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2014.
  13. 양종모, "케이 팝(K-pop)의 학교 음악교육에 수용 탐색을 위한 음악적 특성 분석," 음악응용연구, 통권 제4호, 2011.
  14. 신현준, 2000년대의 10년, 대중음악의 변화를 뒤 늦게 회고하면서, 황해문화, 새얼문화재단, 2010.
  15. 이호영 외, 디지털 한류와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문화정책 방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2.
  16. 김기덕, "신한류 아이돌 음악과 한국대중음악시장의 생태계 균형에 관한 연구 2000-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157-16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6.157
  17. 최현준, K-Pop 열풍에 따른 한국 대중음악 발전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8. 홍민아, 대학교 실용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연구, 상명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 한승희, 국내 실용음악학과 커리큘럼 분석 및 인식조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20. 이정선, 실용음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의 모색: 전문대학 실용음악과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21. 김은섭, "버클리음악대학의 교육체계 연구," 음악과 민족, 제31호, pp.255-288, 2006.
  22. 이정선, "대학 실용음악교육의 시작과 학과 개설 형태," 음악교육연구, 제38권, pp.119-148, 2010.
  23. 이에스더, "예술치료에서의 실용음악 활용 가능성탐색,"문화예술교육연구,제5권,제2호, pp.59-76, 2010.
  24. 최성수, 대학 실용음악 보컬교육이 학습효과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25. 하상욱, 실용음악교육에 관한 연구와 실태조사: 국내 유명 실용음악과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영상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26. http://www.gaonchart.co.kr
  27. 박장순, "신(新)한류시대의 메인스트림 K-Pop의 확산에 관한 연구: K-pop의 밈이론적 해석과 한류사 시대구분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제16권, 제4호, pp.1-24, 2012.
  28. 주호일, 新한류의 현황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K-POP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29. 박준영, 실용음악(Applied music)교육의 실태분석과 제언: 특수 목적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30. 정지영, "교육적 콘텐츠로의 한국 대중가요의 활용과 필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174-18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174
  31. Seong Cheol Choi, Xanat Vargas, Meza, and Han Woo Park, "South Korean Culture Goes Latin America: Social network analysis of Kpop Tweets in Mexico,"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0, No.1, 2014.
  32.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9217190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