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Music Therapy Using Korean Traditional Rhythmic Modes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국악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주민애 ((사)선민사회복지회) ;
  • 박혜영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음악치료전공)
  • Received : 2016.11.07
  • Accepted : 2017.01.05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using Korean traditional rhythmic modes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 patients at the age of 65 or more with dementia receiving long-term care in a nursing home in B City.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through the evaluation of manual function test (MF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Korea dementia rating scale-2 tes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s a result, both of the scores of MFT and ADL were higher than after music therapy(p <.05) as well as Korea dementia rating scale-2 test score(management part). This indicates that the music therapy using Korean traditional rhythmic modes could improve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y with dementia as well a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anagement of dementia care. In conclusion, music therapy would be helpful to the improvement of not only the physical but also the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nd it could be effectively employed in clinical settings.

본 연구는 국악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B시에 소재하는 요양원의 장기요양보호 적용을 받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치매진단 환자 13명이며, 상지기능평가(MFT), 일상생활동작, 인지기능검사(관리기능)에 대해 음악치료 전 후의 점수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악장단의 청각적 자극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일상생활은 물론 치매평가의 관리기능까지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임상현장에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국악장단을 활용한 음악중재의 타당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치료프로그램의 개발 시 국악장단이 이들의 신체기능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희, 양영애, "치매 환자 인지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5권, 제2호, pp.9-15, 2011.
  2. K. Pitkala, N. Savikko, M. Poysti, T. Strandberg, and M. Laakkonen, "Efficacy of physical exercise intervention on mobility and physical functioning in older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Experimental Gerontology, Vol.48, No.1, pp.85-93, 2013. https://doi.org/10.1016/j.exger.2012.08.008
  3. 정민영, 박천규, 손명동, "오감 자극 노인성 치매 예방 프로그램,"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pp.594-599, 2010.
  4. T. Sarkamo, M. Tervaniemi, S. Laitinen, A. Numminen, M. Kurki, J. Johnson, and P. Rantanen,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benefits of regular musical activities in early dementi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The Gerontologist, Vol.54, No.4, pp.634-650, 2014. https://doi.org/10.1093/geront/gnt100
  5. A. Shummway-Cook and M. Woolacoott,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3rd ed), Williams & Wilkins, 2006.
  6. J. Whitall, W. McCombe, K. Silver, and R. F. Macko, "Repetitive bilateral arm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cueing improves motor function in chronic hemiparetic stroke," Stroke, Vol.31, pp.2390-2395, 2000. https://doi.org/10.1161/01.STR.31.10.2390
  7. 안나영, "치매 환자의 저항성 탄성밴드 운동 프로 그램이 상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제17권, 제2호, pp.91-98, 2015.
  8. 김두연, 양은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경도 인지 장애 노인의 기분상태 및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15권, 제2호, pp.73-94, 2013.
  9. 최말옥, 박혜령, "노인 생활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대한 집단 음악 프로그램 효과성 비교연구: 시설.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연구, 제27권, pp.303-324, 2005.
  10. 한수정, 권애지, 박혜영, "패턴화된 감각 증진 (PSE)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관절가동범위와 장악력에 미치는 즉각적 영향,"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11권, 제1호, pp.1-19, 2014.
  11. M. H. Thaut and V. Hoemberg, Handbook of neurologic music therap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2. H. J. Chong, S. J. Han, Y. J. Kim, H. Y. Park, and S. J. Kim, "Relationship between output from MIDI-keyboard playing and hand function assessments on affected hand after stroke," NeuroRehabilitation, Vol.35, No.4, pp.673-680, 2014.
