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type within organization recognized by members of organization affecting learning transfer climate

조직구성원인 인식하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학습전이 풍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Moon-Jun (Business administration, Paju campus of Seoyoung University, Kongju University)
  • 김문준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경영학과, 공주대학교)
  • Received : 2017.04.25
  • Accepted : 2017.06.02
  • Published : 2017.07.31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type recognized by members of organization and the learning transfer climate in the organization, and when it comes to the type of communications within organization set as independent variable, four variables such as communication with supervisor, media quality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outlook communication were proposed and regarding learning transfer climat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four sub-parameters such as supervisor support, colleague support, transfer opportunity and organizational compensation recognition were selected. 116 copies of the statistical data excluding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urveys were used for 150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5 core competency curriculum for SMEs and 3 months have passed,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s objective. Meanwhil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with the collected data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of SPSS 20.0.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firstly, communication with supervisor, media quality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outlook communication all showed a positive (+)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perior suppor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ype in organization and supervisor support which is learning transfer climate. Secondly, communication type in organization doesn't appear to affect colleague support of learning transfer climate. Thirdly, communication with supervisor, media quality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outlook except for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have shown a positive (+) influence on transfer opportunity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ype in organization and transfer opportunity of learning transfer climate. Lastly, communication with supervisor and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outlook showed positive(+) influence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ype in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ompensation recognition of learning transfer climate.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인 인식하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상사와 커뮤니케이션, 매체 질 커뮤니케이션, 동료와 커뮤니케이션, 조직 전망 커뮤니케이션의 4개 변수로 제시하였으며, 종속변인인 학습전이풍토는 상사지원, 동료지원, 전이기회, 조직보상 인식의 4개 하위변수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중소기업 핵심직무역량 교육과정에 참여한 후 3개월 이상 경과한 참가자 150명을 대상으로 통계상 무의미한 설문을 제외 한 116부를 최종 활용하였다. 한편,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의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순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분석, 단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인 상사의 지원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상사와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질 커뮤니케이션, 동료와 커뮤니케이션, 조직전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모두 상사의 지원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학습전이 풍토의 동요의 지원에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의 전이기화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동료와 커뮤니케이션을 제외한 상사와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질 커뮤니케이션, 조직전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전이기회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학습전이 풍토의 조직보상 인식에 대한 영향관계에서는 상사와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전망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민영. 김진모(2008).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자기주도성, 전이풍토, 학습관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3), 223-246.
  2. 김동영. 한인수(2004). 지식공유에 미치는 개인적조직적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대덕연구단지 연구개발 조직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5(1), 83-99.
  3. 김문준(2015), 경영진의 컨설턴트 역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 효과에 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15(1), 195-210.
  4. 김문준.김노사(2016), 학습전이 풍토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대한 연구, 기업경영리뷰, 7(2), 93-111.
  5. 김봉규(2011). 호텔조직의 커뮤니케이션만족과 서비스지향성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5(8), 79-100.
  6. 김수현(2007). 방송에서의 남녀의 역할과 여성에 관한 언어 표현 분석. 사회언어학, 15(1), 1-20.
  7. 김정기(2012).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동기, 주목도, 만족감, 교육효과의 관계.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8, 202-234.
  8. 김정기.안호림(2014). 교수자와 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요인과 교육효과의 관계.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2(1), 65-93.
  9. 김진모.이진화. 길대환(2006). 농촌지도리더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전이와 전이풍토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1): 27-52.
  10. 김주환.김은주.홍세희(2006). 한국 남녀 중학생 집단에서 자기결정성이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1), 243-264
  11. 김주희(2011).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자기결정성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인 내 직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한준(2010).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활동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학습조직과 조직성과 관계모형 개발. 평생교육 HRD연구, 6(3), 161-189.
  13. 김현경.강수돌(2015). 커뮤니케이션 풍토가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30(4), 405-433.
  14. 김효근.정선태(2005). 호텔 조직내 커뮤니케이션이 호텔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 시내 특 1급 호텔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19(1), 17-29.
  15. 문비치.이유나(2008). 조직문화, 사원 커뮤니케이션, 조직-사원 관계성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2(2). 122-150.
  16. 박명신(2015).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강의력 및 셀프리더십이 성인학습자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HRD 연구, 11(1), 1-20.
  17. 박명신.임선희(2014).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 능력, 리더십이 성인학습자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논총, 35(1), 31-54.
  18. 박문수. 문형구(2001). 지식공유의 영향요인:연구동향과 과제. 지식경영연구. 2(1):1-23.
  19. 박문수. 문형구(2004). 집단간 지식공유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5(2):1-23.
  20. 박소희( 2014). 조직 내 신뢰와 의사소통, 인재지향적태도가 대인간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종단적 관계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29(6):440-466.
  21. 박재린.박재헌(2000). 조직구성원의 지식공유와 경쟁우위와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창간호, 127-147.
  22. 배을규.정보라.이민영(2013). 조직의 학습전이풍토가 기술사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계속전문교육 참여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11-23.
  23. 설현도(2006). 금융기관 조직구성원의 지식공유에 대한 실증 연구. 지식경영연구. 7(2):97-122.
  24. 엄동욱.예지은. 권수한.위종범(2011). 조직내 소통 활성화를 위한 제언.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25. 이두원(2009). 미국대학의 기금조성을 위한 공중관계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7(3), 85-110.
  26. 이상훈(2009). 조직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학습전이풍토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유선욱, 신호창(2011). 사내 커뮤니케이션 기풍적 요인과 조직 구성원간 신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5(3), 54-81.
  28. 윤영남.최은수(2008). 평생교육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성인학습자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HRD연구, 4(2), 41-63.
  29. 조나영(2010). 조직내 커뮤니케이션 유형별 수준이 학습전이풍토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조대현(2005). 학습의 자기주도성과 팀내 대인관계 기술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23, 223-242.
  31. 조의제(2002). 셀프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의 영향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조수연(2014). 피드백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학습자 인식. 통번역학연구, 18(4), 247-273.
  33. 창은미(2008). 조직의 전이풍토가 교육훈련 전이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천명섭.이윤기(2004).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종업원의 직무 만족. 경상논집, 18(2), 1-19.
  35. 한동효.김주찬.조현준(2007).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이용한 지방공무원의 지식공유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14(3):1-30.
  36. 한안나(1999). 기업교육에서 학습의 직무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한주리.남궁은정(2008).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의사소통의 양과 질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의 차이. 아동학회지, 29(1), 325-337.
  38. 홍미나(2008). 커뮤니케이션 유형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가 서비스 제공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유형의 조절효과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현영섭. 권대봉(2003). 판매교육 학습전이와 전이풍토간의 관계. 교육학연구, 41(1): 299-327.
  40. 현영섭.김준희(2005). 기업체의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학습전이간의 관계 :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위계적 관계를 가정한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11(1), 171-196.
  41. African information and technology organization. S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36(1): 9.
  42. Argyris, C.(1992). On Organizational Learning. Cambridge, Mass: Blackwell Publishing Inc.
  43. Baldwin, T. T. & Ford, J. K.(1988). Transfer of training: A 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nel Psychology, 41(1), pp. 63-10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8.tb00632.x
  44. Berger, C.R. and R.J. Calabrese.(1975). Some explorations in initial interaction and beyond : toward a developmental theory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2):99-112. https://doi.org/10.1111/j.1468-2958.1975.tb00258.x
  45. Boyd, B.B.(1965). An analysis of communication between departments-roadlock and bypasses.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Winter 3(2):27-35. reprinted by permission. from Personnel Administration. November-December. 1965. 33-38. https://doi.org/10.1177/002194366600300204
  46. Broad, M, L,. & Newstrom, J. M.(1992). Transfer of Training. Reading Mass: Addison-Wesley.
  47. Castro, M., & Martins, N.(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employee satisfaction in a South.
  48. Cheng, E. W. L., & Ho, D. C. K.(2001). A review of transfer studies in the past decade. Personnel Review, 30, 101-118.