  13. S. Schneider, T. Münte, A. Rodrigues-Fornells, M. Sailer, and E. Altenmüller, "Music-supported training is more efficient than functional motor training for recovery of fine motor skills in stroke patients," Music Perception, Vol.27, No.4, pp.271-280, 2010. https://doi.org/10.1525/mp.2010.27.4.271
  14. S. Schneider, P. W. Schonle, E. Altenmuller, and T. F. Munte, "Using musical instruments to improve motor skill recovery following a stroke," Journal of Neurology, Vol.254, pp.1339-1346, 2007. https://doi.org/10.1007/s00415-006-0523-2
  15. J. Yoo, "The role of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 in hemiparetic arm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Perspectives, Vol.27, No.1, pp.16-24, 2009. https://doi.org/10.1093/mtp/27.1.16
  16. 권서령, 강경선, "민요와 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2호, pp.1-17, 2013.
  17. 이현정, 국악을 이용한 음악치료 방법의 연구: 노인치료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8. 홍보람, 민요를 활용한 치매노인의 음악적 기억 훈련 영향연구: 장단을 중심으로, 중악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9. G. Duerksen, 정현주, "인지 및 정서행동 영역에서의 음악치료 사정을 위한 리듬 프로토콜 (MACED-Rhythm) 개발 예비 연구,"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10권, 제1호, pp.67-83.
  20. 한지현, "공격성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음악치료교육연구, 제2권, 제2호, pp.33-56, 2005.
  21. 문서란, "사물놀이의 자진모리 장단이 노인의 상지근육활동 도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7권, 제1호, pp.55-72, 2005.
  22. 김천사, "판소리 창작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독거노인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관한 연구 : 성음을 중심으로,"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8권, 제1 호, pp.43-60, 2011.
  23. 김현정, 정재원, "국악을 이용한 집단음악치료가 경도치매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3호, pp.19-38, 2013.
  24. 권영애, 민요중심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25. S. Miyamoto, T. Kondo, Y. Suzukamo, A. Michimata, and S. Izumi,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nual Function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8, pp.247-255, 2009. https://doi.org/10.1097/PHM.0b013e3181951133
  26. 구형모, 김지혜, 이형석, 고혜정, 권의정, 안상미, 김도관, "일상활동평가-기초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제8권, 제4호, pp.206-214, 2004.
  27. 나덕렬, 박선희, 박은희, 최진영, "한국판 치매평가 검사의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7권, 제1호, pp.247-258, 1998.
  28. 석정서, 최진영, 김호영,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 (K-DRS)의 2차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29권, 제2호, pp.559-572, 2010.
  29. 심향미, 정승희,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행동, 정서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591-600, 2001.
  30. 이유나, 박지혁, 임경민, "신체활동 작업치료가 치매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322-33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322
  31. 권자연,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9권, 제2호, pp.336-349, 1998.
  32. 홍영규, 강영실, "음악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 지기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pp.5-15, 2009.
  33. 이상헌, "뇌졸중 환자에서 알렌인지수준과 일상 생활활동, 인지기능 및 상지기능의 상관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287-294,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287
  34. 전은영, 장군자, 유현숙, 이희완,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 문제행동, 수면에 미치는 효과," 대한예방한의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01-113, 2011.
  35. 김현정, 정재원, "국악을 이용한 집단음악치료가 경도치매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3호, pp.19-38, 2013.
  36. M. R. Toppozada, "Multicultural training for music therapists : An examination of current issues based on a national survey of professional music therapists," Journal of Music Therapy, Vol.32, No.2, pp.65-90, 1995. https://doi.org/10.1093/jmt/32.2.65
  37. D. Amir, "Understanding the role of folk songs in Jewish-Israeli culture : implications for music therapy," The World of Music, Vol.39, No.1, pp.111-127, 1997.
  38. H. Kim and O.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cognition, behavior and affection of the music therapy for dementia senile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Vol.12, No.3, pp.463-476, 2000.
  39. S. Ho, H. Lai, S. Jeng, C. Tang, H. Sung, and P. W. Chen, "The effects of researchercomposed music at mealtime on agitat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25, No.6, pp.49-55, 2011. https://doi.org/10.1016/j.apnu.2011.08.006
  40. 박경영, "치매노인에 대한 치료 접근법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3권, 제2호, pp.23-3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