  49. Chruden, H. J., & Sherman, A. W.(1987). Personnel Management(5th ed.). USA: Sout-Western Publishing Co.
  50. Daft, R.L. and A.Y. Lewin.(1993). Where are the theories for the "new" organizational forms? An editorial essay. Organizational Science. 4:1-6. https://doi.org/10.1287/orsc.4.1.1
  51. De Ridder, J.A. 2004.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supportive employees. Human Resources Management Journal. 14(3):20-30.
  52. Downs, C.W. and M.D. Hazen.(1977).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15(1):41-45. https://doi.org/10.1177/002194367701500104
  53. Ford, K. J., & Weissbein, D. A.(1997). Transfer of training: An updated review and analysis.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10(2): 22-41.
  54. Grunig, L.A., J.E. Grunig and D.M. Dozier.(2002). Excellent public relations and effective organizations:A study of communication management in three countri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5. Holton, E. F. III et al.(1997). Toward construct validation of a transfer climate instru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8(2): 95-113. https://doi.org/10.1002/hrdq.3920080203
  56. Holton, E. F. III, & Baldwin, T. T.(2000). Making transfer happen: An action perspective on learning transfer systems. Advanced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8: 1-6.
  57. Holton, E. F. III, Bates, R. A., & Ruona, W.(2000). Developing generalized Learning Transfer System Inventory.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1(4): 333-360. https://doi.org/10.1002/1532-1096(200024)11:4<333::AID-HRDQ2>3.0.CO;2-P
  58. Keuter, K. et al.(2000). Nurses'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limate in a dynamic work environment. Applied Nursing Research, 13(1): 46-)49. https://doi.org/10.1016/S0897-1897(00)80018-X
  59. Kirkpatrick, D. L.(1994). Evaluation of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San Francisco: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60. Mueller,B.H.& Lee,J.(2002). Leader-member exchang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multiple context.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39, 220-244. https://doi.org/10.1177/002194360203900204
  61. Peek, R. C.(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as reported by institutional research staff at Florida community colleges.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62. Petttit, J.D., J.R. Goris and B.C. Vaught.(1997). An examina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s a moderator o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34(1):81-98. https://doi.org/10.1177/002194369703400105
  63. Pincus,J.D.(1986).Communic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2, 395-416. https://doi.org/10.1111/j.1468-2958.1986.tb00084.x
  64. Quirke, B. (2000). Making the connections. using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o strategy into action. Gower. Aldershot.
  65. Richey, R. C.(1992). Defining Instruction for the Adult Learner. London: Kogan Page.
  66. Robertson, E.(2005). Placing leaders at the hear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trategic Communication Management. 9(5):34-37.
  67. Roos, C. and J. Roos.(1997). Measuring your company's intellectual performance. Long Range Planning. 30(3):392. https://doi.org/10.1016/S0024-6301(97)90254-5
  68. Rouiller, J. Z., & Goldstein, I. L.(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and positive transfer of train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4, pp.377-390 https://doi.org/10.1002/hrdq.3920040408
  69. Smidts, A., A. Pruyn and C. van Riel.(2001). The impact of employee communication and perceived external prestige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5):1051-1062.
  70. Tannenbaum, S. I., & Yukl, G.(1992). Training and development in work organiza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3, 330-441.
  71. Taylor, M. C.(2000). Transfer of learning in workplace literacy programs. Adult Basic Education, 10(1), 3-20.
  72. Thomas, G.F., Z. Roxxane and J.L. Hartman.(2009). The central role of communication in developing trust and its effect on employee involvement.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46(3):287-310. https://doi.org/10.1177/0021943609333522
  73. Welch, M. and P.R. Jackson. (2007). Rethinking internal communication:a stakeholder approach. Corporate Communication: An International Journal. 12(2):177-198. https://doi.org/10.1108/13563280710744847
  74. Zand, D.E. 1972. Trust and managerial problem solving.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7(2):229-239.
  75. Zwijze-Koning, K.H. and M.D.T. De Jong. 2007. Evaluating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as a communication audit tool.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20(3):261-282. https://doi.org/10.1177/0893318906295680